|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Exerc Sci > Volume 31(4); 2022 > Article
노인운동지도자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척도 개발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xercise instructor's teaching ability and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331 students enrolled in the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Google Forms. The questionnaire contained 36 questions, comprising seven questions on professionalism; eight on emotional communication ability; nine on fidelity; and, twelve on safety. A 5-point Likert scale was use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es of the research tool; additionall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TATA 17.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In the exercise instructor for older people evaluation questionnaire developed in this study, the Kaiser–Meyer–Olkin (KMO) value was 0.8 (0.88-0.93) for all factors, demonstrating its validity for factors including professionalism, emotional communication ability, fidelity, and safety. Cronbach alpha coefficient was 0.9031, indicating high reliability. A strong correlation exists between factors, an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ge (.1874, p=.027), professionalism (.8049, p=.000), fidelity (.6009, p=.000). The adequacy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1.8606, p=.000)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afety.

CONCLUSIONS

This questionnaire can be used as a tool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xercise instructors for older people and serve to recognize the appropriate instructional methods for prospective exercise instructors for older people.

서 론

2022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전체 인구의 17.5%로, 향후 계속 증가하여 2025년에는 20.6%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1]. 과거와는 달리 현대에는 단순히 오래 사는 것을 넘어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노인에게 있어서 운동은 만성질환 예방 등의 생리적인 효과를 넘어 노년기에 느끼는 소외감과 우울감 등의 정신적인 안정과 만족을 주고 있어, 운동 이상의 의미와 가치를 가지고 있다[2].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운동을 지도하는 지도자의 역량과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대상자가 노인인 경우는 노인의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 특성을 잘 이해하는 등의 전문 능력과 자질이 필요하다[14]. Carron et al. [3]의 연구에서는, 운동지도자는 운동의 즐거움과 출석, 순응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였고[4,5], 전문지도자에 의한 운영과 지도로 노인들에게 능률적인 활동과 삶의 질 제고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6]. Oldridge [9]는 안전성을 강조하면서, 운동지도자가 노인의 생리학적인 특성을 고려하며 운동지도를 해야 부상가능성을 줄일 수 있고 심박수, 혈압, 관절가동범위 등의 변수를 고려한 움직임과 활동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하였다[2]. Choi [7]의 연구에서는 노인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한 후 노인운동지도자의 역할로, 노인의 마음을 다독여주고 쓸쓸한 마음을 해소시켜 주기, 건강에 관한 지식을 전달해 주기, 노인이 운동프로그램에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응원하고 지지해주기를 제시하였다. Harvey & Griffin [8]의 메타분석 연구에서도 노인운동지도자의 역할을 리더 및 커뮤니케이션 담당자, 교육자 등으로 정의하였다. 