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아시아권 광둥어 화자, 한국어 화자, 한국어 화자들이 사용하는 담화표지어 well, you know, I mean의 위치와 기능에 따른 억양패턴을 관찰하고 이것이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화표지어 well, you know, I mean의 위치에 따른 억양패턴에 있어서 한국어 화자의 제한적인 사용이 나타났다. 한국어 화자는 광둥어 화자와 만다린 화자에 비해서 위치별로 사용하는 억양패턴이 다양하지 않았다. 특히 평판 억양패턴이 다른 두 모국어 집단에 비해 훨씬 빈번하게 나타났고 이것은 한국어 화자의 억양 조절이 다양하지 못함을 나타낸다. 둘째, 담화표지어 well, you know, I mean의 기능별로 선호하는 억양패턴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원어민의 경우 well, you know, I mean의 기능별로 선호하는 억양패턴이 보통 한 개인 것으로 나타나는데, 광둥어 화자, 만다린 화자, 한국어 화자 모두 기능별로 2개 이상의 억양패턴을 사용하는 경우가 다수 관찰되었다. 이는 원어민이 특정 기능에 한 개의 억양패턴만을 사용하는 것과는 다른 양상으로, 억양 습득의 어려움을 방증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를 통해 비성조 언어를 모국어로 둔 한국어 화자가 성조언어를 모국어로 둔 만다린 화자와 광둥어 화자에 비해 피치 조절이 자유롭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영어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저학년에서 상급학년에 이르기까지 억양교육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키워드

담화표지어, 억양패턴, 담화표지어 위치, 담화표지어 기능, 아시아권 화자, 억양교육, ELF

참고문헌(29)open

  1. [기타] 교육부 / 2015 / 영어과 교육과정 / 교육부

  2. [학위논문] 남주연 / 2015 / 담화표지어 you know의 억양 패턴과 기능

  3. [학위논문] 서혜지 / 2017 / 아시아 상황의 공통어 자질 연구: 어휘 문법 특징을 중심으로

  4. [학술지] 송경숙 / 2011 / 국제어, 글로벌 언어로서의 영어: 언어태도 및 교육적 함축을 중심으로 / 새한영어영문학 53 (1) : 201 ~ 221

  5. [학술지] 신명희 / 2006 / 담화표지 You know / 언어연구 22 (2) : 43 ~ 56

  6. [학위논문] 윤성숙 / 2018 / 아시아권 영어 화자들이 발화한 담화표지어의 억양 연구: well, you know , I mean을 중심으로

  7. [학술지] 윤성숙 / 2018 / 아시아권 화자의 대화맥락에 나타난 담화표지어 well 연구 / 교원교육 34 (3) : 89 ~ 106

  8. [학술지] 이상기 / 2016 / 아시아 상황의 영어 공통어 자질 연구: 어휘 문법 오류 수정 전략 / 중등영어교육 9 (2) : 89 ~ 114

  9. [학술지] 이재근 / 2015 /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 수시 개정 변화에 따른 초등 국정 및 검정 영어교과서 변천과 미래 / 초등교과교육연구 21 (3) : 73 ~ 82

  10. [학술지] 정현성 / 2012 / 영어발음의 ELF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초등교과 교육연구 17 (1) : 123 ~ 138

  11. [학술지] 정현성 / 2016 / 아시아 상황의 영어 공통어 자질 연구: 분절음 특성 / 언어와언어학 (71) : 237 ~ 266

  12. [학술지] 정현성 / 2016 / 아시아 상황의 영어 공통어 자질 연구: 리듬 특성 / 말소리와 음성과학 8 (2) : 1 ~ 9

  13. [학위논문] 주미경 / 2000 / 영어 화용표지의 위치와 그 기능

  14. [학위논문] 최성심 / 2003 / 음성분석을 통한 초등학생의 영어 억양 분석

  15. [학위논문] 최재환 / 2009 /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대화문에 나타난 담화표지 연구

  16. [단행본] Briton, L. J. / 1996 / Pragmatic markers in English: Grammaticalization and discourse functions / Mouton de Gruyter

  17. [학술지] Breiteneder, A. / 2005 / The naturalness of English as a European lingua franca: The case of the “third person -s” / Vienna English Working Papers 14 (2) : 3 ~ 26

  18. [단행본] Dalton, C. / 1994 / Pronuncia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19. [학술지] House, J. / 2009 / Subjectivity in English as lingua franca discourse : The case of you know / Intercultural Pragmatics 6 (2) : 171 ~ 193

  20. [단행본] Jenkins, J. / 2000 / phonology of 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 Oxford University Press

  21. [학술지] Jenkins, J. / 2002 / A sociolinguistically based, empirically researched pronunciation syllabus for 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 Applied Linguistics 23 (1) : 83 ~ 103

  22. [학술지] Kennedy, S. / 2010 / Language awareness and second language pronunciation : a classroom study / Language Awareness 19 (3) : 171 ~ 185

  23. [학술지] Neary-Sundquist, C. / 2014 / The Use of Pragmatic Markers across Proficiency Levels in Second Language Speech / Studie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4 (4) : 637 ~ 663

  24. [단행본] Parrot, M. / 2002 / Grammar for English language teacher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학술지] Romero-Trillo, J. / 2018 / Prosodic modeling and position analysis of pragmatic markers in English conversation / Corpus linguistics and linguistic theory 14 (1) : 169 ~ 195

  26. [단행본] Schiffrin, D. / 1987 / Discourse markers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단행본] Walker, R. / 2010 / Teaching the pronunciation of English as a lingua franca / Oxford University Press

  28. [학술지] Wennerstrom. A. / 1994 / Intonational Meaning in English Discourse: A Study of Non-Native Speakers / Applied Linguistics 15 (3) : 399 ~ 420

  29. [학술대회] Xu, Y. / 2013 / ProsodyPro — A Tool for Large-scale Systematic Prosody Analysis / Proceedings of Tools and Resources for the Analysis of Speech Prosody (TRASP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