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55.55
3.144.255.55
close menu
KCI 우수
한국어 종결어미 ‘-다’의 자향성 분석
An Egophoric Analysis on Korean Sentence-Terminal Suffix -ta
정해권 ( Jeong¸ Hae-gwon ) , 정경아 ( Jeong¸ Kyung-a )
국어학회 2021.09
국어학(國語學) 99권 107-135(29pages)
DOI 10.15811/jkl.2021..99.004
UCI I410-ECN-0102-2022-700-000747747

한국어 종결어미 ‘-다’는 대표적인 평서형 종결어미로 여겨지지만, 3인칭의 인칭 일치, 접속법 어미, 청자의 신정보, 즉각 증거성, 의외성 등의 특별한 의미를 나타낸다고 보는 입장도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다’가 기본적으로 1인칭 평서문과 2인칭 의문문에 분포하며 근원 인식자를 나타내는 자향성 표지라고 제안한다. ‘-다’는 평서문에서 1인칭 화자의 내적 상태, 의지, 경험, 주변적 참여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약속 등의 의미로 확장된다. 이런 화자의 우월적 정보 지위를 바탕으로 ‘-다’는 2인칭 주어에 대해 예언, 경고, 명령 등을 나타낼 수 있으며, 3인칭에 대해 발견, 감탄 등을 나타낸다. 또한 의문문에서 청자의 내적 상태나 의지, 화자가 우위에 있는 정보를 묻기도 한다.

The sentence-terminal suffix -ta has been treated as an unmarked declarative form in Korean. However, there were other opinions that this suffix could represent various meanings and was regarded as a grammatical marker such as third person agreement, subjunctive mood, new information to the addressee, immediate evidential, or mirativity. In this paper, it is proposed that -ta is an egophoric marker that represents a primary knower who has epistemic authority with the speaker of a statement and the addressee of a question. It basically represents the speaker’s internal state, volition, private experience, peripheral involvement, or extended meanings such as promise in a declarative sentence. It also represents prediction, warning, or command for a second-person subject, and discovery or admiration for a third-person subject based on the speaker's privileged access. And it represents the internal state or volition of the addressee or the information in which the speaker has epistemic authority in the interrogative sentence.

1. 들어가기
2. 자향성의 의미와 분포
3. ‘-다’의 자향성 분석
4. ‘-다’에 대한 추가 논의
5. 나가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