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한국고전총간』 편찬사업의 시작을 위해 한국 고전적의 총규모와 성격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한국고전번역원의 대표적 고전정리 성과로는 『한국문집총간』을 제시할 수 있다. 『한국문집총간』은 철저한 문헌 조사를 통해 현전 한국 문집의 총규모를 파악하였고, 객관적 기준을 수립하여 편찬 대상서목을 확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장기적인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여 30년 동안 1,259종의 문집을 영인서 500책에 달하는 방대한 규모의 총서로 차질 없이 편찬해낼 수 있었다. 『한국고전총간』편찬사업을 시작하기에 앞서, 선행 연구의 성과와 한계에 유념하여 한국 고전적의 총규모를 산정하는 작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우선 ‘한국 고전적’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 살펴보고, 상이한 고전적을 어떻게 서로 구별할 것인지 그 방안을 검토할 것이다. 그 후에 현실적 한계 안에서 한국 고전적의 총규모를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설계하였다. 그에 따라 총규모 산정을 위한 목록을 조사 작성하고 서종별로 정리하여 보다 실제에 근접한 한국 고전적의 총규모를 산정하고 그 성격을 간략히 논할 것이다.

키워드

『韓國文集叢刊』, 『韓國古典叢刊』, 四部分類, 古典籍, 한국고전번역원

참고문헌(36)open

  1. [단행본] 金烋 / 海東文獻總錄

  2. [단행본] 李肯翊 / 燃藜室記述

  3. [단행본] 李萬運 / 增訂文獻備考

  4. [단행본] 韓致奫 / 海東繹史

  5. [단행본] 裴象鉉 / 東國十志

  6. [단행본] 朴周鍾 / 東國通志

  7. [단행본] 朴容大 / 增補文獻備考

  8. [단행본] 魚叔權 / 攷事撮要

  9. [단행본] 徐有榘 / 鏤板考

  10. [단행본] 正祖 / 弘齋全書

  11. [단행본] 洪奭周 / 淵泉全書

  12. [기타] / 文獻閣書目

  13. [기타] / 西庫書目

  14. [기타] / 西庫藏書錄

  15. [기타] / 西序書目籤錄

  16. [기타] / 西序書目草本

  17. [단행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1990 / 한국도서해제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8. [단행본] 모리스 꾸랑 / 2005 / 韓國書誌 / 일조각

  19. [단행본] 안대회 / 2018 / 완역정본 택리지 / 휴머니스트

  20. [단행본] 李寅榮 / 1968 / 淸芬室書目 / 寶蓮閣

  21. [단행본] 前間恭作 / 1969 / 古鮮冊譜 / 경인문화사

  22. [기타] 前間恭作 / 鮮冊名題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古0261-3-160

  23. [단행본] 천혜봉 / 1970 / 고서분류목록법 / 한국도서관협회

  24. [단행본] 최승희 / 1989 / 韓國古文書硏究 / 지식산업사

  25. [학술지] 봉성기 / 2006 /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구축에 관하여 / 古典籍 2

  26. [학술지] 봉성기 / 2007 /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KORCIS) 구축(2차)에 관하여 / 고전적 3

  27. [학술지] 봉성기 / 2008 /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KORCIS) 구축(3차)에 관하여 / 고전적 4

  28. [학술지] 신승운 / 2005 / 한국에서의 古典籍 정리사업 현황과 과제 / 민족문화 28

  29. [단행본] 신승운 / 1989 / 한국인문과학교육의 제문제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0. [보고서] 이동환 / 1997 / 漢籍의 총목 정리와 국역의 현황 및 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31. [학술지] 이혜은 / 2005 / 국내 고전적 보존 실태와 사례 / 고전적 1

  32. [학술지] 정구복 / 2003 / 한국 고문서의 특징 -명칭문제를 중심으로- / 古文書硏究 22 : 1 ~ 24

  33. [인터넷자료] 두피디아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34. [인터넷자료]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35. [인터넷자료] /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

  36. [인터넷자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