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2020년, COVID-19 확산으로 교육계는 이전에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전면적 온라인 수업상황을 맞이했다. 이러한 상황은 교사들에게 새로운 문제해결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사가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전면적 온라인 수업이라는 문제 상황에 봉착하여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Levi-Strauss(1962)가 제안한 ‘브리콜라주’와 ‘브리콜뢰르’ 개념을 통해 해석하고자 하였다. 4명의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 결과, 교사의 개인적인 배경과 상황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교사들의 실행은 원격 과학수업 운영이라는 문제를 즉각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브리콜라주적 실행이었다, 둘째, 교사들은 즉각적 문제해결을 위해 가용자원을 원래의 목적에서 변형하거나 재구성하는 브리콜뢰르의 모습을 보였다, 셋째, 교사들은 자원들을 변형하고 재구성하면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 전략을 적절히 조합하고 배치하여 창의적으로 문제해결을 실행하였다, 넷째, 즉각적 성취를 위해 가능한 빠른 전략을 택하는 브리콜뢰르처럼 교사들은 문제해결 전략으로 시행착오, 과거 경험, 동료와의 비형식적 상호작용에 의존하여 개인적 이론을 구성하였다, 다섯째, 교사들은 문제가 장기화하자 수업 실행과 도구 활용에 대해 성찰하고, 도구를 평가하고 다른 용도를 살펴보면서 즉각적 문제해결을 넘어서는 성찰적 전문가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한편, 교사의 브리콜라주 양상의 차이점을 사례 간 차이를 초점화하여 분석한 결과, 교사들이 브리콜라주를 시도할 때 가용자원의 폭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는 학교의 공동체 문화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수업 실행이 가용자원과 도구의 창의적 조합과 재구성을 통해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문제 상황을 모면하고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대처 방식을 성찰하고 평가하는 ‘혁신적 브리콜라주’의 특징을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교사교육과 교사 전문성 발달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키워드

원격수업, 브리콜라주, 과학교사 전문성, 성찰적 전문가, COVID-19

참고문헌(22)open

  1. [학술지] 김정윤 / 2019 / 교사 행위주체성에 관한 체계적 문헌 조사와 지원 방안 탐색 / 교육문화연구 25 (5) : 105 ~ 128

  2. [학술지] 윤혜경 / 2005 / 딜레마 일화를 활용한 과학교사 교육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2) : 98 ~ 110

  3. [학위논문] 이상훈 / 2019 / 교사의 적응적 전문성 발달 과정 연구

  4. [학술지] 정연희 / 2019 / 브리콜뢰르로서 미술교사에 관한 소고 / 미술과 교육 20 (3) : 83 ~ 105

  5. [학술지] 하희수 / 2019 / 학생 중심의 과학 학습 공동체 이해를 위한 행위주체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 (1) : 101 ~ 113

  6. [학술지] 허창수 / 2017 / 브리콜라주로서 질적 연구의 이해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7 (2) : 278 ~ 287

  7. [학술지] Campbell, L. / 2019 / Pedagogical bricolage and teacher agency : Towards a culture of creative professionalism /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51 (1) : 31 ~ 40

  8. [단행본] Donovan, S. / 2005 / How students learn / National Academies Press

  9. [학술지] Hatton, E. / 1989 / Levi-Strauss's Bricolage and theorizing teachers' work / Anthropology &Education Quarterly 20 (2) : 74 ~ 96

  10. [단행본] Holyoak, K. J. / 1991 / Toward a general theory of expertise: Prospects and limit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301 ~ 335

  11. [학위논문] Hutchinson, S. / 2008 / Boundaries, bricolage and student-teacher learning

  12. [단행본] Levi-Strauss, C. / 1996 / 야생의 사고 / 도서출판 한길사

  13. [학술지] Louvel, S. / 2013 / Understanding change in higher education as bricolage : how academics engage in curriculum change / Higher Education 66 (6) : 669 ~ 691

  14. [단행본] Patton, M. / 1990 /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 Sage : 169 ~ 186

  15. [보고서] Phillimore, J. / 2016 / Bricolage: Potential as a conceptual tool for understanding access to welfare in superdiverse neighbourhoods

  16. [단행본] Priestley, M. / 2015 / Teacher agency: An ecological approach / Bloomsbury Publishing

  17. [단행본] Schӧn, D. A. / 1983 / The reflective practitioner :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 Basic Books

  18. [학술지] Scribner, J. P. / 2005 / The problems of practice : Bricolage as a metaphor for teachers’ work and learning / Albert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1 (4) : 295 ~ 310

  19. [단행본] Stake, R. E. / 1995 /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 Sage

  20. [학술지] Van Driel, J. H. / 2001 /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 (2) : 137 ~ 158

  21. [학술지] Yoon, S. A. / 2015 / Using an adaptive expertise lens to understand the quality of teachers’classroom implementation of computer-supported complex systems curricula in high school science /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33 (2) : 237 ~ 251

  22. [학술지] Zeichner, K. M. / 1981 / Reflective teaching and field-based experience in teacher education / Interchange 12 (4) : 1 ~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