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체육교사가 투기도전 스포츠 중 검도수업을 실천해 가는 이야기를 사실적으로 기술하고 그 수업 과정에서 드러나는 교육적 함의를 다시 이야기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도권의 ‘K’중학교에 근무하는 체육교사가 2019년 3월 초부터 5월 말까지 실시했던 검도수업 개선에 관한 이야기이다. 연구참여자는 유목적 표집법 중 결정적 사례 표집에 따라 선정하였다. 검도라는 학교체육에서 다루기 힘든 투기도전 스포츠를 수행한 한 명의 중학교 체육교사가 연구참여자로 결정되었다. 자료는 연구참여자와의 면담, 수업 동영상 관찰, 관련 문서를 중심으로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Clandinin & Connelly(2000)의 넓게 바라보기, 깊이 바라보기, 이야기하기, 다시 이야기하기 단계에 맞추어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검도수업 준비를 위해 검도수업에서 추구하는 가치를 설정하였고, 검도수업 커리큘럼 구성과 교구를 준비하였다. 실제 검도수업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검도의 절차와 예식을 지도하였고 직접교수 모형과 상호학습 스타일의 혼용하였으며, 학습자 관리와 루틴을 확보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에 대한 이해의 폭이 깊어졌다. 검도수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얻은 성찰에서 블록타임 수업시간 확보가 필요하다고 하였고, 무도 컨설팅 전문가 확보도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와 함께 다양한 검도수업 교구 확보를 위한 노력도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이야기를 다시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첫째, ‘검도 예식’으로 학생들에게 ‘예’를 체험하게 했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얻게 되었다. 둘째, ‘검도 타격’에서 학생들의 ‘화풀이 본능’을 발견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검도 복식’으로 학생들의 ‘체화된 인지’를 이해하였다는 중요한 의미를 탐색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stically describe a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e story about practising kendo lessons of martial arts challenge sports, and also to talk about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gain shown in the lesson process. Method: This is a story about the improvement of kendo lessons performed from the early March 2019 to the end of May 2019, by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of ‘K’ middle school in the capital area. The research participant was selected by following the critical case sampling of purposive sampling. The data was collected focusing on interview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 observation of lesson video, and relevant document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steps like viewing widely, viewing deeply, talking and talking again of Clandinin & Connelly(2000). Results: For the preparation of kendo lesson, the research participant set up a value pursued in Kendo lesson and then prepared the composition of Kendo lesson curriculum and teaching aids. In the actual process of performing the Kendo lesson, the teacher thaught the procedure and ceremony of Kendo, mixed the direct-teaching model and mutual learning style, and secured the management and routine of learners. In this process, the width of understanding of students got broadened. In the introspection obtained from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 Kendo lesson, the teacher sai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secure the block time lesson hours, and also to secure consulting experts in martial arts. And it would be also needed to put efforts to secure diverse teaching aids for Kendo lesson. Conclusion: In the process of talking about this story agai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experienced ‘manners’ in the ‘Kendo ceremony’. Second, the students’ ‘instinct to take their anger our’ was found out in the ‘Kendo hit’. Third, the students’ ‘embodied cognition’ was understood in the ‘Kendo costum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J’교사의 검도수업 이야기
Ⅳ. ‘J’교사의 검도수업 이야기 다시하기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참고문헌 (2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374-000126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