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인위(유위)의 정치에 대한 노자의 비판

Laozi's Critique of Artificial Politics

동서철학연구
약어 : S.P.E.W
2024 no.111, pp.5 - 34
DOI : 10.15841/kspew..111.202403.5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연구분야 : 철학
Copyright © 한국동서철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3 회 열람

이 논문에서는 인위 혹은 유위 정치에 대한 노자의 비판에 관하여 살펴 보았다. 안정적으로 유지되던 서주의 노예 기반 봉건제도가 붕괴하면서 사회에 큰 혼란이 일어났다. 그러나 관점을 바꾸면, 당시의 제후들은 중앙집권적 통일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통일 전쟁에 몰두했다고 볼 수도 있다. 전쟁에 승리하기 위하여 산업을 발전시킨 측면도 있지만, 전쟁은 인명 피해와 경제적 파괴를 수반하여 백성들을 궁지로 몰아쳤다. 이런 사회적 혼란과 무질서를 해결하기 위한 대표적인 해법이 유가의 인간주의적 윤리 규범의 확립과 예치, 극단적 인간주의를 표방한 법가의 법치이다. 그러나 노자는 이러한 해법은 개인의 삶에 대한 억압·속박·구속·간섭·지배·통제 등 부정적인 문제점을 낳는다고 비판했다. 유학이나 법학 등 인간주의의 원리에 기반한 정치는 자연스럽지 않고, 인위적이고 유위적이므로 근원적 해법이 될 수 없다는 것이 노자의 비판 요지이다. 다음은 현실 통치자들의 부적절한 통치 행위에 대한 노자의 비판에 관하여 살펴 보았다. 당시의 포악한 통치자들의 현실 정치도 인위 혹은 유위의 정치에 해당한다. 그들의 통치 행위는 사람들의 마음에 멍에를 씌우고, 손발에 족쇄를 채워서 백성들의 자유를 구속했다. 따라서 백성들은 통치자를 신뢰하지 않았고, 노자는 이를 비판했다. 또한 노자는 통치자들의 경제적 약탈, 비합리적인 고집과 교만함, 자랑질, 가짜 학문과 기교 등의 통치술에 대하여 비판했다. 이러한 현실 정치에 대한 노자의 비판은 무위의 이상 정치를 위한 전제 조건이다.

노자, 인위(유위) 비판, 현실 정치 비판, 유가 예치 비판, 법가 법치 비판.
Lao Tzu, Critique of artifice, Critique of real politics, Critique of Confucian Ethics, Critique of Legalism and Rule of Law.

* 2023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