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통상임금 노사합의의 효력 ― 근로기준법과 신의칙, 그리고 부당이득 ―

The Validity of the Agreement of Labor Union and Management on the Ordinary Wages - The Labor Standard Act, the Principle of Good Faith, and Restitution -

민주법학
약어 : 민주법학
2014 no.54, pp.99 - 139
DOI : 10.15756/dls.2014..54.99
발행기관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연구분야 : 법학
Copyright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44 회 열람

이 논문은 대법원의 ‘2012다89399 전원합의체 판결’을 사법학(私法學)의 이론에의하여 비판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다수의견은 이번 판결에서, 정기상여금은 그 성질상 통상임금에 해당하므로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서 제외하기로 하는 노사합의가 근로기준법에 반하는 경우 그 효력은 인정될 수 없다고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노사가 임금협상을 하면서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서 제외하기로 합의하였고 일정한요건이 더해지는 특별한 경우 비록 이런 노사합의가 강행규정에 반하더라도 신의성실의 원칙에 의하여 그 노사합의의 무효를 주장할 수 없으므로 정기상여금을 다시통상임금에 산입하여 추가적인 법정수당을 청구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이 논문은 이번 판결의 반대의견이 다수의견의 신의칙 담론과 다투다가 놓쳐버린 쟁점, 특히 이번 판결을 통하여 근로기준법의 강행규정성을 배제한 노사합의의효력을 신의칙의 오용으로 정당화함으로써 계약법에서의 의사이론을 절대화하려는다수의견의 의도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아울러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서 제외한다는 노사합의가 강행규정에 반함을 이유로 그 노사합의가 무효임을 주장하는 것이비록 신의칙에 위배된다고 하더라도 이미 제공된 근로자의 노무급부 또는 사용자의지출 감소에 대한 부당이득은 근로자에게 정당하게 반환되어야 함을 영미법에서의원상회복이익과 대륙법에서의 급부부당이득을 중심으로 논증한다. 더욱이 이번 판결에서 통상임금에 관한 법리를 법에 따라 선언하여야 할 대법원이 근로기준법의 규범성을 무시하면서 최고의 법해석기관으로서의 지위를 망각하였는데, 이는 입법부와 헌법재판소의 권한을 부인한 것이며 궁극적으로 사법(私法)의절대화 및 사법(司法)의 정치경제적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한 것이다.

This article aims at critically examining the case of the SupremeCourt of Korea, 2012Da89399, in terms of the jurisprudence of theprivate law. In this judgment, the majority of the Supreme Courtargued that the validity can’t be recognized if the agreement oflabor union and management that excludes regular bonus that fallson under the ordinary wages violates the Labor Standard Act, andwhile the labor union and the management negotiate their wage,they came to an agreement that left regular bonus out ordinarywages. Although this agreement between labor union andmanagement goes against mandatory provision, in case of addingcertain conditions, they can’t argue the invalidity of the agreementof labor union and management by the principle of good faith. Hence, they can’t claim additional legal allowances, includingregular bonus within ordinary wages. This article critically weigh the issue that the minority didn’tdeal with and the intent of the majority intends to absolutize the‘will’ in contract law by justifying the effect of the agreementbetween labor union and management, excluding mandatoryprovision through this judgement. Further, focusing on therestoration interest in the anglo-american law and the unfair profit(Leistungskondiktion) in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thisarticle attempts to demonstrate that the restitution for the workwhich had been already provided should be returned although theclaim amounts to the breach of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n addition, it must be pointed out that the Supreme Court forgotits own duty to declare the legal principle regarding the ordinarywage and thus its own status as a final interpreter of the law,ignoring the normativity of the Labor Standard Act. In short, theCourt denied the authorities of the legislative and the ConstitutionalCourt, and therefore revealed vividly the intention to absolutize theprivate law and performed an active political-economic role towardthe so-called judicial supremacy.

통상임금, 근로기준법, 강행규정, 의사이론, 신의칙, 부당이득
Ordinary Wages, the Labor Standard Act, Mandatory Provision, Will Theory, Principle of Good Faith, Restitution

