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공자 철학사상에서 인간의 본질에 대한 논의는 ‘인간은 도덕적인 존재이다’라는 전제 아래 전개되어 인간의 천부적 도덕성을 찾는 것에 맞추어져 있다. 이것은 우리가 공자의 인간학을 논할 때 그 출발점을 ‘공자가 인(仁)개념을 자신의 철학사상에 있어서 핵심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는 까닭은 무엇인가?’하는 문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런데 여기에 대한 정확한 대답은 그의 정치철학과 관련하여 이해할 때 명확하게 찾아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다만 우리가 공자의 인론(仁論)을 논할 때 가장 먼저 질문해 볼 필요가 있는 문제, 즉 공자가 모든 개별 덕목들의 토대이자 그 종합적 완성이라고 주장하면서 그의 철학 사상에 있어서 핵심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는 인(仁)에만 한정하여 논함으로써 ‘무엇을 인(仁)이라고 하는가?’, ‘인(仁)이란 무엇인가?’하는 것을 쉽게 풀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 글은 인(仁) 자체의 특성을 가장 구체적으로 규정해 주고, 또한 그것의 이해에 가장 많은 도움이 되는 몇 가지 명제들, 즉 ‘극기복례(克己復禮)’, ‘애인(愛人)’, ‘효제(孝悌)’, ‘충서(忠恕)’ 등의 구절을 체계적으로 연결시켜 해석해 봄으로써 인(仁)의 총체적인 특징을 유도해내고자 한 것이다. 필자는 공자의 인(仁)에 대한 주장에 있어서는, 일관된 규정이 전제되어 있을 것이라 생각하며, 이 일관된 것이 어떠한 것인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또한 본 논문의 목적이기도 하다. 공자가 인(仁)자를 쓸 때, 두 가지 용법이 있는데, 하나는 넓은 의미로, 또 하나는 좁은 의미로 쓴 것이다. 넓은 의미의 인(仁)은 모든 덕의 총칭이고 좁은 의미의 인(仁)은 남을 사랑하는 것이다. 『논어』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仁)개념은 실상 애인(愛人)이라고 하는 기본적 의미를 모두 함축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볼 때 공자가 말하는 인(仁)은 내 마음을 미루어 진실하게 타인을 위해 주는 도덕적 원리였다. 공자가 말하는 인(仁)은 ‘인간에 의한 사랑’이라고 그 정의를 내려도 무방하다. 인(仁)은 인간의 본성이요, 사랑은 인간의 정감이다. 인(仁)이 그 숭고한 이상이라면 사랑은 그 구체적 표현이다. 예컨대 스승에 대한 경애, 친구에 대한 우애, 국가에 대한 충애(忠愛) 등이 그것이다. 공자가 말한 인(仁)은 그 핵심적인 의미로 말하면 곧 사랑이고, 그 구성요소로 말하면 모든 덕의 집합체이다.

키워드

인, 의, 예, 극기복례, 효제, 충서, 중용

참고문헌(16)open

  1. [기타] / 四書(大學, 論語, 孟子, 中庸)

  2. [단행본] 금장태 / 2006 / 仁과 禮 / 서울대학교출판부

  3. [단행본] 김충열 / 2007 / 김충열 교수의 중용․대학강의 / 예문서원

  4. [단행본] 金忠烈 / 1990 / 東洋 人性論의 序說, In 東洋哲學의 本體論과 人性論 / 延世大學校出版部

  5. [단행본] 宋 復 / 2003 / 동양적 가치란 무엇인가 / 지식마당

  6. [단행본] 야마다게이찌 / 1994 / 주자학의 자연학 / 통나무

  7. [단행본] 楊 適 / 1999 / 인륜과 자유 / 소강

  8. [단행본] 王邦雄 / 2002 / 논어 철학 / 서광사

  9. [단행본] 尹天根 / 1987 / 原始儒學의 새로운 解釋 / 온누리

  10. [단행본] 이승환 / 2001 /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 고려대학교 출판부

  11. [단행본] 이완재 / 2001 / 공자에서 퇴계까지 / 이문출판사

  12. [단행본] 陳大齊 / 1996 / 공자의 학설 / 이론과 실천

  13. [단행본] 천병돈 / 2000 / 공자의 철학 / 예문서원

  14. [학술지] 박재주 / 2007 / 狀況倫理로서의 儒家의 中庸倫理 / 동서철학연구 (43) : 195 ~ 224

  15. [학술지] 이상은 / 2007 / 원시유가의 형성과 본질적 이념-공자의 천인관과 예악사상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50) : 7 ~ 38

  16. [학술지] 이원목 / 2006 / 中庸思想의 形而下者的 論理構造 / 유교사상문화연구 (25) : 161 ~ 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