많은 연구에서 노인운동지도자의 지도 기술이나 지식 외에도 노인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공감능력, 안전성 등의 특별한 역할이 요구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노인운동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고 노인운동지도자의 역할이 전문화되고 확대되면서, 2015년 1일 1일 국민체육진흥법에 노인스포츠지도사 국가 자격제도가 시행되었다. 이 제도는 노인의 신체와 정신적 변화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해당 자격 종목에 관해 노인에게 생활체육을 지도하는 사람들에게 국가에서 자격증을 부여하는 제도로[10], 과거의 체육지도자가 생활체육지도자와 경기지도자로 구분되어온 것과 달리, 지도 대상과 전문성에 따라 자격을 세분화한 것이다. 또한 전체 연령층을 대상으로 운동을 지도하는 것에 따른 문제점을 보완하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사회적인 요구가 반영된 결과이기도 하다[11].
노인스포츠지도사의 역량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것은 운동 지도기술이다[14]. 지도기술은 수업 지도, 건강에 대한 지식 등으로 실제 노인에게 운동지도 시 무엇을 주의하며 지도를 하는지, 어떤 건강에 대한 지식을 알고 있는지 등을 말한다. 다른 연구에서도 노인스포츠지도사의 교육 우선순위로 동작을 시범보이기, 다음 일정 예고하기 등을 1순위로 꼽았다[15]. 하지만 국가 공인 자격시험을 통해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격과정이나 제도 등의 세부적인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12]. 특히 현장성이 결여된 연수프로그램은 전문인력의 현장투입을 위한 충분한 과정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어, 연수 참여자들이 직업과 관련하여 불안감마저 느끼고 있다[13]. 이런 항목들이 연수프로그램에 포함되지 않고 심지어 이를 평가하는 도구도 전무한 실정이라 노인운동지도자를 평가하는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노인운동지도자들이 노인에게 안전하고 전문적인 운동지도를 하는지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인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체육대학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평가도구는 노인운동지도자의 자질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체육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331명(23.2±3.9세)이었다.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대해 설명한 후 동의를 얻었다. 본 연구는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실시되었다(KNU_IRB_2022-129).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변인에 대한 설명은 Tables 1, 2와 같다.
Table 1.
Participant Characteristics
Variable Categories N %
Gender Male 238 71.91
Female 93 28.09
Grade (Year Level) 1st 8 2.42
2nd 26 7.89
3rd 139 41.99
4th 158 47.73
Residential Area Seoul 32 9.70
Gyeonggi-do 39 11.78
Chungcheong-do 183 55.35
Jeolla-do 28 8.40
Gyeongsang-do 2 0.60
Jeju Island 36 10.87
Others 11 3.30
Table 2.
Variables summary and descriptions
Variable Unit Mean SD Description
Dependent variable
  Safety Score 40.4 10.7 Range: 12-60
The questionnaire factors
  Professionalism Score 23.6 6.1 Range: 7-35
  Emotional communication ability Score 32.9 5.4 Range: 8-40
  Fidelity Score 34.0 6.4 Range: 9-45
Independent variables
  Age (N=322) Int. 23.2 3.9 Range: 19-46
  Living in a metropolitan area 0 or 1 1:260 (78.6%) 1: Living in a metropolitan area, 0: Out
0:71 (21.4%)
  Exercise status 0 or 1 1:61 (18.4%) 1: Exercise, 0: No Exercise
0:270 (81.6%)
  Suitability of the questionnaire Score 3.8 0.9 Range: 1-5
  Intention to use the questionnaire Score 3.9 0.9 Range: 1-5

