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한국문집에 나타난 이체자의 자형을『한국문집총간』에서 추출하여 ‘構件의 변화’라는 틀 안에서 세부 항목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해당하는 용례를 정리하여 자형 변화가 생기게 된 원인과 변화된 자형이 나타나는 글자들을 검토하였다. 특히 변화의 양상이 다양한 人, 口, 大, 火의 4건 자형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는 漢字 構件을 유형별로 정리하고 용례를 열거한 후 해당 자형의 변화를 간략히 설명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글자의 범위는 폰트가 있더라도 정자를 제외한 글자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출전을 병기하였다. 분류 항목은 漢字 자형의 변화로 볼 때 연관이 있다고 생각하는 構件을 유별로 정리한 것이다. 따라서 서로 연관이 없어 보이는 構件이 동일한 항목에 포함된 경우가 있다. 또한 構件에 해당하지 않지만 구분이 필요한 경우에도 構件과 동일하게 분류항목을 설정하여 정리하였다. 현재는 여건상 일부의 검토에 그쳤으나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하면 문집에 사용된 이체자의 유형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한다.

키워드

漢字, 異體字, 構件, 正字, 俗字, 板本, 寫本, 韓國文集叢刊

참고문헌(39)open

  1. [기타] / [한국문집총간] 001∼002東國李相國集, 003拙藁千百, 003及菴詩集, 007陽村集, 009太虛亭集, 010保閑齋集, 010四佳集, 013梅月堂集, 014虛白堂集, 015蓮軒雜稿, 015㵢谿集, 036嘯皐集, 037錦溪集, 040高峯集, 041雪月堂集, 050孤竹遺稿, 051四留齋集, 058荷谷集, 059久菴遺稿, 068愚伏集, 086月塘集, 101家州集, 191頭陀草, 209冠陽集, 212歸鹿集, 222九思堂集, 242∼244弘齋全書, 260下廬集, 261明臯全集, 261貞㽔閣集, 268屐園遺稿, 269後溪集, 270而已广集, 270惕齋集, 271秋齋集, 272金陵集, 273∼279硏經齋全書, , 289藫庭遺藁, 299果齋集, 315∼316嘉梧藁略, 316圭齋遺藁, 317寒洲集, 319重菴集, 327后山集, 328舫山集, 330淵齋集, 333艮齋集, 347李海鶴遺書, b019忘訛集

  2. [단행본] 국립국어연구원 / 2002 / 한국 한자 이체자 조사

  3. [단행본] 金榮華 / 1986 / 『韓國俗字譜』自序 / 亞細亞文化社

  4. [단행본] 張涌泉 / 1999 / 俗字里的學问 / 语文出版社

  5. [단행본] 伏見沖敬 / 1998 / 書藝大字典 / 이호문화출판사

  6. [학술지] 신승운 / 2001 / 유교사회의 출판문화 -특히 조선시대의 문집 편찬과 간행을 중심으로 / 대동문화연구 39

  7. [학술지] 조성덕 / 2008 / 한국문집의 이체자 자형연구(1) / 동방한문학 (36) : 325 ~ 359

  8. [학술지] 康惠根 / 2001 / 異體字란 무엇인가? / 中國學論叢 11

  9. [학술지] 구석규 / 1994 / 漢字文化圈 漢字異體字에 대한 考察 / 語文硏究 22

  10. [학술지] 김시연 / 2000 / 異體字의 定義ㆍ分類 및 考釋方法에 관하여 / 중국어문학논집 15

  11. [학술지] 김애영 / 2008 / 英國圖書館藏本 『六祖壇經』 異體字 硏究 / 중국어문학논집 (53) : 7 ~ 24

  12. [학술지] 金愛英 / 2002 / 特殊異體字 硏究 / 중국어문학지 12 : 19 ~ 446

  13. [학술지] 金愛英 / 2003 / 한국 소재 이체자의 생성원인 연구 -고려 이전 시기를 중심으로- / 중국어문학논집 23 : 23 ~ 42

  14. [학술지] 박석홍 / 2004 / 曾侯乙鐘 銘文 異體字 考察 / 중국문학연구 (28) : 117 ~ 138

  15. [학술지] 윤창준 / 2006 / 形符增加異體字 分析을 통한 形符의 役割 考察 - 說文解字 或體를 對象으로 - / 중국학연구 (35) : 119 ~ 141

