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프로젝터를 통한 다채널 영상 설치 작품인 송상희의 <다시 살아나거라 아가야>와 더불어, 그림과 영상을 독특한 방식으로 사용함으로써 매체미학적으로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는 써니킴의 <풍경>을 예로, 로절린드 크라우스가 논하는 ‘매체의 재창안’이 동시대 미술관에서 전시되는 영상 작품의 경우 어떻게 시도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송상희의 <다시 살아나거라 아가야>는 나란히 설치된 세 개의 스크린에 세 개의 프로젝터-채널을 통한 각각의 영상이 16분 동안 동시에 전시되는 다채널 영상 설치 작품이다. 또한, 써니킴의 <풍경>은 꿈 이미지를 그린 회화를 촬영한 영상을 다시 회화설치물 위에 영사함으로써 복합매체 영상을 전시하는 작품이다. 이 두 작품은 크라우스적 관점에서 “매체의 재창안”을 실행한다고 볼 수 있을까? 로절린드 크라우스는 낡고 쇠퇴한 것이 비로소 자본주의적 실용적 가치의 굴레에서 벗어나 본연의 미적 가치를 발한다는 발터 벤야민의 논지에 기대, 낡고 쇠퇴한 매체에서 본연의 예술적 가치를 발견하는 관습들을 통해 매체를 다시 창안해 내는 예술적 시도들을 논한다. 전자 모니터 개인 기기 및 스트리밍 등을 통한 영화관람이 일상화된 현재, 영화관의 스크린에 영사되는 이미지로서의 ‘영화’매체는 어느새 낡은 매체가 되어가고 있다. 이때 미술관에서의 영사기를 통한 영상 설치 작품들은 영화 매체에 어떤 작용을 한다고 할 수 있을까? 송상희의 <다시 살아나거라 아가야>는 여러 스크린-공간에 이미지를 분리하여 연관시키며 영상 매체의 작동방식을 해체 및 재조립하고, 이미지 간의 연대로서의 몽타주를 고찰한다. 써니킴의 <풍경>은 회화와 영상이라는 두 서로 다른 매체를 중첩, 비교시키며 영상이 그림으로부터 구별되며 생겨나기 시작하는 순간의 양상을 되짚어 상상하게 한다. <다시 살아나거라 아가야>가 영화 만들기 작업의 중간 단계(편집 과정)로 영화 매체를 되돌려 보인다면, <풍경>은 영상 매체의 발생을 탐구하고 매체의 근원을 그려가며 탐색한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매체의 재창안, 로절린드 크라우스, 영상설치/영화, 송상희, 써니킴

참고문헌(21)open

  1. [단행본] 김장언 / 2012 / 미술과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 현실문화연구

  2. [단행본] 로절린드 크라우스 / 2017 / 북해에서의 항해. 포스트-매체 조건 시대의 미술 / 현실문화A

  3. [단행본] 발터 벤야민 / 2008 / 발터 벤야민선집 5. 역사의 개념에 대하여/폭력비판을 위하여/초현실주의 외 / 도서출판 길

  4. [단행본] 발터 벤야민 / 2008 / 발터 벤야민 선집 5 / 도서출판 길

  5. [단행본] 발터 벤야민 / 2007 / 발터 벤야민 선집 1. 일방통행로/사유이미지 / 도서출판 길

  6. [기타] / 2017 / ≪올해의 작가상 2017≫ 브로슈어 / 국립현대미술관(mmca)

  7. [단행본] 히토 슈타이얼 / 2018 / 스크린의 추방자들 / 워크룸 프레스

  8. [단행본] Alter, Nora M. / 2018 / The Essay Film After Fact and Fiction / Columbia University Press

  9. [단행본] Benjamin, Walter / 1977 / Gesammelte Schriften. Bd. II/1 / Suhrkamp : 295 ~ 310

  10. [단행본] Krauss, Rosalind / 1999 / A Voyage on the North Sea: Art in the Age of the Post-Medium Condition / Thames & Hudson

  11. [단행본] Krauss, Rosalind / 2011 / Under Blue Cup / The MIT Press

  12. [단행본] Manovich, Lev / 2001 / The Language of New Media / MIT Press

  13. [단행본] Bolter, Jay David / 2000 /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 MIT Press

  14. [단행본] Steyerl, Hito / 2012 / The Wretched of the Screen / Sternberg Press

  15. [학술지] 김지훈 / 2016 / 매체를 넘어선 매체: 로잘린드 크라우스의 ‘포스트-매체’ 담론 / 美學(미학) 82 (1) : 73 ~ 115

  16. [학술지] 김태진 / 2008 / 다채널 비디오 설치의 감상이 제시하는 영상의 수사법 – 아이잭 줄리안의 다화면 설치를 중심으로 /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62 (3)

  17. [학술지] 서현석 / 2011 / 하룬 파로키의 <딥 플레이>와 영화적 장치의 새로운 정치학 / 영상예술연구 (19) : 287 ~ 310

  18. [학술지] 안소현 / 2018 / 송상희 : 신화에 저항하는 노골(露骨)의 서정 / 현대미술학 논문집 22 (1) : 87 ~ 105

  19. [학술지] Elsaesser, Thomas / 2018 / The Loop of Belatedness: Cinema After Film in the Contemporary Art Gallery / Senses of Cinema (86)

  20. [학술지] Iversen, Margaret / 2013 / The Medium is the Memory / Art History 36 (2) : 457 ~ 460

  21. [학술지] Krauss, Rosalind E. / 1999 / Reinventing the Medium / Critical Inquiry 25 (2) : 289 ~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