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삼봉 정도전 수기관의 현대적 시사점

Modern Implication of Sambong's Self-cultivating

한국행정사학지
약어 : 행정사학지
2017 no.41, pp.99 - 123
DOI : 10.15856/jakpah.2017..41.99
발행기관 : 한국행정사학회
연구분야 : 행정학
Copyright © 한국행정사학회
53 회 열람

수기는 격물, 치지, 성의, 정심 등 개인의 인격수양에 핵심이 있다. 삼봉의 수기관은 “의리로써 마음을 보존하여 함양하면 물욕에 가려짐이 없고, 마음의 전체가 비고 밝아서 크게 쓰여도 어긋남이 없을 것이다. 의를 모으고 기를 길러서 확충하면 지극히 크고 지극히 강한 기가 호연하게 스스로 생겨서 천지에 가득할 것이다”는 어록을 남겼다. 이 글은 수기는 어떤 효과를 자신에게 미치고, 어떤 치인 효과를 갖는가와 관련, 내성과 수기를 통하여 진심지성에 이르고자 하였던 삼봉의 수기관을 분석하였다. 高齋坐斷蒲團上(높은 집에 들어가 포단 깔고 앉았더니)라는 정좌경험이 한 사례가 된다. 공자는 ‘수기이안인(修己而安人)’과 수기(덕치)와 치인(법치)과 교화를 가르쳤다. 수기(내적 제도화, 양기)와 치인(외적 제도화, 양인)은 뿌리가 같으며, 그 조화는 중용으로 수기를 내적 제도화라고 한다면, 치인은 외적 제도화이다. 수기의 목표는 자기를 이루어 남을 이루게 함에 있으며, 치인의 결과로 비로소 완전한 수기를 이룰 수 있다. 그 대강은 「대학」과 「중용」에 요점이 전한다. 여기에서는 삼봉의 수기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정좌 등 사회적 활용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article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clarifies research questions, the purpose of study and methodology about modern implication of Sambong's self-cultivating. The second deals with methods of study, literature review,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modern implication of Sambong's self-cultivating. The third presents major methodology of self-cultivating & sitting in meditation about modern implication of Sambong's self-cultivating & sitting in meditation. The forth suggests research effect & limitations for fostering empathy effect of modern implication of Sambong's self-cultivating & Sitting in meditation. The fifth concluded that there are healing channel, healing, some suggestion & expectation effect, so forth. Those alternatives are Sangbong's clean mind, unselfishness & Sambong's self-cultivating & sitting in meditation. Lastly, the social use & cases of modern implication of Sambong's self-cultivating & sitting in meditation taught us the meaning & evaluation of Confucianism healing, Sambong idea’s differentiation, social use, Korean culture identity, implication of constitutional revision, Sambong’s sitting in meditation, Building Sambong’ bust in parliamentary government street, so forth.

三峯, 性理學, 修己, 靜坐, 삼봉 胸像, 사회적 활용
Sambong, Confucianism, Self-cultivating, Sitting in meditation, Sambong Bust, Social use

