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디지털인문학 방법론을 통해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의 상관성을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근대계몽기 1905~1910년 사이 발간된 학회보 및 협회보의 상관성을 정량적으로 연구해 본 결과, 재일본 유학생 잡지 사이의 유사도를 제외하고 국내와 유학생 잡지 중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의 유사도가가장 높게 나왔다. 『서북학회월보』 내에서의 기사 유사도 히트맵을 그려 봄으로써 『서북학회월보』 내에서 기사의 논조 변화와 시기, 그것과 『태극학보』와의 영향 관계를 설명하고, 두 학회지 간의 기사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 분석을 통해 필진의 구체화와 기사 간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두 학회지와 전체 근대계몽기 학술장의 비교를 위해 근대계몽기 10여 종의학회지를 대상으로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가중치가 높은 단어군과 두 학회지의 TF-IDF 가중치가 높은 단어군을 뽑아 제시하였다. ‘국가’·‘국민’·‘문명’ 등 기존의 개념사 연구가 주목해 온 주도 개념어들이 실제 근대계몽기 학술장에서 중요성이 높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교육’·‘청년’·‘공자’ 등의 개념들과 관련해 『서북학회월보』와 『태극학보』가 담론의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키워드

디지털인문학, 근대계몽기 학술장, 『서북학회월보』, 『태극학보』, 코사인유사도, TF-IDF

참고문헌(40)open

  1. [기타] 태극학회 / 태극학보

  2. [기타] 서북학회 / 서북학회월보

  3. [단행본] 구장률 / 2012 / 근대 초기의 잡지의 분과 학문의 형성 / 케이포북스

  4. [단행본] 김효전 / 2000 / 근대 한국의 국가사상: 국권회복과 민권수호 / 철학과현실사

  5. [단행본] 유준기 / 1999 / 한국근대 유교개혁운동사 / 아세아문화사

  6. [단행본]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 2004 / 근대계몽기 지식 개념의 수용과 그 변용(1895~1910) / 소명출판

  7. [단행본]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 2006 / 근대계몽기 지식의 발견과 사유지평의 확대(1895~1910) / 소명출판

  8. [단행본]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 2007 / 근대계몽기 지식의 굴절과 현실적 심화(1895~1910) / 소명출판

  9. [단행본]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 2008 / 한국개념사총서 1~12 / 도서출판 소화

  10. [단행본] 허수 / 2011 / 식민지 조선, 오래된 미래 / 푸른역사

  11. [학술지] 곽형기 / 1998 / 한말 태극학회의 활동과 체육사상 연구 / 한국체육학회지 37 (4)

  12. [단행본] 길진숙 / 2006 / 근대계몽기 지식의 발견과 사유지평의 확대 / 소명출판 : 321 ~ 353

  13. [학위논문] 김명옥 / 1995 / 한말 태극학회의 애국계몽운동 연구

  14. [학위논문] 金美梧 / 1982 / 韓末의 畿湖興學會에 關한 一硏究

  15. [학술지] 김영민 / 2007 / 근대적 유학제도의 확립과 해외 유학생의 문학문화 활동 연구 / 현대문학의 연구 (32) : 297 ~ 338

  16. [학술지] 김일수 / 2002 / 대한제국 말기 대구지역 계몽운동과 대한협회 대구지회 / 민족문화논총 25 : 173 ~ 207

  17. [학위논문] 김항구 / 1993 / 大韓協會(1907-1910) 硏究

  18. [학술지] 김현주 / 2015 / 계몽기 문화 개념의 운동성과 사회이론 / 개념과 소통 (15) : 5 ~ 45

  19. [학술지] 박민영 / 1996 / 1908년 鏡城義兵의 편성과 대한협회 鏡城支會 / 한국근현대사연구 4 : 170 ~ 200

  20. [단행본] 박주원 / 2006 / 근대계몽기 지식의 발견과 사유지평의 확대 / 소명출판 : 63 ~ 107

  21. [학술지] 안남일 / 2019 / 『태극학보(太極學報)』 소재 의료 관련 텍스트 연구 / 한국학연구 (68) : 97 ~ 118

  22. [학위논문] 엄기윤 / 2018 / 대동학회에 대한 고찰

  23. [학술지] 유영렬 / 1996 / 대한협회 지회 연구 / 국사관논총 67 : 387 ~ 413

  24. [학술지] 이송희 / 1983 / 한말 서북학회의 애국계몽운동 상·하 / 한국학보 (31~32) : 82 ~ 106

  25. [학술지] 이송희 / 1984 / 한말 서북학회의 애국계몽사상 / 부산여대사학 (1) : 117 ~ 151

  26. [학술지] 이재봉 / 2009 / 근대의 지식체계와 문학의 위치 / 한국문학논총 (52) : 149 ~ 183

  27. [학술지] 이재연 / 2014 / 작가, 매체, 네트워크-1920년대 소설계의 거시적 조망을 위한 시론- / 사이間SAI (17) : 257 ~ 301

  28. [학술지] 이재연 / 2016 / ‘생활’과 ‘태도’ 기계가 읽은 『개벽』과 『조선문단』의 작품 비평어와 비평가 / 개념과 소통 (18) : 5 ~ 52

  29. [학술지] 이재연 / 2016 / 키워드와 네트워크: 토픽 모델링으로 본 『개벽』의 주제 지도 분석 / 상허학보 46 : 277 ~ 334

  30. [학위논문] 전성규 / 2018 / 근대계몽기 정체(政體) 담론과 지식인-문인 공공 영역의 생성: 협회·학회운동과 사대부적 공공 영역의 장기 변환을 중심으로

  31. [학술지] 전은경 / 2018 / 근대계몽기 서북지역 잡지의 편집 기획과 유학생 잡지의 상관관계-‘문학’ 개념의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 국어국문학 (183) : 231 ~ 270

  32. [학술지] 전재관 / 1997 / 한말 애국계몽단체 지회의 분포와 구성 / 숭실사학 10 : 153 ~ 194

  33. [학위논문] 鄭泰柱 / 1996 / 大韓興學會의 成立과 活動

  34. [학술지] 조현욱 / 1995 / 서북학회의 애국계몽운동 I / 한국학연구 5 : 47 ~ 97

  35. [학술지] 조현욱 / 2000 / 서북지회의 관서지방 지회와 지교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4) : 123 ~ 188

  36. [학술지] 조현욱 / 2001 / 안악지방에서의 애국계몽운동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8) : 307 ~ 333

  37. [학술지] 趙顯旭 / 2002 / 漢北興學會의 조직과 활동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18 : 3 ~ 102

  38. [학술지] 최성민 / 2012 / ‘청년’ 개념과 청년 담론 서사의 변화 양상 / 현대문학이론연구 (50) : 227 ~ 248

  39. [학술지] 홍인숙 / 2010 / 『大韓自强會月報』의 운동성과 지향 연구 - 자강회 내부의 이질적 그룹과 그 성격을 중심으로- / 동양한문학연구 30 (30) : 353 ~ 381

  40. [학술지] 류칭펑(劉靑峰) / 2009 / 관념사(觀念史) 연구에서 데이터베이스 방법론이 지니는 의의 / 개념과 소통 (4) : 175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