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혁신학교에 근무하는 초등교사는 어떤 경험을 하고 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시간・사회・장소의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공간에 따라 연구참여자들의 혁신학교 근무 경험을 탐색하였으며, 그 경험의 의미가 삶 속에서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두 개 학교 이상 혁신학교 근무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 세 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연구참여자별로 3회씩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안하는 내러티브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문제는 ‘혁신학교에 근무하는 초등교사의 경험은 어떠한가?’이었는데, [김초록]의 이야기는 <혁신학교, 첫 만남>, <‘동료’라는 이름의 자양분>, <선배 발걸음을 따라 걷다>, <한 걸음 뒤로 물러서서>이었다. [정다운]의 이야기는 <만나다! 변하다!>, <갈등으로부터 소통을 배우다>, <새로운 경험을 만들다>, <갈등이 있으니까 공동체야>이었다. [이하늘]의 이야기는 <‘나와 너’의 만남>, <나와 같은 ‘너’는 없어>, <빛을 비춰주는 사람>, <진짜 어른이고 싶다>이었다. 두 번째 연구 문제는 ‘혁신학교에서 근무하는 초등교사의 경험은 그들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이었는데, 그 의미는 <교육을 이끄는 주체가 되다>, <‘나’를 만들어준 동료들>, <‘나’를 단단하게 만드는 시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통해 혁신학교에서 근무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에 대한 경험적 이해를 넓히고, 혁신학교 운영 상 발생할 수 있는 교육적 쟁점들을 체계화할 수 있는 이론적・방법론적 렌즈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키워드

혁신학교 초등교사,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51)open

  1. [기타] 교육부 / 2019 / 혁신학교(지구) 질적 도약을 위한 혁신학교(지구) 지원 기본계획(안)

  2. [학술지] 김동선 / 2020 / 혁신학교가 초등학교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 교사교육연구 59 (4) : 541 ~ 554

  3. [단행본] 김상봉 / 2007 / 서로주체성의 이념: 철학의 혁신을 위한 서론 / 도서출판 길

  4. [학술지] 김성열 / 2006 / 학교혁신, 리더 교사 그리고 평생교육 / 한국교원교육연구 23 (1) : 291 ~ 305

  5. [학술지] 김성천 / 2009 / 학교 혁신의 핵심 원리: 교장공모제를 실시한 D중학교를 중심으로 / 교육사회학연구 19 (2) : 59 ~ 89

  6. [단행본] 김성천 / 2015 / 교사,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학교공동체에서 관계 맺기부터 교육 혁신의 주체로 성장하기까지, 고군분투 교사 성장기 / 맘에드림

  7. [학술지] 김영주 / 2022 / 한 초등교사의 혁신학교 근무를 통한 성장 경험에 대한 생애사적 연구 / 열린교육연구 30 (1) : 117 ~ 145

  8. [학술지] 김정윤 / 2019 / 교사 행위주체성에 관한 체계적 문헌 조사와 지원 방안 탐색 / 교육문화연구 25 (5) : 105 ~ 128

  9. [학술지] 김현진 / 2006 / 공영형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인식조사 연구 / 교육행정학연구 24 (1) : 313 ~ 338

  10. [학술지] 김혜진 / 2015 / 교사 협력이 교사 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 혁신 학교와 일반 학교의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교원교육연구 32 (2) : 123 ~ 148

  11. [학술지] 김효정 / 2011 / 교사의 학교 개혁 실행 영향 요인 간 구조적 관계 / 교육행정학연구 29 (4) : 365 ~ 394

  12. [학술지] 남미자 / 2015 / 단위학교 혁신과정에서의 학생의 역할에 관한 질적 연구 -경기도 A 혁신고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 교육학연구 53 (1) : 29 ~ 54

  13. [학위논문] 류소영 / 2014 / 빈곤한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14. [학술지] 민경용 / 2017 / 혁신학교를 경험한 교사들의 일반학교 적응 과정 분석 / 한국교원교육연구 34 (3) : 1 ~ 27

  15. [학술지] 박민정 / 2006 / 내러티브란 무엇인가?: 이야기 만들기, 의미구성, 커뮤니케이션의 해석학적 순환 / 아시아교육연구 7 (4) : 27 ~ 47

  16. [학술지] 박상완 / 2009 / 개방형 자율학교의 학교혁신 사례 분석 / 교육행정학연구 27 (2) : 177 ~ 201

  17. [학위논문] 박종철 / 2013 / 혁신학교 교사의 민주적 의사소통 경험에 관한 연구

  18. [학술지] 박철희 / 2014 / 혁신학교 교사 문화의 특징과 과제 / 교육비평 33 (4) : 55 ~ 73

  19. [학술지] 배은주 / 2014 / 혁신학교 운영의 특징과 갈등 탐색 / 교육사회학연구 24 (2) : 145 ~ 180

  20. [보고서] 백병부 / 2014 / 경기도 혁신학교 성과분석: 교육격차 감소를 중심으로

  21. [보고서] 백병부 / 2015 / 혁신학교 지속가능성제고 방안

  22. [학술지] 서근원 / 2011 / 학교 혁신을 위한 대안적 패러다임 모색 : 해석적 교육사회학의 관점에서 / 한국교육 38 (3) : 209 ~ 240

