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왕조교체기를 맞이하거나 국정개혁을 도모하고자 한 조선의 역대 왕들은 ‘유신(維新)’을 기치로 내걸고 새로운 정국의 시작을 천명했다. 전통적 유신 개념은 다음과 같은 점들에서 특징적이었다. 첫째, 유신은 현재 이해되고 있는 것보다 훨씬 결정적으로 국가통치이념 및 제도와 관계되는 개념이었다. 둘째,순환적 역사관 속에서 정치개혁은 이상적인 ‘구(舊)’의 상태로 거듭나게 하는의미로 ‘신(新)’을 지향하는 것이었으며, ‘복고’와 ‘혁신’을 동시에 의미하는 것이었다. 셋째, 그러한 역사관 속에서 왕조 교체 또한 순환적인 것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이러한 전통적 개념은 개항기 이후 ‘유신’의 모델로서 ‘메이지유신’이 거론되면서 균열되기 시작했다. 순환적 역사관의 신구 관념에서 탈각한 ‘신’은 ‘구’를잘라 버리고, 진보주의와 결합하여 문명개화를 뜻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에따라 전통적 유신 개념을 이루는 도덕적 측면과 제도적 측면도 분리되었다. 그러한 균열의 기폭제로 작용한 것이 1906년 『황성신문』에서 번역․연재한 「일본유신 30년사(日本維新三十年史)」이다. 그런데 이 번역의 원저인 일본서 「메이지 30년사(明治三十年史)」는 황국사관, 일본주의, 진보주의 입장에서 그 시발점으로서 메이지유신을 위치시키고, 그 결실로서 일본이 문명개화․근대화되었다는 인식에서 기술된 것이었다. 이에 대하여 『황성신문』의 「일본유신 30년사」는 일본서에서 제시한 것들을유신의 과정으로 이해하고 대한제국 국가 경영과 진보를 위하여 학술과 사상으로서 학습해야 할 대상으로 소개함으로써 유신 개념을 해체·왜곡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유신은 그 궁극 대상인 국가정치와 차단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폐기되었던 도덕적 측면은 ‘국민사상’으로서 ‘충군애국’으로부활하였다. 대한제국의 유신 개념은 그 안에 메이지유신이라는 문명개화의지표가 침투하여 터 잡음으로써 국가정치의 정통성과도 근본적 정치개혁이라는 진보성과도 고리가 단절되어, 국민․도덕․교육․애국 개념들이 만들어 낸 폐쇄회로 속에서 맴돌고 있었다.

키워드

대한제국, 유신 개념, 메이지유신, 신구 관념, 순환적/진보적 역사관, 「일본유신 30년사」

참고문헌(30)open

  1. [기타] / 대한매일신보

  2. [기타] / 대한자강회월보

  3. [기타] / 대한흥학보

  4. [기타] / 사화기략

  5. [기타] / 수신사일기

  6. [기타] / 일동기유

  7. [기타] / 조선왕조실록

  8. [기타] / 태극학보

  9. [기타] / 황성신문

  10. [학술지] 奠都三十年 / 1898 / 太陽 / 臨時增刊 4 (9)

  11. [기타] / 駐韓日本公使館記錄

  12. [기타] / 統監府文書

  13. [학술지] 日本維新三十年史 / 1903 / 朴文館編 / 廣智書局譯

  14. [인터넷자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5. [단행본] 민두기 / 1989 / 중국의 역사인식 상 / 창작과비평사

  16. [단행본] 릴라 간디 / 1998 / 포스트식민주의란 무엇인가 / 현실문화연구

  17. [단행본] 김효전 / 1996 / 서양 헌법 이론의 초기 수용 / 철학과현실사

  18. [단행본] 김효전 / 2000 / 근대 한국의 국가사상 / 철학과현실사

  19. [단행본] 앙드레 슈미드 / 2002 / 제국 그 사이의 한국 / 휴머니스트

  20. [단행본] 장인성 / 2014 / 메이지유신:현대 일본의 출발점 / 살림

  21. [단행본] 정구복 / 1997 / 역주 삼국사기 4 주석 편(하)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2. [단행본] 최종고 / 2004 / 한국법사상사 / 서울대학교출판부

  23. [단행본] 한림과학원 / 2013 / 동아시아 개념연구 기초문헌해제 II / 선인

  24. [단행본] 三谷博 / 2012 / 明治維新を考える / 岩波書店

  25. [단행본] 三谷博 / 2013 / 愛國·革命·民主 / 筑摩書房

  26. [학술지] 양일모 / 2010 / 번역과 개념으로 본 중국의 근대성 - ‘유신’과 ‘혁명’을 중심으로 - / 동양철학 (33) : 173 ~ 198

  27. [학위논문] 이헌미 / 2012 / 반역의 정치학 : 대한제국기 혁명개념연구

  28. [학술지] 장인성 / 1999 / 유신의 아이덴티티와 문명:메이지유신의 분석틀 / 한국정치학회보 33 (2) : 259 ~ 275

  29. [학술지] 정상우 / 2012 / 개화기 군민동치 제도화 과정 및입헌군주제 수용 유형 연구 / 헌법학연구 18 (2) : 447 ~ 480

  30. [학술지] 樽本照雄 / 1998 / 梁啓超の種本:雑誌 󰡔太陽󰡕の場合 / 󰡔清末小說から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