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近代化 過程에서의 ‘言文一致’의 受容과 그 樣相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and its aspects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어문연구(語文硏究)
약어 : -
2019 vol.47, no.3, pp.29 - 61
DOI : 10.15822/skllr.2019.47.3.29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8 회 열람

조재형, 2019, 근대화 과정에서의 ‘언문일치’의 수용과 그 양상, 183 : 29~61 이 글의 목적은 우리 사회가 겪었던 근대화 과정에서의 ‘言文一致’의 수용과 그 양상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언문일치’라는 개념의 형성 과정과 그 개념을 洞視해야 한다는 점과 당시 우리 사회에서 ‘언문일치’를 어떻게 이해했고, 어떤 모습으로 구현하고자 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이런 문제점들을 논의하기 위해 2장에서는 서구 사회와 일본의 ‘언문일치’의 형성 과정과 그 개념에 대해 언급하였다. 3장에서는 우리 사회의 ‘언문일치’의 수용 과정을 살펴보면서 서구 사회와 일본의 언문일치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우리의 근대화 과정에서 보이는 여러 표기체들을 비교하면서, 이런 표기체들이 갑자기 사용된 것이 아니라는 점과 당대의 지식인들이 언문일치를 추구한 이유에 대해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cceptance of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and its aspects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that our society has experienced. To do this, we raised the problem of forming the concept of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and understanding the concept. Also, we raised the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in our society and how it was intended to be implemented at that time. In order to discuss these issues, we discusses the process and the concept of the formation of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in Western society and Japan in Chapter 2. Furthermore, we examined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in our society, and suggeste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Western society and Japanese in Chapter 3. Also, in comparing the various writing methods seen in our modernization process, we mentioned that these various writing methods were not used suddenly and why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 pursued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in Chapter 4.

言文一致, 近代化, 民族, 表記體, 音聲 言語, 文章 言語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modernization, nation, writing method, spoken language, written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