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농촌과 도시, 지방 간 삶의 질을 비교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권역단위종합정비사업과 같은 단위사업을 대상으로 사업을 통한 실제 주민들의 삶의 질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사업의 기능별 항목과 관련한 삶의 질 영향 요인들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 사회적 자본을 매개변수로 활용하였다. 분석지표는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의 기능별 항목인 기초생활기반, 지역소득 증대, 지역경관 개선, 지역역량 강화 등 4개 분야를 기존 선행연구의 삶의 질 영향 요인들과 연관하여 11개 하위 항목을 선정하였고, 매개변수로 활용한 사회적 자본은 3개 분야 신뢰, 참여, 네트워크 등이고, 9개 하위 항목을 선정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자본은 삶의 질 만족도에 대해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냈으며, 단계적 회귀분석에서 삶의 질 영향 요인은 기초생활기반, 지역역량 강화, 지역소득 증대순으로, 사회적 자본은 네트워크, 신뢰, 참여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경로분석에서 기초생활기반이 가장 큰 영향을, 다음으로 네트워크가 유의미하게 영향을 나타냈다. 지역역량 강화는 직접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회적 자본과의 직접효과에서 큰 영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지역 주민들이 사업을 통해 삶의 질 향상과 공동체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 기초생활기반을 통해 주민들의 기본적인 삶의 질을 보장하고,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참여와 신뢰 등의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키워드

권역단위종합정비사업, 삶의 질, 사회적 자본, 매개효과

참고문헌(15)open

  1. [학술대회] 김철 / 2017 / 2019년 일반농산어촌개발 정책 방향 / 농림축산식품부 주최 제22차 농어촌지역정책포럼

  2. [학술지] 김태룡 / 2000 /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 수준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12 (2) : 135 ~ 155

  3. [학위논문] 노병찬 / 2016 / 지역사회 지도자의 리더십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전광역시 좋은 마을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4. [기타] 농림축산식품부 / 2014 / 농림축산식품사업 시행지침서 / 농림축산식품부

  5. [보고서] 송미령 / 2013 / 통계로 살펴보는 농어촌 주민의 삶의질

  6. [학위논문] 송승현 / 2008 / 지속적 마을만들기의 운영·관리에 관한 연구 : 농촌 마을규약을 중심으로

  7. [학위논문] 안중호 / 2013 /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의 주민 만족도 영향 분석

  8. [학술지] 이규환 / 2008 / 사회적 자본 개념요소 연계성에 관한 연구 : 충북 청주시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 (1) : 207 ~ 227

  9. [단행본] 이종수 / 2009 / 행정학 사전 / 대영문화사

  10. [학위논문] 임근식 / 2012 / 지역주민의 삶의 질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시·군을 중심으로

  11. [학술지] 조진상 / 2009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성과 및 문제점 분석-구례 방광권역 주민소득사업을 중심으로- / 농촌계획 15 (4) : 109 ~ 124

  12. [단행본] 한국교육평가학회 / 2004 / 교육평가용어사전 / 학지사

  13. [학술지] 허주열 / 2009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주민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 경상북도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지구를 중심으로 - /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 (3) : 45 ~ 70

  14. [학술지] Coleman, J / 1988 /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 95 ~ 120

  15. [학술지] Putnam, R. / 1993 /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 The American Prospect 4 (13) : 35 ~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