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1920~40년대 玄楯의 재미독립운동

Hyun, Soon(玄楯)’s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from the 1920’s to the 1940’s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약어 : 독립운동사연구
2016 no.56, pp.5 - 47
DOI : 10.15799/kimos.2016..56.001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연구분야 : 역사학
Copyright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 회 열람

조선 중기부터 역관을 배출한 중인 가계 출신인 현순은 東西開發會社 취직을 계기로 1903년 1세대 하와이 한인 이주 노동에 참여했다. 그는 통역관으로 한인의 고단한 노동과 교회 건설 등을 함께하는 동시에, 하와이 민족운동의 동료가 되는 이주 한인 1세대 운동가들을 만났다. 1907년 5월 귀국 후에는 교육과 목회 활동에 매진하던 중 1919년 기독교 인사들과 3·1운동을 계획하고 상해로 이동해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의 토대를 조성했다. 1920년 8월 31일에는 이승만의 지원을 받아 渡美하여 구미위원부 위원장에 취임했다. 하지만 다소 과감하게 한국공사관 개설 및 독립청원서 제출을 감행한 결과 위원장 자격을 박탈당하고 재미한인독립운동가로서의 위상에 큰 손실을 입었다. 하와이 감리교단의 요청에 따라 1923년경 하와이 호놀룰루로 이주한 현순은 하와이를 기반삼아 카우아이 섬 및 하와이 한인들의 목회자이자 후원자, 교육자로 자리 잡았다. 또한 대조선독립단·가와도한인단합회·중한민중동맹단·조선민족혁명당 하와이 총 지부 등에서 임시정부 지원 등의 독립운동을 이어갔다. 이때 현순이 진보적인 재미독립운동에 동참한 이유는 이론적, 경제적인 사회주의 사상 수용 및 체계화보다는 애국심에 기반을 둔 진보적 민족운동의 전략적, 방법론적 측면의 수용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1947년부터 현순은 로스앤젤레스로 이동해 현 피터, 현 앨리스 등의 일가와 함께 『독립』신문의 간행에 참여하고 신문지상을 통한 언론활동을 벌였다. 조국 해방 전에는 외세에 간섭을 배제한 즉각적인 자주 독립을, 해방 후에는 남북통일정부 수립과 냉전 체제의 해체를 주장했다. 특히 미국 대선을 계기로 새로운 진보세력을 표방한 월레스와 신진당을 지지하고 그에 따른 국내 정세 완화를 궁극적으로 추구했다.

Rev. Soon Hyun, who was born in the lineages of the middle class at Joseon Dynasty, participated in the first-generation Hawaiian Korean migrant labor in 1903 with the getting a job at East-West Development Company. As an interpreter, he met the Korean immigrant first generation activists who will work together with the Hawaiian national movement while working hard on labouring and building churches in Korean society. After returning to Korea in May 1907, Soon Hyun devoted to education and ministry activities. Then, in 1919, he planned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with christians and moved to Shanghai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On August 31, 1920, with the support of Syngman Rhee, he moved to the United States and became the chairman of the Korean commissions to America and Europe. However, he was somewhat quickly deprived of his chairmanship as a result of the boldly establishment of a Korean Legation and the submission of an independent petition. After all, he suffered a great loss in his status as Korean society activist in United States. In 1923, he moved to Honolulu, Hawaii, at the request of the Methodist church of Hawaii. And based on Hawaii, he became a pastor, patron and educator of Kauai Island and Hawaiian Koreans. In addition, he continued the independence movement at Korean National Independence League, The Kauai Korean Association, Sino-Korean People's League, 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of Korea Hawaii Branch. The reason for Soon Hyun participating in the progressive Korean American Movement at this time was focused on the acceptance of the strategic and methodological aspects of the progressive national movement based on patriotism rather than the theoretical and economic socialist ideological reception and systematization. Since 1947, Soon Hyun moved to Los Angeles, where he participated in the publishing of Independent newspapers along with his family including Peter Hyun and Alice Hyun. Prior to the liberation of Korea, he claim an immediate independence, which excluded interference in foreign affairs, and after liberation, the establishment of a Unified Korean government and the dismantling of the Cold War system. In particular, he supported the Henry Wallace and the Progressive Party who advocated for the new progressive forces in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and ultimately pursued the relaxation of domestic situation.

현순, 김원봉, 월레스, 대한민국임시정부, 대조선독립단, 가와도한인단합회, 중한민중동맹단, 조선민족혁명당
Hyun, Soon, Kim, Won-bong, Henry Wallace,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National Independence League, Kauai Korean Association, Sino-Korean People's League, The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of Korea.

