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좋은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대학 교육현장에서 학습자 측면에서 효과성이 높은 교육방법 및 전략 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충청북도 지역 A대학의 재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과 구체적인 내용을 작성한 에세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풍부한 학습자료를 사용하고 학습내용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교수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많이 하는 수업에 대해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즉, 수업에서 공감 형성, 적극적인 피드백, 의견 존중 등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관계가 긍정적으로 형성되었을 때 학습자는 좋은 수업이라고 인식하였다. 셋째, 좋은 수업에 대한 특징은 전달력이 우수하고, 수업결과가 긍정적이어야 좋은 수업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달력의 경우, 교수자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즉, 교수자가 수업내용을 학습자들이 알기 쉽게 설명해 주는 것과 학습내용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사례 제시, 적절한 예시 사용 등을 통해 학습내용의 명확한 전달에 기반 한 수업을 좋은 수업이라고 인식하였다. 수업결과 측면은 수업이 종료된 직후, 수업에 대한 반응과 만족도와 연관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교수자가 제시한 학습목표를 달성하고 성취하였을 때, 계속적으로 학습을 하고 싶은 의지와 동기가 유지 되어 좋은 수업이라고 인식하였다. 넷째,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구성 중 수업 환경은 교수자가 수업시간에 교수매체를 활용하는 등 교수방법에 맞는 환경을 조성하는 수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키워드

좋은 수업, 학습자 인식, 전달력, 수업구성, 상호 관계성, 수업결과, 수업환경, 사례 연구

참고문헌(42)open

  1. [학위논문] 강나영 / 2006 / '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2. [학술지] 고창규 / 2006 / 초등학교 '좋은' 수업의 특성 연구 -담화행위(act), 유도행위, 교수행동요소, 바로잡기(repair)를 중심으로- / 열린교육연구 14 (1) : 25 ~ 49

  3. [학술지] 김무길 / 2011 / 좋은 수업의 조건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듀이의 성장 개념을 중심으로 / 교육철학연구 33 (3) : 25 ~ 47

  4. [학술지] 김영복 / 2008 / 구성주의 수업의 가치와 한계 / 교육연구 22

  5. [학술지] 김재춘 / 2005 / ‘좋은 수업’의 의미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수산해양교육연구 17 (3) : 373 ~ 382

  6. [학술지] 민혜리 / 2011 / 학생들이 인식하는 좋은 강의의 특성 연구 : 국내 대학과 해외 대학의 강의 체험 분석을 중심으로 / 열린교육연구 19 (1) : 57 ~ 88

  7. [학술지] 박혜진 / 2018 / 교직수업에서 토의법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 교육혁신연구 28 (2) : 139 ~ 161

  8. [학술지] 백경미 / 2017 / Hilbert Meyer의 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와 학생의 인식 연구 / 초등교육학연구 24 (1)

  9. [학술지] 서경혜 / 2004 /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 교육과정연구 22 (4) : 165 ~ 187

  10. [학술지] 서경혜 / 2004 /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의 관점 / 교육학연구 42 (4) : 285 ~ 315

  11. [학술지] 승윤희 / 2014 / 좋은 수업과 좋은 음악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인식 조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 (7) : 333 ~ 356

  12. [학술지] 승윤희 / 2016 / 음악과의 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연구 / 음악교육공학 (28) : 129 ~ 158

  13. [학술지] 신은경 / 2018 / 평생교육기관 성인학습자가 생각하는 좋은 수업의 조건 / 교육문화연구 24 (2) : 241 ~ 266

  14. [학술지] 오은주 / 2009 /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수역량 탐구 / 사고개발 5 (2) : 107 ~ 134

  15. [학술지] 윤정은 / 2015 / 학습자 중심 수업에서의 교사의 역할 탐색-국내 수학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 (1) : 45 ~ 68

  16. [학술지] 이대용 / 2016 / 구성주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요구분석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 (3) : 295 ~ 312

  17. [학술지] 이대형 / 2012 / 좋은 체육수업을 위한 교사의 역량 및 역할 탐색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 (4) : 281 ~ 307

  18. [학술지] 전희옥 / 2014 / 수업 설계에서 학습자의 다양성 고려 방법 탐색-다문화교육의 관점을 중심으로- / 다문화교육연구 7 (4) : 23 ~ 53

  19. [학술지] 정미경 / 2007 / 교원양성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 교육과정연구 25 (3) : 247 ~ 264

  20. [학술지] 정은이 / 2010 /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 교육방법연구 22 (3) : 25 ~ 44

  21. [학술지] 조규진 / 2011 / 좋은 수업의 조건 탐색 :5G를 중심으로 / 초등교육연구 24 (4) : 325 ~ 350

  22. [학위논문] 조은미 / 2008 / 좋은 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23. [학술지] 한상훈 / 2005 / 2004학년도 충남대학교 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실태 조사 / 학생생활연구 31

  24. [단행본] 박성익 / 2015 /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 교육과학사

  25. [단행본] 유택열 / 2002 / 수업 연구와 실제 / 교육과학사

  26. [단행본] 조난심 / 2001 / 한국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I): 학교 교육과정과 수업 운영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평가연구원

  27. [학술지] Black, A. / 1992 / A developmental-constructivist approach to teacher education /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3 (5)

  28. [단행본] Borich, G / 2000 / Effective teaching methods / Prentice-Hall

  29. [학술지] Brophy, J. / 1999 / Teaching educational practices series (Monograph No.1) / 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

  30. [보고서] Brophy, J. / Good teaching: Insights from the work of the Institute for Research on Teaching

  31. [단행본] Dewey, J / 1916 / Democracy and Education / Macmillan Publishing Co.

  32. [단행본] Fosnot, C. T. / 1992 / Constructivism and Theory of instruction / Lawrence Erlbaum : 167 ~ 176

  33. [학술지] Gibbs, G. / 2004 / The impact of training university teachers on their teaching skills, their approach to teaching and the approach to learning of their students / Ac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5 (1)

  34. [학술지] Goldsmith, G / 1999 / Design / Encyclopedia of creativity 1

  35. [단행본] Keller, J. M. / 1983 /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6. [단행본] Ko, J. / 2014 / Effective teaching. Reading / Education Development Trust

  37. [학술지] Murlhy, P. K. / 2004 / The good reacher and good teaching:Comparing beliefs of second-grade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72 (2)

  38. [학술지] Ramsden, P. A / 1991 / performance indicator of teaching quality in higher education: The course experience questionnaire / Studies in Higher Education 16 (2)

  39. [단행본] Spradley, J. P / 2016 / The ethnographic interview / Waveland Press, Inc

  40. [단행본] Stake, R. E / 1995 /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 Sage Publication, Inc

  41. [단행본] Zemelman, S. / 1998 / Best practice: New standard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America's schools / Heinemann

  42. [학술지] Zimitat, C. / 2006 / First year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good teaching: Not all things are equal / Research and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