Number of observations, 331.

SD, standard deviation; Int., Integer.

2.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는 노인운동지도자를 평가하는 도구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체육학과 교수와 체육학 박사로 이루어진 5명의 전문가회의를 통해 설문지에 대한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노인운동지도자 평가에 관한 문항은 총 36문항으로, 5점의 Likert 척도(1점 매우 그렇지 않다. ~5점 매우 그렇다.)를 사용하였다. 그 외에도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대한 4개 문항, 운동지속 여부와 빈도에 대한 2개 문항, 설문지에 대한 적절성과 사용의사에 대한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노인운동지도자의 전문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Ryan et al. [16]의 연구와 서수진[17]이 개발한 설문지를 참고하였고 평가항목은 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노인운동지도자의 정서적 교감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최한나[7]의 연구를 참고하였고 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업에 대한 충실도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ACSM et al. [18]과 Kim et al. [11]의 연구를 참고하였다. 수업에 대한 충실도는 9문항, 안전성은 1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모든 내용은 이 연구에 적합하도록 노인운동지도자의 상황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3. 조사절차 및 분석

설문지는 구글폼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 형식으로 만들어 연구 대상자들에게 배포되었다. 대상자는 운동지도자가 노인을 지도하는 영상을 시청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모든 문항을 필수 기입으로 설정하여 누락되는 문항이 없도록 하였고 연구대상자 본인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자가기입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인 331명의 작성 완료된 설문지는 자동으로 온라인으로 수집되었고, 모든 자료는 분석에 채택되었다.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을 위해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수행하였다[20]. 문항의 내적 일치성(consistency)을 확인하기 위해서 Cronbach's alpha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각 요인 간의 상관성 분석을 위한 상관분석과 안정성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는 STATA 1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전문성, 정서적 교감능력, 수업 충실성, 안전성 요인의 적재값(Factor loading)을 판단한 결과, 각 요인은 단일요인으로 추출되었고, Cronbach's alpha coefficient가 0.9031 (0.89-0.93)로 높은 내적일치성을 보였다.
모든 요인분석에서 Kaiser-Meyer-Olkin (KMO)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모든 요인에서 값이 0.8 이상(0.88-0.93) 으로 0.5보다 높아 타당성이 입증되었다(Table 3). KMO값이 .90 이상이면 매우 좋고, .80정도면 양호하며, .70-.60정도는 보통, .50 이하면 부적절하다고 알려져 있다[21].
Table 3.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results
Questionnaires Professionalism Emotional communication ability Fidelity Safety
Q1 0.8458 0.7205 0.6627 0.7953
Q2 0.8147 0.7720 0.7110 0.7255
Q3 0.7439 0.8456 0.4968 0.7828
Q4 0.6386 0.8514 0.6982 0.7703
Q5 0.8212 0.7821 0.7587 0.7545
Q6 0.7793 0.8237 0.7668 0.8259
Q7 0.7972 0.8217 0.7715 0.8162
Q8 - 0.8127 0.6659 0.8082
Q9 - - 0.7467 0.8056
Q10 - - - 0.4440
Q11 - - - 0.6828
Q12 - - - 0.8122
Eigenvalue 4.2575 5.1809 4.4388 6.9077
Cumulative 1.0262 0.9745 0.9042 0.9366
Cronbach's alpha coefficient 0.9149 0.9339 0.8901 0.9390
Kaiser–Meyer–Olkin (KMO) 0.9052 0.9123 0.8822 0.9370

Number of observations, 331.

2.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

개발한 평가도구의 요인간 관련성을 선형관계로 측정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운동지도자의 전문성, 정서적 교감능력, 수업 충실성, 안전성, 평가지의 적절성여부, 평가지 사용의사는 모두 p <.001 이하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Table 4.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es between variables
Categories Professionalism Emotional communication ability Fidelity Safety Suitability of the questionnaire Intention to use the questionnaire
Professionalism 1
Emotional-Communication Ability .5577*** 1
(.0000)
Fidelity .7819*** .7262*** 1
(.0000) (.0000)
Safety .7997*** .5565*** .7769*** 1
(.0000) (.0000) (.0000)
Suitability of the questionnaire .4514*** .3945*** .4786*** .5088*** 1
(.0000) (.0000) (.0000) (.0000)
Intention to use the questionnaire .3612*** .3647*** .4329*** .3824*** .6525*** 1
(.0000) (.0000) (.0000) (.0000) (.0000)

Number of observations, 331.

** p<.05, *** p<.001.

3. 평가설문요인이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평가설문지의 요인들이 노인운동지도자 평가 항목 중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모형의 설명력은 71.5% (Adjusted R2 =70.8%)로 나타났으며,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98.36, Prob>f=0.0000). 총 331개의 응답 중, 나이에 대한 응답이 없는 샘플을 제외한 322개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다중회귀분석에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안정성은 나이가 1살 많을수록 0.19점(p =.027) 낮아지며, 전문성이 1점 높아질수록 0.80점(p =.000), 수업 충실성이 1 높아질수록 0.60점(p = .000), 평가설문지 적절성이 1점 높아질수록 1.86점(p = .000)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Table 5.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factors on safety
beta(β) Standard Error t p-value 95% Confidence Interval
Lower Upper
Age -.1874** .0845 -2.22 .027 -0.3536 -0.0213
Living in a metropolitan area -.4627 .8072 -0.57 .567 -2.0509 1.1256
Exercise status -.9512 .8358 -1.14 .256 -2.5958 0.6933
Professionalism .8049*** .0857 9.40 .000 0.6363 0.9734
Emotional communication ability -.0363 .0862 -0.42 .674 -0.2058 0.1333
Fidelity .6009*** .0983 6.11 .000 0.4075 0.7943
Suitability of the questionnaire 1.8606*** .4905 3.79 .000 0.8955 2.8256
Intention to use the questionnaire -.4035 .4838 -0.83 .405 -1.3553 0.5483
Cons 2.0015 3.0816 0.65 .516 -4.0617 8.0647

Number of observations, 322; F=98.36, R2 =0.7154, Adjusted R2 =0.7082.

