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1세기 유대인들은 ‘여전히 포로 시대를 살고 있다’는 자의식을 지녔는가? 최근 신약 학자들 사이에서 이에 대한 논쟁이 다시 일어나고 있다. 제2성전기 유대교의 다양성을 염두에 둔다면, 이 주제에 대한 단편적인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본 소고(小考)는 당대의 유대 친화적인 복음서로 꼽히는 마태복음에 논의의 초점을 제한하고, ‘저자적 독자’(authorial reader)의 관점에서 이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태복음은 이스라엘의 영적 상태를 ‘죄(罪, 1:21)’와 ‘잃어버린 양(羊, 10:6)’으로 표현하고 있다. 비록 조상들이 바벨론으로부터 돌아왔지만, 이스라엘은 여전히 죄 가운데, 참 목자를 잃고, 사망의 땅과 그늘에 앉아 있다(4:16). 분명 이러한 묘사는 구약의 선지자들이 예언했던 회복된 이스라엘의 모습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다(사 60-66; 렘 31; 33; 겔 39-48; 미 4:1-8; 슥 8; 9:9-17; 12:10-13:1 등). 특히 로마에 의한 예루살렘의 멸망을 목도한 세대에게, 현재 이스라엘의 비참한 상황은 바벨론 포로시대의 그것과 다를 바 없어 보였다. 이러한 시대에 등장한 마태복음은 예수께서 ‘구원자’(1:21)요, ‘목자’(2:6)로 이스라엘에 보냄을 받으셨다고 선언한다. 그리하여 마태복음의 족보는 예수께서 오랜 ‘바벨론’ 포로시대에 종지부를 찍고, 회복의 새 시대를 이룩할 인물이란 기대감을 나타낸다(1:12-17). 역사적 바벨론의 시대는 지나갔지만, 여전히 상징적 바벨론(로마)의 시대를 살고 있는 유대인 독자들에게 마태복음의 예수는 새로운 희망을 선사하는 것이다.

It has been the subject of much debate among N.T. scholars whether Jews of the first century A.D. believed that they still remained in the exile, though their ancestors had already returned from Babylon centuries ago. The present article attempts to address this issue in the study of Matthew, arguing from authorial reader’s viewpoint that the exile was not deemed over to the Jewish readers of post 70’s who readily thought of Babylon as an epithet for Rome.
According to the Gospel of Matthew, Israel is the people (lao,j) in need of salvation from ‘sins’ (Mt 1:21) and the ‘lost sheep without a shepherd’ (10:6 cf. 15:24). Despite the return from Babylon centuries ago, Israel’s current predicament is no better than the time of the exile. Yet, Matthew’s genealogy articulates that the Babylonian exile has its terminus in Jesus. This good news resonates, not least with the Jewish readers who have recently undergone the fall of Jerusalem. To them, Babylon reads like an epithet for Rome. Although Israel is now under the yoke of the symbolic Babylon, they can still hope that it will be reversed by Jesus, the Christ.

목차

Abstract
Ⅰ. PROLEGOMENA
Ⅱ. DATE OF MATTHEW’S COMPOSITION
Ⅲ. EXILE MOTIFS IN MATTHEW
Ⅳ. IMPLICATION OF ‘THE BABYLONIAN EXILE TO JESUS CHRIST’ IN 1:17
Ⅴ. CONCLUSION
Bibliography
한글 초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230-000323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