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6.57.207
18.216.57.207
close menu
KCI 등재
에듀테인먼트 관련 연구를 통한 에듀테인먼트 재개념화에 대한 검토 -최근 6년 간(2008-2013년)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n the reconceptualization of edutainment based on academic researches from 2008 to 2013
김영환 ( Young Hwan Kim ) , 류춘근 ( Choon Geun Rhew ) , 손미 ( Mi Shon ) , 이지연 ( Ji Yon Lee ) , 정주훈 ( Ju Hun Jeong ) , 김선정 ( Seon Jeong Kim )
DOI 10.15833/KAFEIAM.20.4.621
UCI I410-ECN-0102-2015-300-002290957

이 연구는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저술된 에듀테인먼트 관련 연구들의 내용적 특성과 개념의 변화를 점검하여 에듀테인먼트 재개념화에 대한 선행연구결과와 비교 검토하고 향후 바람직한 연구 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 115건을 대상으로 내용분석과 학술지 주제어 등을 중심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듀테인먼트 관련 연구들은 교육공학이나 컴퓨터분야 등에 국한되지 않고 인문학과 예술 등 여러 영역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히 주제어 빈도수 분석 결과 2008년 연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던 주제어들이 최근 다양하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에듀테인먼트의 개념은 아직도 협의적 개념이 많이 사용되기는 하지만, 2008년 연구에 비해 중의적 및 광의적 개념을 사용한 연구들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방법에 있어서도 일방적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 중심에서 다양한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쌍방향성을 중시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었다. 셋째, 그간 이루어졌던 연구의 경향성들은 2008년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되었던 재개념화에 대한 전망 및 논의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석결과에 따른 에듀테이먼트 관련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제간 전문성을 서로 보완하여 인문학에서 공학, 예술에 이르기까지 융합된 에듀테인먼트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 단속적인 연구를 넘어 에듀테인먼트의 특징적 요소와 학습방법을 연계한 보다 광의적 개념의 고려한 장기적 연구가 요청되고, 셋째, 보다 기초적인 것으로 다양한 참여 대상 및 그들의 학습동기, 그리고 학교 현장의 학습환경(예, 스마트기기 등) 등을 고려한 체제적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ate the concept of the edutainment in various academic areas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that of previous research, and also to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in wider sense of edutain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115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2008 to 2013 were analyzed in terms of academic areas, edutainment concepts, key topic words related with edutainment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Text analysis method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edutainment was used in various research fields not only in social science including education fields, but also in art, science, design, human literature fields. Second, most of the researches used the concept of edutainment in a way of narrow sense or micro-level meaning(like as focused on game-based e-learning), however the frequency of using macro level concept of edutainment(like as address general issu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studies was increased a lot comparing to the results of research trends done by 2008.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prospects for the reconceptualization of macro-level edutainment in our previous research in 2008 were regarded as valid and appropriate.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