** p<0.05, *** p<0.001.

논 의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운동지도자를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인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이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여 요인과 문항들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노인운동지도자를 평가하는 평가척도를 전문성, 정서적 교감능력, 수업 충실성, 안전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모든 요인에서 높은 타당도와 내적 일치성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요인분석은 변수들 간에 존재하는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관이 높고 공통의 성향을 보이는 변수들을 요인으로 추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하는 분석방법이다. 최근,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탐색적 요인분석의 타당성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에 대해 Eom & Jang [22]는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경우 각 요인에 속하는 문항들이 문항과정에서 이미 선정되어 있고, 요인 간 관련성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정립이 되어 있어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사지의 타당성을 검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0.8 이상의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가 사용목적에 맞도록 측정을 한다는 증거가 입증되었고[23], 응답자의 일관된 반응이 노인운동지도자 평가도구에 잘 나타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평가도구는 현장에서 노인의 운동을 지도하는 전문가들을 평가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전문성, 정서적 교감능력, 수업 충실성, 안전성의 4가지 요인과 설문도구의 적절성, 평가도구의 사용의사에 대한 응답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요인 간의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각 요인이 독립변수로서 의미가 있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노인운동지도자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새로운 설문지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노인의 운동지도시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지는 안전성 요인의 경우, 전문성과 수업 충실성 요인이 긍정적 요인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노인들의 운동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이점을 가져다 주지만, 운동 시에 주의 깊은 관찰과 지속적인 확인이 필요하다[24]. 그러므로 노인운동지도자는 노인을 얼마나 능숙하게 지도하느냐 보다는, 얼마나 안전하게 지도하는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즉, 노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생리학적인 변수가 많이 있기 때문에, 안정성을 고려한 움직임에 중점을 두고 운동지도를 해야한다. 노인들이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질병유무와 건강관련 체력을 확인하고. 운동 시에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의료진에 즉각 알려주어 더 이상 부상이 악화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2].
노인운동의 안전성이 중요하게 생각되고 있지만 노인운동지도자에게 정기적인 안전 교육이나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정성 항목에 비중을 두어 다른 요인의 문항수보다 더 많은 문항을 선정하였다. 안정성의 문항 중 운동 전에 노인의 병력을 확인하는 문항과, 노인의 운동 전, 중, 후에 통증부위와 심박수 등을 확인하고 지속적으로 노인의 컨디션을 확인하면서 지도한다는 문항은 노인들이 안전하게 운동하고 사고를 최소화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아가 노인지도자를 양성하는 기관의 연수프로그램으로 응급처치나 심폐소생술 등의 안전교육을 제안하는 바이다.
이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이 연구의 표본 구성원은 체육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대상자가 한정적이었다. 체육대학 학생들의 경우 체육학적인 지식은 어느정도 가지고 있어서, 향후 본 평가도구를 활용하게 될 운동지도자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했다고 생각하나, 추후 연구에서는 실제 노인의 운동을 지도하고 있는 경력자를 대상으로 양적 연구가 진행된다면 더 현실적인 의견의 수렴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지역분포를 살펴보면 충청도 거주자가 55.35%로 지역이 다소 편중되어 있었다. 이런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지역의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결과를 일반화시킬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겠다.

결 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노인운동지도자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설문지는 높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나타냈다. 본 평가도구는 예비 노인스포츠지도사나 현장에서 노인의 운동을 지도하는 강사들에게 올바른 지도방법을 인식시키는 역할을 하고 나아가 노인운동지도자의 질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Conflict of Interest

이 논문 작성에 있어서 어떠한 조직으로부터 재정을 포함한 일체의 지원을 받지 않았으며, 논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떠한 관계도 없음을 밝힌다.

AUTHOR CONTRIBUTION

Conceptualization: H Kong, J Hong, Data curation: J Hong, H Kim, Formal analysis: H Kim, Funding acquisition: J Hong, Methodology: J Hong, H Kim, Project administration: H Kong, Writing - original draft: J Hong, H Kim, Writing - review & editing: H Kong, J Hong, H Kim.

