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안서현, 2019, 최인훈의 『화두』에 대한 비교문학적 연구, 어문연구, 181 : 257~281 최인훈은 『화두』에서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언급하고 있으며, 인터뷰 등 여러 지면에서 두 작품 사이의 관련성을 암시하였다. 본고는 『화두』가 ‘원형적 책 읽기의 기억에 대한 회상―최초의 글쓰기의 기억에 대한 회상―이러한 기억들에 힘입은 글쓰기의 재시작’이라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서사 구조를 재해석해내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 글쓰기를 통해 죽음이라는 거대한 문제에 대항하려 했던 프루스트의 ‘나’와 마찬가지로, 최인훈의 ‘나’ 역시 고교 국어 시간에 자신을 비롯한 학생들에게 던져졌던 국어 선생의 질문이자 작가 조명희가 남긴 화두였던 ‘자신’의 문제를 자기 글쓰기의 주제로 발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글쓰기를 다시 시작하기에 이르는 작가적 회심의 서사가 이 작품의 핵심에 놓인다. 또한 최인훈은 프루스트의 글쓰기 원리와도 유사한 기억의 현상학을 변용하여 자신의 방법론으로 삼고 있다. 책 읽기와 글쓰기를 통하여 과거를 현재의 지평으로 불러오는 이러한 시도를 통하여 그가 작가로서의 자기 확인과 자기 구원의 길로 나아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키워드

崔仁勳, 화두, 프루스트, 잃어버린 時間을 찾아서, 기억, 현상학

참고문헌(36)open

  1. [단행본] 최인훈 / 2008 / 화두 1~2, 최인훈 전집 14~15 / 문학과지성사

  2. [학술지] 최인훈 / 2009 / 「두만강」에서 「바다의 편지」까지 / 문학과사회 (여름)

  3. [단행본] 마르셀 프루스트 / 1998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되찾은 시간 / 국일미디어

  4. [단행본] 마르셀 프루스트 / 2016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6 / 민음사

  5. [기타] / 시사저널

  6. [기타] / 도서신문

  7. [학술지] 구재진 / 2004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기억하기’와 탈식민성 - ≪서유기≫를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학연구 (15) : 386 ~ 417

  8. [학술지] 구재진 / 2007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공동체적 기억과 민족 담론 / 어문학논총 26

  9. [학술지] 구재진 / 2007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노스탤지어와 역사 감각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1 (1) : 13 ~ 35

  10. [학술지] 구재진 / 2015 / 최인훈의『화두』에 나타난 애도와 기억 / 외국문학연구 (57) : 9 ~ 32

  11. [학술지] Seongwoo Kwon / 2014 / Exile and Late Style through Conversation with Modern Literature / The Review of Korean Cultural Studies 45 (45) : 61 ~ 88

  12. [학술지] Seong-Woo Kwon / 2016 / Books and Reading in the Novels of Choi In-Hun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49 : 199

  13. [학술지] 김기우 / 2006 / 최인훈의 예술론과 '화두'의 구조적 특성 / 한국언어문학 (56) : 169 ~ 196

  14. [학술지] 김인호 / 2005 / 기억의 확장과 서사적 진실 - 최인훈 소설 <서유기>와 <화두>를 중심으로 / 국어국문학 141 : 143 ~ 162

  15. [학술지] 김주연 / 1994 / 체제변화 속의 기억과 문학-최인훈의 장편『화두』 / 황해문화 (여름)

  16. [단행본] 김병익 / 2008 / 최인훈 전집 14 / 문학과지성사 : 519

  17. [학술지] 김희영 / 1997 / 프루스트 소설의 철학적 독서 / 외국문학연구 (03) : 69 ~ 92

  18. [학술지] 남은혜 / 2016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기억’과 ‘반복’의 의미에 대한 연구: 『구운몽』, 『회색인』, 『서유기』, 「서유기」를 중심으로 / 한국문화 (74) : 261 ~ 309

  19. [학술지] 방민호 / 2014 / 최인훈의 『화두』와 조명희의 「낙동강」-‘월남문학론’의 맥락에서 / 서정시학 (겨울)

  20. [학술지] 서세림 / 2016 / 디아스포라 지식인의 사유와 무국적 텍스트들의 향방 - 최인훈의 ≪화두≫론 - / 현대소설연구 (62) : 125 ~ 157

  21. [학술지] 설혜경 / 2007 / 최인훈 소설에서의 기억의 문제- <회색인>과 <서유기>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 (32) : 139 ~ 162

  22. [학위논문] 신현주 / 2017 /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나타난 자아의 분열과 통합의 양상

  23. [학술지] 연남경 / 2009 / 기억의 문학적 재생 / 한중인문학연구 (28) : 187 ~ 208

  24. [단행본] 오생근 / 1994 / 현대비평과 이론, 8 / 한신문화사

  25. [학술지] 오윤호 / 2009 / 『화두』와 20세기 식민지 지식인의 탈이데올로기적 저항 / 국제어문 (46) : 69 ~ 94

  26. [학술지] 유예진 / 2013 /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베르고트에 관하여 / 프랑스학연구 (65) : 167 ~ 186

  27. [학술지] 장사흠 / 2008 / 최인훈 ≪화두≫의 자전적 에세이 형식과 낭만주의적 작가의식 / 현대소설연구 (38) : 321 ~ 346

  28. [학술지] 정미지 / 2012 / <화두>의 자전적 글쓰기와 ‘책-자아’의 존재 방식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6 (2) : 203 ~ 221

  29. [학술지] 정영훈 / 2012 / 최인훈 문학에서의 기억의 의미 / 현대문학이론연구 (48) : 129 ~ 154

  30. [학술지] 정호웅 / 2014 / 최인훈의 <화두>와 일제 강점기 한국문학 -<낙동강>을 중심으로- / 한중인문학연구 (45) : 179 ~ 202

  31. [학술지] 조갑상 / 2002 / 최인훈의 화두 연구 -낙동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31) : 229 ~ 248

  32. [학술지] 조시정 / 2011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러시아-소련 경험’-『화두』를 중심으로 / 한국어와 문화 10

  33. [학위논문] 차미령 / 2010 /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정치성의 의미 연구

  34. [단행본] 연남경 / 2012 / 최인훈의 자기 반영적 글쓰기 / 혜안

  35. [단행본] 메를로 퐁티 / 2002 / 지각의 현상학 / 문학과지성사 : 612 ~ 646

  36. [단행본] 질 들뢰즈 / 1997 / 프루스트와 기호들 / 민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