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5%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기독교 생태윤리의 신학적 토대는 ‘생명’이며 수많은 생명을 품고 있는 구체적 장소는 ‘지구’다. 기후위기의 시대에 생명계를 구성하는 하늘과 땅, 인간과 동식물 그리고 물질적 환경 전체를 하나님의 피조세계로 인식하는 새로운 지구행성 윤리(earth planetary ethics)의 재구성이 교회의 긴급한 시대적 사명이라고 생각한다. 특별히 팬데믹 이후 새롭게 조명 받고 있는 인간과 동물의 관계의 신학적 정립을 위해 인간중심적 신학전통에 대한 철저한 반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이번 코로나로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는 동물권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인식의 부재와 전통신학에 내재한 뿌리 깊은 인간 우월적 사유를 반성하고 기독교 동물윤리의 이론적 대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별히 창조신학적 관점에서 보다 근본적으로 인간과 비인간 동물의 관계를 신학적으로 정립할뿐 아니라 동물의 본유적 가치를 강조한 고백자 막시무스의 신학을 통하여 동물에 대한 인간의 책임을 강화하는 기독교 윤리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전히 너무나도 미미한 동물에 대한 신학이론의 현실을 반성하고 근대 신학의 발전과 과학의 진보의 과정에서 철저히 배제되어 온 비인간 동물과 인간의 관계를 신학적으로 구축함으로 동물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응답을 촉구할 것이다. 이러한 동물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전환은 동물의 고통과 학대에 무관심하거나 무디어진 그리스도인들이 창조 시에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본유적 가치에 충실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인간만아 아니라 동료 피조물의 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함을 의미한다.

Theological foundation ofphristian ecological ethics is ‘life’. And the specific place with numerous lives is the Earth. In the era of the climate crisis, I think the reconstruction of earth planetary ethics, which recognizes the sky and land that make up the life system, humans, animals, plants, and material environment as God’s world of creation, is an urgent mission of the church. In particular, thorough reflection on the anthropocentric theological tradition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the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 animals that has been newly illuminated since the pandemic. This paper reflects on the absence of Christians’ awareness of animal rights and deep-rooted human superior thoughts inherent in traditional theology and proposes a theoretical alternative to Christian animal ethics. It aims to emphasize the intrinsic value of animals from the creation theological perspective by more fundamentally re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 animals beyond the discussion of the moral status or severity of animals based on human perception. Therefore, this study will urge Christians to make a responsible decision on animals by reflecting on the reality of theological ethics of animals that are still too insignificant and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 animals and humans that has been excluded from the process of modern theology and scientific progress.

목차

한글 초록
Ⅰ. 팬데믹 현상을 통해 돌아보는 동물의 현실과 인간의 책임
Ⅱ. 인간 문명의 발전과 동물의 멸종 그리고 성서 속에서의 동물의 위치
Ⅲ. 동물에 대한 인간의 윤리적 책임을 강화하는 신학적 토대로서 성육신
Ⅳ. 동물에 대한 인간의 윤리적 책임을 강화하는 막시무스의 신화와 로고이 개념
Ⅴ.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