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신학대학원(M.Div)을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한국의 신학교육은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이 위기를 몇 가지 차원의 ‘분리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신학교육과 목회 현장과의 분리, 신학의 제 학문 간의 분리, 교육목적과 교육과정의 분리, 이론과 실천의 분리, 신학과 목회의 장인 상황과의 분리, 그리고 교수와 학생의 세대 간 소통의 분리 등을 들 수 있다. 신학교육의 이러한 분리현상은 신학교육, 특히 목회자 양성과정으로서 신학대학원 (M.Div)의 교육이 본질상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였거나 오해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서, 이는 신학교육의 재개념화(re-conceptualization)를 요청하고 있다. 전통적인 신학교육에 대한 이해는 ‘신학’이 무엇인지로부터 출발해서 ‘그러므로’ 신학교육은 ‘이래야 한다’는 식의 접근이다. 그러나 신학교육도 교육의 하나로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Div.과정의 신학교육은 학문으로서의 신학을 탐구하는 과정보다는 목회자를 양성하는 교육의 과정으로 ‘실천지향적’ 신학교육이 되어야 한다. ‘실천지향적’ 신학교육은 다음 세 가지 오해를 극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첫째는 실천신학을 강조하는 입장이라고 생각하는 오해이다. 그러나 실천지향적 신학교육은 모든 이론신학의 중요성과 비중을 그대로 인정하되 그 방향이 실천지향적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목회기능주의로 오해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실천지향적 신학교육은 목회의 기술을 가르치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신학교육이 실천적 능력을 함양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이론-실제 패러다임으로 이해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실천지향적 신학교육은 이론을 실천에 적용하는 신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실천과 이론을 분리할 수 없다는 점에서 프락시스(praxis)를 강조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실천지향적 신학교육이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있다.

Theological education in Korea is in a serious crisis. This crisis can be explained by the phenomena of various types of separation. This includes the separation between theological education and the ministry field,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al processes, theory and practice, and theology and contexts of ministry; the separation in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 and the separation within areas of theology.
This phenomena of separation in theological education originates from a misunderstanding of the M.Div. program simply as theological education. The M.Div. program should be different from general theological education, because the purpose of the M.Div. program is to cultivate ministers. Taking this perspective calls for a reconceptualization of theological education. It means that theological education should begin from a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theological education rather than the meaning of theology. Theological education, which is a kind of education, shoul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component.
The re-conceptualization of theological education for the M.Div. program is based on a ‘practice-oriented’ theology. There are three kinds of misunderstandings regarding practice-oriented theology. The first misunderstanding is the idea that it will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actical theology. The second is the idea that it can be identified with ministry functionalism in theological education, which focuses on skills and know-how in ministry. The third is the idea that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theory-practice paradigm.
However, ‘practice-oriented’ theological educa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ocalled ‘theoretical’ areas including biblical theology, historical theology and systematic theology. What it asks is to be practice-oriented. Even though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actice, it does not mean that it focuses only on transmitting skills, strategy, and know how for the ministry. Rather, it discloses the importance of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toward practice. Here, the meaning of practice in ‘practice-oriented’ is not the application of theory to practice. It refers to ‘praxis,’ in which theory and practice cannot be separated. This study gives a specific account of the shape that such a ‘practice-oriented’ theological education must take.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신학교육의 위기
Ⅱ. 신학교육의 분리현상
Ⅲ. 신학교육의 기독교교육모델: ‘실천지향적’ 신학교육
Ⅳ. ‘실천지향적’ 신학교육의 새로운 개혁 방향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230-001681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