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공자의 윤리사상을 다시 읽되, 특히 仁 개념의 재조명에 초점을 두고 있다. 공자는 특정질서 혹은 규범으로서의 도덕 개념을 禮樂이라 규정하였고, 모든 규범과 덕목의 바탕이 되는 기본정신 혹은 도덕의 궁극적 원리로 仁을 제시하여 그것을 全德으로 삼았다. 전덕으로서의 仁을 터득할 때 덕 있는 사람이라 할 수 있는바, 그는 도덕적 상황에서 仁의 원리를 바탕으로 규범을 입법하고 집행하고 심판할 수 있다. 이것이 공자 윤리학의 체계이다. 그런데 정작 인이란 무엇인가? 인은 일의적 개념이 아니다. 인은 세 가지의 뜻을 가진 다의적 개념이다. 유위윤리적 仁, 당위윤리적 仁, 무위윤리적 仁 개념이 그것이다. 공자는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仁 개념을 제시했고, 어느 하나를 진리의 왕국으로 등극시키지 않았다. 이처럼, 仁의 원리는 다의적 뜻인 가진 것이었기에 그동안 좀처럼 파악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다. 물론 그가 춘추시대라는 악의 상황에서 실천해보고자 고군분투했던 인 개념은 당위윤리였다. 이 점에서 공자의 仁사상을 당위적 측면에서 파악했던 기존의 관점이 틀린 것만은 아니라 하겠다. 그러나 공자는 실용적 윤리도 인정했고, 특히 말년에는 당위적 이상실현이 어렵다는 것을 직감하고 무위적 삶을 살고자 하였다.

키워드

특정질서로서의 도덕, 원리로서의 도덕, 禮樂, 仁, 무위윤리, 당위윤리, 유위윤리.

참고문헌(17)open

  1. [기타] / 1985 / 大學ㆍ論語ㆍ孟子ㆍ中庸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詩經

  2. [학술지] 강봉수 / 2010 / 왕양명의 ‘良知學’과 도덕직관 함양론 / 윤리연구 1 (76) : 219 ~ 254

  3. [단행본] 강봉수 / 2001 / 유교 도덕교육론 / 원미사

  4. [단행본] 강봉수 / 2009 / 제주의 윤리문화와 도덕교육 / 도서출판 누리

  5. [단행본] 강봉수 / 2011 / 키워드로 보는 <論語>와 세상보기의 道

  6. [단행본] 김용옥 / 2010 / 논어 한글역주 1ㆍ2ㆍ3 / 통나무

  7. [단행본] 김형효 / 2004 / 철학적 사유와 진리에 대하여 1ㆍ2 / 청계

  8. [단행본] 미우라 도우사꾸 / 1997 / 중국윤리사상사 / 원미사

  9. [단행본] 박찬구 / 2006 / 우리들의 윤리학 / 서광사

  10. [단행본] 성백효 / 1991 / 懸吐完譯 論語集註 / 전통문화연구회

  11. [단행본] 牟宗三 / 1969 / 心體與性體(二) / 學生書局

  12. [단행본] 蒙培元 / 1996 / 中國 心性論 / 法仁文化社 : 61

  13. [단행본] 陣立夫 / 1980 / 中國哲學의 人間學的 理解 / 民知社

  14. [단행본] Frankena, William K. / 1973 / Ethics(second edition) / Prentice Hall

  15. [단행본] Kurtiness, William M. / 2004 /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 학지사

  16. [단행본] Lapsley, Daniel K. / 2000 / 도덕심리학 / 중앙적성출판사

  17. [단행본] Pieper, A. / 1999 / 현대윤리학 입문 / 철학과 현실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