  16. [학술지] 이건상 / 1998 / 송ケ강문고장 (松ケ岡文庫藏) 『무문관초 (無門關抄)』의 이체자 (異體字) 요소에 대하여 / 日本學報 40

  17. [학술지] 이건상 / 1999 / 『정훈왕래』에 나타나는 이체자(異體字) 유형과 성격 / 日本學報 43

  18. [학술지] 이건상 / 1999 / 『訓蒙字會』에 나타나는 異體字의 類型과 性格 / 日本硏究 14

  19. [학술지] 이경숙 / 2005 / 初雕大藏經의 異體字 類型 考察 / 중국어문학논집 (34) : 7 ~ 25

  20. [학술지] 이경숙 / 2009 / 漢字構形要素로 본 敦煌寫本의 異體字 類型과 淵源, 그리고 그 特徵* -敦煌 스타인본 妙法蓮華經를 중심으로- / 漢文學報 20 : 545 ~ 573

  21. [학술지] 이경원 / 2001 / 王仁구 『刊謬補缺切韻』에 수록된 이체자 연구 / 중국어문학논집 17

  22. [학술지] 이경원 / 2003 / 원본, 송본 『옥편』 언부 이체자의 내원 및 등급 속성의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 -『옥편』 두 판본의 특징, 가치, 교감의 득실을 겸하여 논함- / 중국언어연구 16

  23. [학술지] 이경원 / 1998 / 정자와 이체자에 대한 고찰 / 中語中文學 23

  24. [학술지] 이경원 / 2005 / 중국 역대 字書에 나타난 異體字 等級의 屬性에 대한 연구 -漢代 說文에서 淸代 康熙字典까지- / 중국언어연구 (21) : 391 ~ 420

  25. [학술지] 이경원 / 1998 / 漢字異體字表의 編纂體例 試探 / 중국어문학논집 10

  26. [학술지] 이규갑 / 1994 / 形聲異體字의 樣相考 / 중국어문학논집 6

  27. [학술지] 이규갑 / 2001 / 『高麗大藏經』과 『新修大藏經』의 字形 比較 / 중국어문학논집 17

  28. [학술지] 이규갑 / 1995 / 『高麗大藏經』의 異體字 硏究 / 중국어문학논집 7

  29. [학술지] 이규갑 / 1996 / 『三國史記』의 異體字 硏究 / 중국어문학논집 8

  30. [학술지] 이규갑 / 1999 / 『高麗大藏經』의 異體字 整理方案 / 중국어문학논집 11

  31. [학술지] 이규갑 / 2004 / 중국 소재 이체자의 생성원인 연구 / 중국어문학논집 (27) : 49 ~ 73

  32. [학술지] 이승재 / 2003 / 異體字로 본 高麗本 楞嚴經의 系統 / 구결연구 (11) : 153 ~ 188

  33. [학술지] 정연실 / 2009 / 敦煌本과 再雕本 『阿毗達磨大毘婆沙論』의 異體字 / 중국언어연구 (29) : 259 ~ 279

  34. [학술지] 정연실 / 2007 / 伍倫全備諺解 異體字의 유형 분석 / 중국학연구 (40) : 33 ~ 68

  35. [학술지] 정우봉 / 2009 / 유니코드 한자 정보 및 異體字 사전의 편찬과 그 의미 / 동양학 (46) : 349 ~ 366

  36. [학술지] 조성덕 / 2008 / 한국문집의 이체자 자형연구(1) / 동방한문학 (36) : 325 ~ 359

  37. [학술지] 최남규 / 2008 / ≪上博≫ ≪郭店≫ 楚簡 <緇衣篇> 逐字 비교를 통한 異體字 중 異構字 연구 / 중국학보 (58) : 15 ~ 33

  38. [학술지] 河永三 / 1990 / 漢代 石刻文字의 異體字 硏究 / 中國人文科學 9

  39. [학술지] 허철 / 2008 / 異體字 整理의 現況과 展望(1) - 異體字의 基本 槪念과 近現代 字表 整理의 比較를 중심으로 / 漢字漢文敎育 1 (20) : 345 ~ 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