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통상정보연구 제25권 제4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국 소비변화에 따른 B2C 국경 간 수입 전자상거래 시장 동향과 시사점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 시장과 국경 간 B2C 전자 상거래 시장의 현재 상태와 특징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경 간 전자 상거래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특징과 동향을 분석했다. 분석을 통한 국경 간 전자 상거래 소비자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와 1990년대에 태어난 중국 소비자들과 여성들이 소비시장의 주역으로 등장하였다. 둘째, 강력한 구매력을 가진 부유한 중산층이 확대되고 있다. 셋째,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제품 및 브랜드 정보를 습득하고 있다. 넷째, 라이브 상거래가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다섯째, 국경 간 전자 상거래 플랫폼이 주요한 구매 채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중국 소비시장의 동향은 명품 브랜드 선호, 여성들 사이의 '퓨어 뷰티', 고급 유아제품 시장의 성장, 그리고 건강 보조제에 대한 관심 증가 등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중국 소비시장 동향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브랜드 마케팅을 통해 브랜드 인지도와 가치 강화. 둘째, Douyin과 같은 숏폼 비디오 플랫폼을 활용한 마케팅 및 판매 활동 강화. 셋째, 환경친화적이고 안전한 여성 제품 및 유아제품에 대한 라인업 강화. 넷째, 건강 기능 식품의 품질과 표준화를 개선하고 제품 및 브랜드 포지셔닝을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이 그것이다. 현재 중국은 세계 최대의 소비재 수입 국가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들어 대한민국의 중국 수출은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정부 및 기업은 중국으로의 소비재 수출 확대를 위해 국경 간 B2C 전자 상거래 수출을 증대하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onsumer market and the cross-border B2C e-commerce market. Based on this, i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using cross-border e-commerce and trends. The characteristics of cross-border e-commerce consumers include. First, the dominance of Chinese consumers born in the 1980s and 1990s, as well as women. Second, the expansion of the affluent middle class with strong purchasing power. Third, the acquisition of product and brand information through social media. And fourth, the expansion of live commerce. Recent trends include a preference for luxury brands, the 'pure beauty' trend among women, the growth of the high-end baby product market, and increased interest in health supplements. Through trend analysis, sever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1. Enhance brand awareness and value through brand marketing. 2. Strengthen marketing and sales activities using short-form video platforms like Douyin. 3. Strengthen the lineup of environmentally friendly, safe, and mild women's care and baby products. 4. Improve the quality and standardization of health functional foods, while actively engaging in marketing activities to enhance product and brand positioning. Despite being one of the world's largest consumer goods importing countries, South Korean exports to China are on a downward trend. Therefore, to increase B2C cross-border e-commerce exports as part of exporting consumer goods to China, greater efforts should be made.

Ⅰ. 서론

Ⅱ. 중국소비시장 현황 및 특징

Ⅲ. 중국 국경 간 전자상거래 현황

Ⅳ. 중국 B2C 국경 간 수입 전자상거래 시장 동향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