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217.186
18.117.217.186
close menu
KCI 등재
한국어 주격중출에 대한 구문문법적 접근
A Constructional Approach to the Korean Multiple Nominative Construction
정해권 ( Jeong Hae-gwon )
국어학회 2016.06
국어학(國語學) 78권 139-164(26pages)
UCI I410-ECN-0102-2021-700-000254656

언어유형론에서 논의된 타동성과 관계화를 참고하면 한국어 주격중출 구문은 서술절 구성이 아니라 주어-보어 구성을 나타낸다. 이 구문의 두 명사구는 의미적 관련성을 가지므로 낮은 타동성을 나타내는 구문이다. 가족닮음의 원리에 따라 긍정의 계사 구문도 주격중출 구문의 한 유형으로 볼 수 있으며, 다의적 용법은 계사 구문을 기준으로 변성 구문, 대상 반복 구문, 대상 부분 구문, 대상 소재 구문, 심리형용사 구문으로 확장된다. 다의적 주격중출 구문은 방사 범주의 의미망을 구성하는데, 다의성 연결, 은유적 확장 연결, 하위부분 연결, 예시 연결로 나타나는 상속 관계를 통해 동기화된다.

Korean language has a multiple nominative construction (MNC) such as [NP1-i/ka NP2-i/ka V]. This paper aims to reanalyse the MNC by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on Grammar. According to NP Accessibility Hierarchy, the subject can make a relative clause by the primary strategy. However the NP2 of MNC cannot be relativized. So it isn't the double subject and doesn't contain a Predicate Clause. Two arguments of MNC, NP1 and NP2, have closely related meaning, and the polysemy of MNC represents low-transitivity events. This characteristic of MNC makes a difference from the Transitive construction. Based on the Principled Polysemy approach, the prototypical MNC is the Copula construction and MNC is extended to several peripheral constructions, which are the Transform, the Theme Duplication, the Theme Part, the Theme Location and the Psychological Adjective constructions. They are connected in a semantic network and motivated by inheritance links.

1. 서론
2. 주격중출 구문의 분석
3. 주격중출 구문과 다의성
4. 방사 범주로서의 구문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