  23. [학술지] 손환희 / 2020 / 학교 중심 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기반 요인 탐색: 혁신학교 교사면담을 중심으로 / 교사교육연구 59 (4) : 689 ~ 708

  24. [학술지] 신현석 / 2014 / 혁신학교의 협력적 거버넌스 형성과정 연구: 서울시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 교육문제연구 27 (2) : 49 ~ 93

  25. [학술지] 오영범 / 2016 / 한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들의 혁신학교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한국교육 43 (1) : 123 ~ 154

  26. [단행본] 오영재 / 2009 / 한국의 중등학교 문화와 교육정책 / 문음사

  27. [학위논문] 유경훈 / 2014 / 학교혁신 과정의 양가성(ambivalence) : 혁신 학교 운영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28. [학술지] 윤석주 / 2015 / 혁신학교의 민주적 학교 운영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S초등학교의 교사회를 중심으로 / 한국교원교육연구 32 (3) : 109 ~ 135

  29. [학술지] 윤석주 / 2016 / 혁신학교 교사들의 교사공동체를 통한 수업혁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33 (1) : 217 ~ 241

  30. [학술지] 이수민 / 2020 / 교사의 전문적학습공동체 실천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교육사회학연구 30 (1) : 143 ~ 177

  31. [학술지] 이연선 / 2017 / 한 초등교사의 혁신학교 교육경험에 관한 내러티브탐구 / 교육혁신연구 27 (1) : 63 ~ 90

  32. [학위논문] 이영애 / 2021 / 혁신학교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교사리더의 소진 연구

  33. [학위논문] 이현숙 / 2020 / 서울형 혁신학교의 학교혁신과정에 참여한 네 초등교사의 리더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탐구

  34. [학술지] 전현욱 / 2016 / 혁신학교 교사로 산다는 것의 의미: 달빛초등학교 최민혁 교사의 삶에 관한 사례연구 / 교육인류학연구 19 (1) : 33 ~ 71

  35. [학술지] 정계숙 / 2021 / 혁신학교의 공동체 문화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행위주체성 탐구 / 문화예술교육연구 16 (4) : 109 ~ 136

  36. [학술지] 정바울 / 2011 / 자생적 학교 혁신의 확산 경로와 과정에 대한 연구 / 교육행정학연구 29 (2) : 313 ~ 338

  37. [학술지] 정일환 / 2003 / 협동적 학교조직 문화형성에 관한 연구 - 특성과 요인 분석 - / 한국정책과학학회보 7 (1) : 301 ~ 320

  38. [학위논문] 정현숙 / 2019 / 혁신학교 경험을 통한 교사의 변화 연구

  39. [학술지] 조용환 / 1995 / 학교 구성원의 삶과 문화 / 교육학연구 33 (4) : 77 ~ 101

  40. [학위논문] 채아란 / 2015 / 초등교사의 자생적 혁신 학교에서의 근무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41. [학위논문] 탁미정 / 2019 / 혁신학교 혁신부장교사의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연구

  42. [학술지] 홍영숙 / 2020 / 내러티브 논문작성의 실제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8 (3) : 7 ~ 28

  43. [학술지] Achinstein, B. / 2002 / Conflict amid community : The micropolitics teacher collaboration / Teachers College Record 104 (3) : 421 ~ 455

  44. [단행본] Clandinin, D. J. / 2015 / 내러티브 탐구의 이해와 실천(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 교육과학사

  45. [단행본] Clandinin, D. J. / 2007 / Handbook of Narrative Inquiry: Mapping a Methodology / Sage Publication, Inc : 35 ~ 75

  46. [단행본] Clandinin, D. J. / 2007 / 내러티브 탐구-교육에서의 질적연구의 경험과 사례(Narrative inquiry-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 교육과학사

  47. [단행본] Fullan, M. / 1991 / What’s worth fighting for? working together for your school / Open University Press

  48. [단행본] Hall, G. E. / 2011 / 학교 변화와 혁신:패턴, 원리, 당면과제(Implementing change) / 학지사

  49. [단행본] Hargreaves, A. / 2017 / 교직과 교사의 전문적자본: 학교를 바꾸는 힘(Professional capital transforming in every school) / 교육과학사

  50. [학술지] Meyer, J. P. / 1991 /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 (1) : 61 ~ 89

  51. [학술지] Short, P. M. / 1992 / School Participant Empowerment Scale : Assessment of Level of Empowerment within the School Environment /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2 (4) : 951 ~ 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