  • 1. [기타] / 布哇遊覽記
  • 2. [기타] / 玄楯自史
  • 3. [기타] / 신한민보
  • 4. [기타] / 태평양잡지
  • 5. [기타] / 포와한인교보
  • 6. [기타] / 한인교회보
  • 7. [기타] / 한인긔독교보
  • 8. [기타] / 독립
  • 9. [기타] / The Reverend Soon Hyun Collected Works / USCLibraries
  • 10. [단행본] SOON HYUN / 1922 / WASHINGTON YEARS IN HIS OWN WRITINGS 1920~1921 / SOON HYUN HISTORICAL COMMITTEE
  • 11. [기타] 국가보훈처 / 2005 / 海外의 韓國獨立運動史料 美州篇(8)OSS재미한인자료
  • 12. [단행본] 國史編纂委員會 / 1973 / 韓國獨立運動史: 資料, 3 (임정편Ⅲ) / 探求堂
  • 13. [단행본] 독립유공자공훈록편찬위원회 / 1988 / 大韓民國 獨立有功者 功勳錄, 5 / 國家報勳處
  • 14. [단행본] 우남이승만문서편찬위원회 / 1998 / (梨花莊 所藏) 雩南李承晩文書: 東文編, 8·9 / 중앙일보사
  • 15. [단행본] 柳永益 / 2009 / 李承晩 東文 書翰集 : 淨書·飜譯·校註本 淨書飜譯校註本, 1~3 / 연세대학교출판부
  • 16. [보고서] 중앙일보 현대사연구소 / 1996 / 美軍 CIC 情報 報告書2 : 단체활동조사보고서(1)
  • 17. [단행본] David Hyun / 2003 / My autobiography by the reverend Soon Hyun 1878-1968 : with historical documents, photographs and analysis / Institute for Modern Korean Studies Yonsei University Press
  • 18. [단행본] / 1999 / JoongAng Ilbo: Institute for Modern Korean Studies, The Syngman Rhee telegrams / Yonsei University
  • 19. [단행본] 강만길 / 2003 / (증보)조선민족혁명당과 통일전선 / 역사비평사
  • 20. [단행본] 김원용 / 2004 / 재미한인 50년사 / 혜안
  • 21. [단행본] 국사편찬위원회 / 1991 / 韓民族 獨立運動史 資料集
  • 22. [단행본] 고정휴 / 2004 / 이승만과 한국독립운동 / 연세대학교 출판부
  • 23. [단행본] 방선주 / 1989 / 재미한인의 독립운동 /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24. [단행본]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2003 / 미주 한인의 민족운동 / 혜안
  • 25. [단행본] 정병준 / 2005 / 우남 이승만 연구 / 역사비평사
  • 26. [단행본] 정병준 / 2015 / 현앨리스와 그의 시대 : 역사에 휩쓸려간 비극의 경계인 / 돌베개
  • 27. [단행본] 홍선표 / 2011 / 재미한인의 꿈과 도전 / 연세대학교 출판부
  • 28. [단행본] Peter Hyun / 1995 / In the New World : the Making of a Korean American / University of Hawaii Press
  • 29. [단행본] Peter Hyun / 2015 / 만세! : 현순 목사의 아들 피터 현이 기억하는 삼일운동과 상하이의 독립운동가들 / 한울
  • 30. [학술지] 김도형 / 2010 / 하와이 대조선독립단의 조직과 활동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7) : 209 ~ 37 kci
  • 31. [학술지] 김양수 / 1998 / 조선전환기의 中人집안활동 : 玄德潤 玄采 玄楯등 川寧玄氏 譯官家系를중심으로 / 동방학지 / 102
  • 32. [학술지] 고정휴 / 2005 / 하와이 中韓民衆同盟團(1938~1945) 연구 / 한국근현대사연구 (34) : 157 ~ 34 kci
  • 33. [학술지] 박준현 / 2015 / 재미한인 卞俊鎬의 독립운동과 사회주의 / 한국근현대사연구 (72) : 179 ~ 72 kci
  • 34. [학술지] 윤대원 / 2009 / 玄楯에게 ‘秘傳’된 임시정부의 실체와 대한공화국임시정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3) : 265 ~ 33 kci
  • 35. [학술지] 정병준 / 2004 / 1940년대 재미한인 독립운동의 노선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42 : 110 ~ kci
  • 36. [학술지] 정병준 / 2012 / 현앨리스 이야기 : 어느 진보주의자의 삶과 파국적 종말 / 역사비평 (99) : 373 ~ 99 kci
  • 37. [학술지] 정태식 / 2006 / 基督敎社會主義의 韓國的 受容에 對한 一考察 -崔文植 牧師의 思想과 實踐을 中心으로- / 퇴계학과 유교문화 (39) : 411 ~ 39 kci
  • 38. [학술지] 최기영 / 1999 / 조선의용대와 미주한인사회 –조선의용대 미주후원회를 중심으로- / 한국근현대사연구 / 11
  • 39. [학술지] 최기영 / 2004 / 1930-1940년대 미주 기독교인의 민족운동과 사회주의 : 이경선을 중심으로 / 한국기독교와 역사 (20) : 29 ~ 20 kci
  • 40. [학술지] 한규무 / 1992 / 玄楯(1878~1968)의 인물과 활동 / 국사관논총 / 40
  • 41. [학술지] 홍선표 / 2009 / 『가와도한인단합회규정』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4) : 361 ~ 34 kci
  • 42. [학술지] 홍선표 / 2015 / 1930년대 재미한인사회의 진보적 변화와 대응 - 중국후원회 결성과 조선의용대 후원을 중심으로 -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85) : 238 ~ 85 kci
  • 43. [학술지] Hans Hermann Holfelder / 1977 / 基督敎와 社會主義s / 神學 思想 / 17
  • 44. [학술지] ROBERT KIM / 2012 / SOON HYUN (HYŎN SUN) AND HIS LEADERSHIP IN THE HAWAIIAN BRANCH OF THE KOREA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DURING WORLD WAR II / Acta Koreana / 15 (1) : 163 ~ 1 k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