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45.173
18.117.145.173
close menu
KCI 등재
단어 형성과 형태소
Word-formation and Morpheme
최형용 ( Choi Hyung-yong )
국어학회 2017.03
국어학(國語學) 81권 351-391(41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0255971

그동안 형태소는 생성형태론의 도입 이후 ‘분석’을 위한 개념으로 인식되면서 단어 형성의 논의에서 크게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단어 형성의 많은 부분이 형태소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형태소는 ‘형성’을 위한 측면에서도 주목할 부분이 적지 않다. 우선 단어 형성의 재료 측면을 형태소와 관련하여 살펴볼 수 있다. 그동안의 논의에서는 내부 구조가 비교적 간단한 것들을 대상으로 하여 형태소 단위에서 어근, 어기, 접사 등을 규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단어 내부의 일관적 분석을 위해 복합적인 내부 구조를 가지는 단어들까지 염두에 둘 때 어근이나 어기, 접사 등을 형태소 그 자체로 규정하기는 어렵다. 이것은 곧 형태소가 여럿이 결합한 것들도 어근이나 어기, 접사로 간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처럼 어근을 형태소가 여럿이 결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단어의 지위를 가질 수도 있다고 본다면 한국어에서는 어기라는 개념을 굳이 설정할 필요가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어 구조도 형태소의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단일어는 형태소 하나 짜리로 이루어진 단어이고 복합어는 형태소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단어라고 볼 수 있다는 점에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대표적인 복합어인 파생어와 합성어는 형태소의 수만으로는 이를 정의 내리기 어렵다. 이는 어근이나 접사가 형태소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있다는 점에서 나오는 당연한 귀결이다. 따라서 이를 염두에 둔다면 형태소의 수를 기준으로 삼을 것이 아니라 직접 성분 개념에 따라 파생어는 직접 성분 가운데 하나가 접사인 단어로, 합성어는 직접 성분이 모두 어근인 단어로 규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어 형성 과정을 형태소와 관련하여 살펴볼 수 있다. 단어 형성 과정은 형태소를 중심으로 할 때 파생과 합성처럼 형태소의 수가 증가하는 과정, 내적 변화와 영변화처럼 형태소의 수에 변화가 없는 과정, 탈락이나 혼성과 같이 형태소의 수가 대체로 감소하는 과정으로 나눌 수 있다. 혼성은 특히 절단과 합성이라는 과정을 전제하고 이때 절단되는 것이 반드시 형태소가 아닐 수도 있다는 점에서 출력 단어의 형태소 분석에 문제를 제기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Morpheme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word-formation after generative morpholgy which does not place high value on ‘analysis’. However, morpheme is still an important element in word-formation in that it takes part in word-formation especially in the view of ‘formation’. Firstly, morpheme can be examined as materials of word-formation. So far, root, base and affix have been defined as a kind of morpheme. These definitions are only valid for the words which have simple internal structure. However, to analyze the word-internal structure consistently including the words with complex internal structure, we need to recognize that those units are not equal to morpheme. That is, roots and affixes can be made up of more than one morpheme. As a result, in Korean, which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base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be established. Secondly, morpheme can be observed in terms of word structure. There is no different opinion in that simple words are consisted of one morpheme and complex words more than one morpheme. However, derived words and compounded words can't be def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orphemes, which is a natural consequence that roots and affixes are consisted of more than one morpheme. Therefore, to define the derived words and compounded words without contradiction to morpheme, the concept of immediate constituent(IC) must be introduced. With the help of IC, derived words can be defined as the words which have an affix among IC. In the same manner, compounded words can be defined as the words which have only roots among IC. Finally, morpheme can be connected with the process of word-formation. The process of word-forma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kinds based on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number of morpheme. One is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morpheme, such as derivation and compounding. Another is the changelessness of the number of morpheme, such as internal modification and zero modification. The other is the decrease of the number of morpheme, such as deletion and blending. In particular, blending presupposes truncation and compounding. On this case the truncated elements are not always a morpheme. Therefore blending as a process of word-formation brings up a matter of analysis of morpheme in output words.

1. 머리말
2. 단어 형성의 재료와 형태소
3. 단어의 구조와 형태소
4. 단어 형성 과정과 형태소
5.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