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노자와 공자의 인간에 대한 이해와 “爲”의 문제 - “樸”과 “直”을 중심으로

Lao-tzu and Confucius’ Views of Human Being and the Problem of ‘Wei’: Centering around ‘Pu’ and ‘Zhi’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15 no.76, pp.5 - 34
DOI : 10.15841/kspew..76.201506.5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189 회 열람

본 연구는 먼저 노자의 ‘박(樸)’과 공자의 ‘직(直)’을 중심으로 그들의 인간 이해를 살핀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자기 수양[修己], 가르침[敎], 정치 행위[治國]의 측면에서 노자와 공자의 이상적 행위 방식[爲]을 탐구한다. 노자는 인간이 본래 소박하며, 스스로 변화하고 스스로 소박해질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보았다. 이를 기초로 노자는 도의 실천[爲道], 불언의 가르침[不言之敎] 그리고 무위의 정치[無爲之政]를 제시하였다. 이를 무위적 행위론으로 개괄할 수 있다. 공자의 ‘직’은 자신이 맞닥뜨린 감정과 상황에 대해 있는 그대로 반응하는 진실함을 의미한다. ‘직’은 인(仁)의 기초인데, 이것은 인간이 도덕적으로 성숙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는 동시에 인문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인간의 불완전성을 보여 주는 개념이다. 이러한 인간 이해를 기초로 공자는 배우기를 좋아함[好學], 정명의 가르침[正名之敎] 그리고 덕행의 정치[德行之政]를 이상적인 행위 방식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덕행 중심의 행위론으로 개괄할 수 있다. 전국 중기 이후 인간에 대한 탐구는 성(性)의 차원까지 심화되었으며, 인간의 본성을 어떻게 파악하는가에 따라 이상적인 행위 방식에 대한 논의도 재구성되었다. 노자의 ‘박’과 공자의 ‘직’은 이러한 논의들의 출발점으로서 자리매김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Lao-tzu’s ‘Pu(樸)’ and Confucius’s ‘Zhi(直)’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Based on this, the ideal way of acting[爲] suggested by each doctrine i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s of Xiuji(修己), Jiao(敎) and Zhiguo(治國). Lao-tzu thinks that the human being is naturally simple, and believes that the human being has the ability of voluntarily changing[自化] and the ability to voluntarily simplicity[自樸]. On the basis of this, he suggests the practice of Dao[爲道], the teaching without words[不言之敎] and the Wuwei of the government[無爲之政]. This is able to create the theory of Wuwei action. ‘Zhi’ of Confucius means the sincerity to respond to self-feeling and situation as it is. ‘Zhi’ is the basis of the Ren(仁), this is a concept that shows the incompleteness of the human being which didn't go through the humanized process while showing the possibility that humans become mature morally. On the basis of such an understanding on the human being, confucius presents the ideal way of acting which is the enjoying to learning[好學], the teaching of the Confucian ethical code[正名之敎] and the politics of virtue[德行之政]. This is able to create a theory of action focused on the virtue. After the middle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study on the human being intensified to the level of Xing(性), and the debate about the ideal way of acting was reconstituted depending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instinct. Lao-tzu’s ‘Pu’ and Confucius’s ‘Zhi’ should be rooted as the starting point of these discussions.

박(樸), 직(直), 수기(修己), 교(敎), 치국(治國)
Pu(樸), Zhi(直), Xiuji(修己), Jiao(敎), Zhiguo(治國)

  • 1. [단행본] 郭慶藩 / 1997 / 莊子集釋 / 中華書局
  • 2. [단행본] 高明 / 1998 / 帛書老子校注 / 中華書局
  • 3. [단행본] 김용옥 / 2008 / 『논어한글역주』제3권 / 통나무
  • 4. [단행본] 大濱晧 / 1999 / 노자 철학 연구 / 청계
  • 5. [단행본] 劉文典 / 1997 / 淮南鴻烈集解 / 中華書局
  • 6. [단행본] 박성규 / 2011 / 논어집주 / 소나무
  • 7. [단행본] 范曄 / 1973 / 後漢書 / 中華書局
  • 8. [단행본] 孫希旦 / 2007 / 禮記集解 / 中華書局
  • 9. [단행본] 楊伯峻 / 2006 / 論語譯註 / 中華書局
  • 10. [단행본] 王弼 / 2009 / 王弼集校釋 / 中華書局
  • 11. [단행본] 李零 / 2002 / 郭店楚簡校讀記 / 北京大學出版社
  • 12. [단행본] 朱熹 / 1977 / 『朱子語類』(上)
  • 13. [단행본] 朱熹 / 2005 / 四書章句集注 / 中華書局
  • 14. [단행본] 馮友蘭 / 2003 / 中國哲學史新編(上卷) / 人民出版社
  • 15. [단행본] 荊門市博物館 / 1998 / 郭店楚墓竹簡 / 文物出版社
  • 16. [학술지] 문석윤 / 1997 / 中國 先秦儒學에서의 自然과 道德―『論語』와 『孟子』 / 철학연구 / 41 (1) : 1 ~ 1
  • 17. [학술지] 유명종 / 1983 / 孔子의 ‘直’에 관한 思想 / 대학원논문집 / 7 : 155 ~
  • 18. [학위논문] 이임찬 / 2011 / 『老子』"無爲"思想硏究
  • 19. [학술지] 이임찬 / 2013 / 무위적 개인과 현동 사회 — 노자의 개인-공동체 모형을 중심으로 — / 한국철학논집 (38) : 7 ~ 38 kci
  • 20. [학술지] 李洪衛 / 2010 / 孔子論“直”與儒家心性論思想的發端―也從“父子互隱”談起 / 河北學刊 / 30 (2) : 227 ~ 2
  • 21. [학술지] 周海春 / 2005 / 『論語』中“直”的哲學意蘊 / 中國哲學史 / 3 : 39 ~
  • 22. [학술지] 최진석 / 2011 / 공자의 직(直) / 범한철학 / 60 (1) : 1 ~ 1 kci
  • 23. [인터넷자료] / 象形字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