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新出字形의 접근방법과 판독유형

How to Recognize and Decipher Newly-Encountered Chinese Characters

민족문화
약어 : -
2015 vol.46, pp.285 - 314
DOI : 10.15752/itkc.46..201512.285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한국고전번역원
226 회 열람

본고는 고문헌을 접하는 연구자들이 신출자형을 판독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필자의 경험을 토대로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정리한 것이다. 신출자형의 판독을 위해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므로 연구자의 성향이나 전공에 따라 편리한 방법으로 접근하는 것이 유리하다. 2장에서는 신출자형의 접근방법을 ‘원전텍스트’, ‘유사내용’, ‘운서자료’ 세 가지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원전텍스트’에서는 13經과 諸子百家와 관련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1차적으로 원전텍스트를 검토하고, 전거를 찾기 어려운 경우 <고전DB> 등 각종 DB를 통해 유사내용을 확인하는 방법과 유사자형의 비교를 통해 검토하고, ‘운서자료’에서는 韻文에 해당하는 자료의 경우 韻字를 검토하여 해당 자형을 검증하는 방법 등을 소개하였다. 3장에서는 자형분석을 통해 판독한 유형을 ‘異體字’ ‘異形字’ ‘音借字’ ‘校勘’으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이중 유형이 많은 ‘異形字’는 새로운 구조, 簡化, 繁化, 異動, 類化, 對替, 追加 등으로 세분하였다. ‘誤字와 校勘’에서는 한국고전번역원의 <교감지침>을 참고하여 誤字로 간주하여 교감처리를 할 것인지, 이체자로 인정하여 바로 대체할 것인지가 애매한 유형들에 대해 검토하였다.

This paper is based on my experience of summarizing newly encountered characters into several types. I hope it will be of help to researchers. In reading old document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nd decide if certain Chinese characters are new to the reader or simply represent a variant form. In section two, I will discuss a three-point method to recognize difficult Chinese characters; the three points are their use in old texts, their similarity to other characters, and the contents of rhyming dictionaries (韻書). If a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text in question is related to the thirteen classics (十三經) or an early Chinese philosopher (諸子百家), he must first review the text and look to find the same text in the classics. If it is difficult to locate the text in question in the classics, the researcher should then search for similar content. This can be done by using a large database. The third method is using rhyming dictionaries. The researcher should look for the character’s rhyme and then search for the same or similarly shaped characters in the book. By using the way explained above, the researcher can make decisions about the new character shape and assign it to one of five categories: variant (異體字), various structural component (異形字), characters that are phonetic loans (音借字), wrong shape (誤字) and collation (校勘). Various structural components occur by reason of novelty, simplification, complication, movement, ellipsis, replacement of component, and addition. Also, the wrong shape and collation sections discusses how to review vague characters and divide them into either the category of having the wrong shape or one of various other forms of a character.

新出字形, 異體字, 異形字, 字形, 構件
Newly-encountered Chinese character, Variant, character that has different component, character form of shape, components