  • 1. [학술지] 김종진 / 1988 / 삼봉시의 한 국면 / 서울대 사대논집
  • 2. [학술지] 고혜령 / 2009 / 회헌 안향의 생애와 업적 / 유학과 현대 / 19
  • 3. [학술지] 김병구 / 1998 / 안향의 생애와 사상 / 한국사상과 문화 / 1
  • 4. [학술지] 김인호 / 2005 / 鄭道傳의 역사인식과 군주론의 기반 ―<經濟文鑑>의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 (131) : 257 ~ 131 kci
  • 5. [학술지] 김비환 / 2008 / 경국대전체제에 나타난 유교적 법치주의의 구조와 성격 『조선왕조실록』 기사를 중심으로 / 성균관법학 / 20 (1) : 491 ~ 1 kci
  • 6. [학술지] 노평규 / 1992 / 안향에 대한 사상사적 일고찰 / 동양철학연구 / 13 : 149 ~
  • 7. [학술지] 도현철 / 2008 / 정도전의 경학관과 성리학적 질서의 지향 / 태동고전연구 / 24 : 31 ~
  • 8. [학술지] 민찬 / 1999 / 정도전의 사상적 경향과 문학에 대한 입장 / 인문과학논문집 / 27 : 85 ~
  • 9. [기타] 서정화 / 2017 / 삼봉 정도전 법치사상과 조선경국전 / 서울대총동창신문 : 469
  • 10. [학술지] 손병욱 / 1994 / 남명 ‘경의’ 사상의 기저로서의 정좌수행 / 남명학연구논총 / 2
  • 11. [학술지] 손병욱 / 2012 / 선비의 수양과 삶 / 남명학 / 17 : 37 ~
  • 12. [학술지] 신주호 / 2016 / 정도전의 사상에 관한 헌법적 고찰 / 경희법학 / 51 (3) : 3 ~ 3 kci
  • 13. [학술지] 신주호 / 2016 / 정도전의 헌법 사상에 대한 고찰 / 홍익법학 / 17 (3) : 93 ~ 3 kci
  • 14. [학술지] 이병렬 / 2014 / 정도전의 민본(民本)행정사상 연구 / 한국행정사학지 (35) : 121 ~ 35 kci
  • 15. [학술지] 이병렬 / 2016 / 朝鮮前期 鄕憲 56條의 住民自治 活用方案 / 한국행정사학지 (38) : 99 ~ 38 kci
  • 16. [기타] 이성무 / 2001 / 선비정신에서 찾는 공직자의 길(유교문화체험 연수교재) / 문화체육관광부, 퇴계학연구원
  • 17. [학술지] 이원석 / 2006 / 노재 허형(1209-1281)의 생애와 철학사상 / 규장각 / 29 : 219 ~
  • 18. [학위논문] 이연실 / 2014 / 『周易』의 修己治人 思想연구
  • 19. [학술지] 이윤희 / 2008 / 유가 심성수양법 분류안 / 동양예학 / 18 : 53 ~
  • 20. [단행본] 이황 / 1995 / 이퇴계의 활인심방 / 범우사
  • 21. [학술대회] 이종수 / 2017 / AI시대 공직구조 개편과제 / 인사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 143 ~
  • 22. [학술지] 이종수 / 2017 / 官僚腐敗의 莊子 內丹法 治癒事例 分析 - 탐욕적 게걸병을 중심으로 - / 仙道文化 / 23 : 371 ~ kci
  • 23. [학술지] 이종수 / 2017 / 이원익의 청렴행정 힐링 효과분석 / 인성교육연구 / 2 (1)
  • 24. [학술지] 이종수 / 2017 / 지방자치형 분권헌법 개헌 / 자치의정 / 20 (3) : 33 ~ 3
  • 25. [학술지] 이종수 / 2016 / 영의정 이원익의 청렴행정 스토리텔링 힐링 효과분석 / 인성교육연구 / 1 (1) : 93 ~ 1
  • 26. [학술지] 이종수 / 2016 / 조선 중기 수령장리 치유사례 분석 / 지역정책연구 / 27 (1)
  • 27. [학술지] 이종수 / 2016 / 오리梧里 이원익李元翼 청렴행정淸廉行政의 관료병官僚病 치유 사례 분석 - 조선중기 무관武官 장리贓吏를 중심으로 / 국학연구 (29) : 403 ~ 29 kci
  • 28. [학술지] 이종수 / 2014 / 삼봉의 과전법 집행사례분석 : 사전개혁론과 개선론을 중심으로 / 공공정책연구 / 21 (1) : 115 ~ 1
  • 29. [학술지] 이종수 / 2001 / 조선전기 경관,외관 포폄제도 집행 실태 비교분석 / 중앙행정논집 / 15 (2) : 19 ~ 2
  • 30. [학술지] 정순우 / 1999 / 조선전기 영남지역 평민층에 대한 교화와 교육 / 정신문화연구 / 22 (3) : 101 ~ 3
  • 31. [학술지] 조기영 / 1997 / 삼봉 정도전의 관물태도와 시적 양상 / 동양고전연구 / 9
  • 32. [학술지] 조준하 / 1998 / 삼봉 배불론의 현대적 의의 / 한국사상과 문화 / 1 : 153 ~
  • 33. [단행본] 최석기 / 2014 / 조선선비의 마음공부, 정좌 / 보고사
  • 34. [학위논문] 최지연 / 2008 / 삼봉의 산문 연구
  • 35. [단행본] 한형조 / 2013 / 500년 공동체를 움직인 유교의 힘 / 글항아리
  • 36. [단행본] 黃公偉 / 1971 / 宋明淸理學體系論史 / 幼猀文化事業公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