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2017년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자료를 통하여 대학 졸업자의 내재적·외재적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탐색하고자 데이터마이닝 기법의 하나인 sparse group lasso(SGL) 방법을 활용하였다. 기존의 연구방법은 모형 안정성의 이유로 제한된 변수만을 고려하여 대졸자의 직업만족도에 대해 살펴보았으나, 이 연구에서는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155개의 설명변수를 투입하여 탐색 된 변수가 선행연구 결과와 일관성을 갖는지 확인하고,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새로운 변수를 추가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벌점회귀모형인 lasso 방법 중에서도 구조적으로 유사하여 묶일 수 있는 변수의 집합 특성과 집합 내에서도 유의한 변수만이 선택될 수 있는 개별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SGL 방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과 교육수준 및 대학전공이 일치할수록, 대학교육에 만족할수록, 전공에 만족할수록, 직장의 규모가 클수록, 직장의 사회적 평판이 높을수록, 월 평균소득이 높을수록, 전공이 교육계열(참조집단 예체능계열 전공)이라면, 정부기관에서 일한다면, 정규직이면, 직장에 노동조합이 있으면, 성별이 남자이면, 직업에 외재적으로 만족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와 교육수준 및 대학전공이 일치할수록, 대학교육에 만족할수록, 전공에 만족할수록, 월 평균소득이 높을수록, 전공이 교육계열(참조집단 예체능계열 전공)이라면, 직장에 노동조합이 있으면 직업에 내재적으로 만족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155개의 설명변수를 투입한 분석 결과가 선행연구 결과와 대체로 일관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선행연구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향후 1년간 이직·취업 계획, 현재 건강상태, 삶의 만족도가 직업의 내재적·외재적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라는 것을 새롭게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대학교육 및 취업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variables tha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college graduates through the 2017 GOMS data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specifically sparse group lasso(SGL) model. This study applied SGL model which can simultaneously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groups and the individuality that only significant variables can be selected within the variable groups. The mai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llege graduates’ had a high probability of being externally satisfied with their job when their workplace and college education along with their college major were more matched, satisfied with their college education, satisfied with their major, the size of their workplace was bigger, their average monthly income were higher. Also when their major was education, if they work for a government agency, if they have a full-time job, if the workplace have a trade union, if the college graduate was male, the college graduates were more externally satisfied with their job. Second, the college graduates’ had a high probability of being internally satisfied with their job when their job and college education along with their major were more matched, satisfied with their college education, satisfied with their major, their average monthly income were higher. Also when their major was education, if they have a full-time job, if the workplace have a trade union, if the college graduate was male, the college graduates were more internally satisfied with their job. The results above we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es in general terms. Third, it was newly discovered that job and employment plans, current health conditions, and life satisfaction for the next year, which were not shown in prior research, were variables that could affect the internal and external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implications for policy for future college education and employment were discussed.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