  • 1. [단행본] 姜彝天 / 2011 / 重菴稿 / 한국고전번역원
  • 2. [단행본] 顧南原 / 隸辨 /
  • 3. [단행본] 權宇 / 2005 / 松巢集 / 민족문화추진회
  • 4. [단행본] 金始鑌 / 2008 / 白南集 / 한국고전번역원
  • 5. [단행본] 金震聲 / 古代歷代撮要 / 한국학중앙연구원
  • 6. [단행본] 金興洛 / 2004 / 西山集 / 민족문화추진회
  • 7. [단행본] 李榘 / 2007 / 活齋集 / 민족문화추진회
  • 8. [단행본] 李奎報 / 1990 / 東國李相國集 / 민족문화추진회
  • 9. [단행본] 李森煥 / 2010 / 少眉山房藏 / 한국고전번역원
  • 10. [단행본] 李胤永 / 2009 / 丹陵遺稿 / 한국고전번역원
  • 11. [단행본] 李震白 / 2007 / 西巖遺稿 / 민족문화추진회
  • 12. [단행본] 李喆輔 / 2009 / 止庵遺稿 / 한국고전번역원
  • 13. [단행본] 林光澤 / 2009 / 雙柏堂遺稿 / 한국고전번역원
  • 14. [단행본] 朴汝樑 / 2005 / 感樹齋集 / 민족문화추진회
  • 15. [단행본] 裵相說 / 2010 / 槐潭遺稿 / 한국고전번역원
  • 16. [단행본] 邊斗建 / 1961 / 靑旅文集 / 한국국학진흥원
  • 17. [단행본] 徐文重 / 記聞 / 한국학중앙연구원
  • 18. [단행본] 徐有本 / 2010 / 左蘇山人集 / 한국고전번역원
  • 19. [단행본] 徐宗伋 / 2008 / 退軒遺稿 / 한국고전번역원
  • 20. [단행본] 申維翰 / 1997 / 靑泉集 / 민족문화추진회
  • 21. [단행본] 申正模 / 2008 / 二恥齋集 / 한국고전번역원
  • 22. [단행본] 申之悌 / 2006 / 梧峯集 / 민족문화추진회
  • 23. [단행본] 楊應秀 / 2009 / 白水集 / 한국고전번역원
  • 24. [단행본] 御營廳 / 御營廳謄錄 / 한국학중앙연구원
  • 25. [단행본] 尹光紹 / 1999 / 素谷遺稿 / 민족문화추진회
  • 26. [단행본] 尹宣擧 / 1993 / 魯西遺稿 / 민족문화추진회
  • 27. [단행본] 丁若鏞 / 2002 / 與猶堂全書 / 민족문화추진회
  • 28. [단행본] 正祖 / 1828 / 奎章全韻
  • 29. [단행본] 正祖 / 1978 / 同文彙考 / 국사편찬위원회
  • 30. [단행본] 趙尙絅 / 2008 / 鶴塘遺稿 / 한국고전번역원
  • 31. [단행본] 趙秀三 / 2001 / 秋齋集 / 민족문화추진회
  • 32. [단행본] 趙鎭寬 / 2010 / 柯汀遺稿 / 한국고전번역원
  • 33. [단행본] 崔守哲 / 2008 / 淸泠子遺稿 / 한국고전번역원
  • 34. [단행본] 沈義 / 1988 / 大觀齋亂稿 / 민족문화추진회
  • 35. [단행본] 編者未詳 / 國朝編年 / 한국학중앙연구원
  • 36. [단행본] 編者未詳 / 叢史 / 한국학중앙연구원
  • 37. [단행본] 行均 / 龍龕手鏡 / 서울대 규장각
  • 38. [단행본] 許穆 / 1992 / 記言 / 민족문화추진회
  • 39. [단행본] 憲宗 / 公車類覽 / 한국학중앙연구원
  • 40. [단행본] 洪良浩 / 2000 / 耳溪集 / 민족문화추진회
  • 41. [단행본] 洪直弼 / 2002 / 梅山集 / 민족문화추진회
  • 42. [단행본] 劉復 / 1973 / 宋元以來俗字譜 / 아세아문화사
  • 43. [단행본] 諸橋轍次 / 1984 / 大漢和辭典 / 大修館書店
  • 44. [학위논문] 조성덕 / 2015 / 한국 문집 소재 異體字 연구
  • 45. [인터넷자료] / 한국고전번역원
  • 46. [인터넷자료] / 한국고전번역원
  • 47. [인터넷자료] / 유니코드한자 검색시스템
  • 48. [인터넷자료] / 臺灣 敎育部
  • 49. [인터넷자료] / 台灣常見植物資料庫
  • 50. [인터넷자료] / 「漢典」의 「异体字」정보
  • 51. [인터넷자료]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
  • 52. [인터넷자료] / 漢字字体規範史
  • 53. [단행본] / 2012 / 한국문집총간 교감지침 / 한국고전번역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