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연령주의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고정관념, 노화, 차별의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된, 22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은 교사, 청소년, 연령주의 전문가 등의 검토를 거쳐 수정되었다. 수정된 문항을 바탕으로 중학교 2개, 고등학교 4개 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772명의 학생이 참여했으며, 교차타당화를 위해 무선으로 양분하였다. 231명은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541명은 확인적 요인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초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통해서 6문항을 삭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요인을 확인하고, 5문항을 삭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11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최종 문항의 전체 Cronbach’s α가 .839이고, 하위 요인 간의 상관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는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연령주의를 측정하기에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여 노인에 대한 청소년의 연령주의 인식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대이해를 기반으로 한 세대통합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geism scales for adolescent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e study addressed stereotypes, aging, and discrimination based on 22 questions. The developed questions were examined by teachers, adolescents, and ageism specialists. Based on the revised questions,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a total of 772 students at 2 middle schools and 4 high schools. Participants were divided for cross-validatio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231 adolescents, whi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for 541 adolescents. Through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6 questions were deleted. 3 factors were confirm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5 questions were dele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final 11 questions to ensure validity. The total Cronbach"s α in the final question was .839,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us, developed scales throughout this study were validated for measuring ageism of adolescents. Using this developed scale, study researchers have identified meaningful basic materials that can be used to confirm the awareness of ageism and to discuss various methods that can help different generations to understand i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6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