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전시기 총동원체제는 국방과 군수산업 분야만 아니라 사회·가정생활과 사상·문화면에 이르는 전면적 再造를 통해 식민지 조선을 대동아공영권으로 편입시키고 조선인을 일본정신으로 무장시키는 프로젝트였다. ‘황민 만들기’ 목적의 생활개선캠페인은 1930년대 초 농산어촌진흥운동에서 시작되어 1930년대 후반 이후 전시기에 들면서 도시로 확산, 본격화되었다. 생활개선캠페인은 일상적 삶의 방식과 신체를 통제함으로써 총동원체제로 대중을 포섭 동원하기 위한 장치였다. 도시에서 생활개선캠페인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것은 1936년 國民精神作興週間(11.7~13) 실시를 계기로 했다. 1936년과 1937년 국민정신작흥주간의 생활개선캠페인은 총독부의 통첩에 제시된 가이드라인에 따라 경기도와 인천부, 경찰서 등의 행정관서가 직접 구체적인 행사 프로그램을 수립하고 지시했으며, 町會·부인단체·사회단체·각급 학교가 이를 실행했다. 그러나 1938년 7월 국민정신총동원인천연맹이 조직되면서 인천지역 생활개선운동을 주도했다. “정동운동의 단위는 가정생활이고 가정생활의 사소한 모든 일이 정동운동의 眞髓로 투철되어야 한다”는 방침은 곧 일상생활에 대한 통제와 포섭을 의도한 것이었다. 1940년 10월 조직된 국민총력인천연맹은 “신체제에 조응하는 생활을 실천함으로써 生活維新을 이루어야 한다”는 방침에 따라 생활개선캠페인을 추진했다. 그런데 일본인 비율이 높아 관변단체가 다른 지역에 비해 일찍 조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식민도시 인천의 생활개선캠페인을 통한 일상 규제는 저조했다. 그 이유는 기본적으로 인천의 지리적·사회공간적 배경에서 찾을 수 있다. 인천이 경인공업지대의 중심지로 발전하면서 노동자 유입이 크게 증가한 점, 그리고 궁핍한 노동자가 지역민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지역적 특징은 식민권력의 일상지배에 중요한 변수였다. 생활개선캠페인이 기본적으로 거주단위별 애국반과 직능별 보국단을 단위로 실행되었기에, 행정망의 정비가 전제되지 않는 한 인천 인구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이질적인 혼합집단=이주노동력과 도시빈민층’을 포섭하기는 쉽지 않았다. 생활개선캠페인을 통한 일상 통제와 황민화사업의 파열은 바로 ‘전쟁 완수의 중추지대인 인천과 같은 港都·工都’에서 시작되었던 것이다. 식민지 대중을 제국의 국민으로 만드는 과정은 훨씬 엄격한 자격검증을 거쳐야 했으니, 조선의 생활개선캠페인의 경우 식민모국보다 훨씬 강한 규제와 동원이 적용되었다. 때문에 식민권력에 의한 일상지배와 그로 인해 구축된 식민적 생활세계는 해방 후 유산으로 연속되었다.

키워드

생활개선캠페인, 총동원체제, 국민정신작흥주간, 전시국민생활강조주간, 국민정신총동원인천연맹, 국민총력인천연맹, 식민도시, 인천, 포섭과 저항, 사회적 공간성, 로컬리티

참고문헌(28)open

  1. [기타] / 총동원

  2. [기타] / 국민총력

  3. [기타] / 경성일보

  4. [기타] / 매일신보

  5. [기타] / 동아일보

  6. [기타] / 조선일보

  7. [기타] / 부산일보

  8. [기타] / 자유신문

  9. [단행본] 丸山雄治 / 1939 / 北支戰線と銃後の仁川 / 築地活版所

  10. [단행본] / 1940 / 朝鮮に於ける國民精神總動員 / 조선총독부

  11. [단행본] 조선총독부 / 1941 / 半島ノ國民總力運動

  12. [단행본] 국민총력조선연맹 / 1941 / 國民總力讀本

  13. [단행본] 御手洗辰雄 / 1942 / 南總督の朝鮮統治 / 경성일보사

  14. [단행본] 국민총력조선연맹 / 1943 / 國民總力運動要覽

  15. [단행본] 생활과학팜플렛 / 1943 / 국민생활논총(1) / 생활과학사

  16. [단행본] 杉田芳夫 / 1945 / 朝鮮に於ける國民總力運動史 / 국민총력조선연맹

  17. [기타] / 1952 / 「전시생활개선위원회규정」 in 국무회의상정안건철 / 총무처 의정국 의사과

  18. [단행본] 최유리 / 1997 / 일제 말기 식민지지배정책연구 / 국학자료원

  19. [단행본] 선재원 / 2004 / 일제 파시즘 지배정책과 민중생활 / 혜안

  20. [단행본] / 2004 / 일제의 식민지배와 일상생활 / 혜안

  21. [단행본] 공제욱 / 2006 / 식민지의 일상-지배와 균열 / 문화과학사

  22. [단행본] 정선태 / 2007 / 생활 속의 식민지주의 / 산처럼

  23. [단행본] 미셀 푸코 / 2003 / 감시와 처벌 / 나남

  24. [단행본] 김지혜 / 2008 / 대중의 국민화 / 소나무

  25. [단행본] 倉沢愛子 / 2006 / 動員·抵抗·翼贊-岩派講座 アジア·太平洋戰爭 3 / 岩波書店

  26. [학술지] 桶口雄一 / 1994 / 太平洋戰爭下の女性動員-愛國班を中心に / 朝鮮史硏究會論文集 32

  27. [학위논문] 안자코 유카 / 2006 / 조선총독부의 ‘총동원체제’(1937~1945)형성정책

  28. [학술지] 오미일 / 2010 / 자본주의생산체제의 변화와 공간의 편성 ―일제 말기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근현대사연구 (53) : 108 ~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