  • 1. [학술지] 고영남 / 1996 / 민법의 기본원리에 대한 의문 / 민주법학 (11) : 396 ~ 11
  • 2. [학술지] 고영남 / 2001 / 영미계약법에서 의사이론의 전통 / 안암법학 (12) : 187 ~ 12
  • 3. [학술지] 고영남 / 2002 / 민법개정시안에 나타난 의사이론의 의미 / Juris Forum (2) : 97 ~ 2
  • 4. [기타] 고영남 / 2004 / 계약파기의 자유와 손해배상 / 사법질서의 변동과 현대화 : 김형배교수고희기념논문집 : 293 ~
  • 5. [학술지] 고영남 / 2005 / 계약구속력의 근거로서 신뢰이론 / 신뢰연구 / 15 (2) : 67 ~ 2
  • 6. [학술지] 고영남 / 2006 / 계약법에서 손해의 성질결정- 대법원 2006.2.10. 선고 2003다15501 판결을 중심으로 - / 민사법학 (33) : 47 ~ 33 kci
  • 7. [기타] 고영남 / 2007 / 계약구속력의 정당성 : 아리스토텔레스의 전통과 그 한계 / 민사법의 현대적 과제와 전망 : 남강 서광민교수 정년기념논문집 : 1 ~
  • 8. [단행본] 곽윤직 / 1993 / 민법총칙(신정판) / 박영사
  • 9. [단행본] 곽윤직 / 1995 / 채권각론(신정판) / 박영사
  • 10. [학술지] 권혁 / 2013 / 약정통상임금의 효력에 관한 법이론적 재검토 / 법학연구 / 54 (4) : 203 ~ 4 kci
  • 11. [학술대회] 권혁 / 2014 / 토론문 / 2014년 한국노동법학회 학술대회 : 통상임금,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의 의미와 과제
  • 12. [단행본] 김형배 / 2003 / 사무관리・부당이득 / 박영사
  • 13. [단행본] 김형배 / 2010 / 노동법 / 박영사
  • 14. [단행본] 김형배 / 2013 / 민법학강의 / 신조사
  • 15. [학술대회] 도재형 / 2014 / 토론문 / 2014년 한국노동법학회 학술대회 : 통상임금, 대법원 전원합의체판결의 의미와 과제
  • 16. [학술대회] 박종희 / 2014 / 통상임금제도 개선의 입법정책적 과제 / 2014년 한국노동법학회 학술대회 : 통상임금,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의 의미와 과제 : 19 ~
  • 17. [학위논문] 변용완 / 2013 / 계약구속력의 근거로서 관계적 계약 이론에 관한 연구
  • 18. [단행본] 이영준 / 1995 / 민법총칙(전정판) / 박영사
  • 19. [학술지] 이용인 / 2008 / 무효인 퇴직금 중간정산과 부당이득 - 서울고등법원 2007. 11. 30. 선고, 2006나86698 판결 - / 민주법학 (36) : 285 ~ 36 kci
  • 20. [단행본] 이은영 / 1999 / 채권각론 / 박영사
  • 21. [기타] 이종복 / 1993 / 부당이득 - 3자관계를 중심으로 / 사법관계와 자율 : 이종복교수 논문집 : 53 ~
  • 22. [학술대회] 이철수 / 2014 / 통상임금 관련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의 의의와 평가 / 2014년 한국노동법학회 학술대회 : 통상임금,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의 의미와 과제 : 1 ~
  • 23. [학술대회] 조상균 / 2014 / 토론문 / 2014년 한국노동법학회 학술대회 : 통상임금,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의 의미와 과제
  • 24. [기타] 木下毅 / 1983 / 著書紹介 / アメリカ法
  • 25. [단행본] 內田貴 / 1990 / 契約の再生 / 弘文堂
  • 26. [단행본] 藤原正則 / 2001 / 不當利得法 / 信山社
  • 27. [단행본] 潮見佳男 / 2005 / 民法總則講義 / 有斐閣
  • 28. [학술지] Atiyah, Patrick / 1981 / Book Reviews / Harvard Law Review / 95 : 509 ~
  • 29. [단행본] Atiyah, Patrick / 1986 / Essays on Contract / Oxford Univ. Press
  • 30. [학술지] Fox Jr., James W. / 2003 / Relational Contract Theory and Democratic Citizenship / Case Western Reserve Law Review / 54 : 1 ~
  • 31. [단행본] Fried, Charles / 1981 / Contract as Promise: A Theory of Contractual Obligation / Harvard University Press
  • 32. [학술지] Fried, Charles / 2012 / Contract as Promise Thirty Years On / Suffolk Univ. Law Review / 45 : 961 ~
  • 33. [학술지] Fuller, L. L. / 1936 / The Reliance interest in contract damages: 1 / Yale Law Journal / 46 : 52 ~
  • 34. [학술지] Fuller, L. L. / 1937 / The Reliance interest in contract damages: 2 / Yale Law Journal / 46 : 373 ~
  • 35. [단행본] Hattenhauer / 1982 / Grundbegriffe des Bürgerlichen Rechts / C.H.Beck
  • 36. [학술지] Horwitz, Morton J. / 1974 / The Historical Foundations of Modern Contract Law / Harvard Law Review / 87 : 917 ~
  • 37. [학술지] Kornhauser, Lewis / 1982 / The Resurrection of Contract / Columbia Law Review / 82 : 184 ~
  • 38. [단행본] Macneil, Ian / 1980 / The New Social Contract: An Inquiry into Modern Contractual Relations / Yale Univ. Press
  • 39. [학술지] Macneil, Ian / 1983 / Value in Contract: Internal and External / Northwestern Univ. Law Review / 78 : 340 ~
  • 40. [학술지] Macneil, Ian / 1985 / Relational Contract: What we do and do not know / Wisconsin Law Review : 483 ~
  • 41. [학술지] Macneil, Ian / 2000 / Relational Contract Theory / Northwestern Univ. Law Review / 94 : 877 ~
  • 42. [기타] 고용노동부 / 2014 / 통상임금 노사지도 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