REFERENCES

1. Statistics Korea. 2022 senior citizen total rate. Seoul: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22.

2. Kim SH. The roles and competence of senior sports leaders to ensure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enior sports programs. J Sport Leis Stud.. 2009;35:661-76.
crossref
3. Carron AV, Hausenblas HA, Mack D. Social influence and exercise: a meta-analysis. J Sport Exerc Psychol.. 1996;18:1-16 https://doi.org/10.1123/jsep.18.1.1.
crossref
4. Carron AV, Spink KS. Team building in an exercise setting. Sport Psychol.. 1993;7:8-18.
crossref
5. de Lacy-Vawdon CJ, Klein R, Schwarzman J, Nolan G, de Silva R, et al. Facilitators of attendance and adherence to group-based physical activity for older adults: a literature synthesis. J Aging Phys Act.. 2018;26(1):155-67 https://doi.org/10.1123/japa.2016-0363.
crossref pmid
6. Kim HT. A study on the sustainable leisure policy for the aged. J Sport Leis Stud.. 2004;22:221-37.
crossref
7. Choi HN. A study on the seniors’ perception on the roles of senior sports instructors [thesis]. Changwon: Kyungnam University 2022.

8. Harvey K, Griffin M. Exercise instructors for older adult fitn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Can J Aging.. 2020;39(3):373-84 https://doi.org/10.1017/S0714980819000436.
crossref pmid
9. Oldridge NB. What to look for in an exercise class leader. Phys Sportsmed.. 1977;5(4):85-8 10.1080/00913847.1977.11710557.
crossref pmid
10. Korean Sports Promotion Foundation (KSPO). Guide to the qualification examination system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sqms.kspo.or.kr/info/licenseInfoOlsc.kspo.

11. Kim SY, Won YS, Park SH. A relation in role ambiguity,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elderly sports instructor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2018;33(2):19-36.
crossref
12. Choo N, Kim SH. The study on effectiveness & improvement of obtaining sports instructor qualification for senior: focus on Jeollanam-do.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2020;37(4):711-22 https://doi.org/10.12925/jkocs.2020.37.4.711.
crossref
13. Bae JY, Won YS, Ma YS. A case study regarding the purpose of obtaining qualification for senior sports instructors, prospect of the occupation and the occupational stability.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2015;28(4):67-95.
crossref
14. Lee HH. Coaching ability evaluation of elder sports instructors for active aging. Korea Sport Society.. 2017;15(1):347-57.

15. Kang HW. A job analysis for elderly sport-for-all instructors using DACUM method.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7;56(5):253-66.
crossref
16. Ryan JL, Wright FV, Levac DE. Motor learning strategies rating instru-ment instruction manual. Toronto: Bloorview Research Institute 2016.

17. Seo SJ. Development of a method to measure professionalism among pilates instructor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18;57(5):351-62.

18.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CSM). Riebe D, Ehrman JK, Liguori G, Magal M.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Philadelphia (PA): Wolters Kluwer 2022.

19. Choi MY. The relationship formation process between elite dance sports leaders and players.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2015;32(1):91-106.
crossref
20. Kang H.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 Korean Acad Nurs.. 2013;43(5):587-94 https://doi.org/10.4040/jkan.2013.43.5.587.
crossref pmid
21. Kaiser HF.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1974;39:31-36 https://doi.org/10.1007/BF02291575.
crossref
22. Eom HJ, Jang CO. Use and misuse of EFA, CFA, and SEM methods: a content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2008;47(2):1-16.

23. Oh S, Lee BY. Introduction to objectivity and its usage. Korean Society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cience.. 2002;4(1):1-12.

24. Van Noman KA. Exercise programming for older adults. IL: Human Kinetics 1995.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XML Download  XML Download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0
Scopus 
1,585
View
48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The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Dept. of Healthcare and Science, Dong-A University, 37, Nakdong-daero 550beon-gil, Saha-gu, Busan 49315, Korea
TEL: +82-51-200-7517   E-mail: editor@ksep-es.org
Editorial Assistant: Taewan Kim +82-10-4019-0208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The Korean Society of Exercise Physiology.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