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1970년대 한국사회의 학생문화에는 50, 60년대와는 다른 새로운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다양한 분야에서 성과 이성교제 등 이전까지 얘기되지 않았던 내용들이 전면에 등장하였다. 그렇지만 대중문화에서 나타나는 학생문화는 1970년대의 사회적 분위기를 완전히 벗어나 자유분방한 학생을 그려내고자 하는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1970년대의 복합적인 성격을 가진 학생문화와 대중문화 속 학생이미지를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1970년대 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먼저 1950년대부터 시작된 학생문화가 60년대를 지나 70년대에 이르러 어떤 변화과정을 거쳤는지를 확인한다. 이어서 1970년대의 대중문화 가운데 학생잡지와 하이틴영화 등을 통해 남학생과 여학생이 각각 어떠한 이미지로 표현되었으며, 그렇게 표현되는 요인을 살펴본다. 남학생의 경우 문제아, 모범생의 이분법적인 이미지가 주로 나타난다. 문제아는 결국 주변의 도움을 통해 교화, 재평가를 받으면서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대상이 된다. 모범생은 이러한 문제아를 포기하지 않고 도와주는 조력자의 역할을 하면서, 남학생의 이미지를 사회가 요구하는 지배적 가치를 받아들이는 인물로 형상화한다. 여학생의 경우 순수, 순결을 강조하는 동시에, 이성교제를 비롯한 성적 매력을 강조하는 대조적인 모습을 동시에 보이고 있다. 이는 실제 현실에서 여학생에게 요구한 최선의 이미지가 ‘어머니’였기 때문이다. 현모양처를 비롯한 60년대 후반 정숙한 어머니의 이미지가 10대 여학생에게 요구되었는데, 순결의 이미지는 좋은 가정을 위한 ‘어머니’를 위한 가장 좋은 이미지이며, 성적 매력의 강조는 이성교제를 통해 결혼으로 이어지면서 자연스럽게 ‘어머니’가 되는 과정에 필요한 것이다.

키워드

학생문화, 대중문화, 학생잡지, 하이틴영화, 학생 이미지

참고문헌(25)open

  1. [단행본] 권보드래 / 2015 / 1970 박정희 모더니즘 / 천년의 상상

  2. [단행본] 김영주 / 2006 / 한국의 청년 대중 음악문화 / 한국학술정보

  3. [단행본] 이영일 / 2004 / 한국영화전사 / 소도

  4. [단행본] 이효인 / 2004 / 한국영화사공부(1960~1979) / 한국영상자료원

  5. [학술지] 권오헌 / 2016 / 유신체제의 신사임당 기념과 현모양처 만들기 / Journal of korean Culture 35 : 61 ~ 91

  6. [학술지] 권은선 / 2013 / 유신정권기의 생체정치와 젠더화된 주체 만들기 -호스티스 멜로드라마와 하이틴 영화를 중심으로- / 여성문학연구 (29) : 417 ~ 444

  7. [학술지] 김은경 / 2007 / 1950년대 여학교 교육을 통해 본 ‘현모양처’론의 특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 (4) : 137 ~ 151

  8. [학술지] 나윤경 / 2008 / 60~70년대 개발국가 시대의 학생잡지를 통해서 본 10대 여학생 주체형성과 관련한 담론분석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6) : 323 ~ 374

  9. [학술지] 노지승 / 2007 / 대학생과 건달, 김승옥 소설과 청춘 영화에 나타난 1960년대 청년 표상 / 한국현대문학연구 (22) : 387 ~ 443

  10. [학술지] 박민정 / 2002 / 70년대 하이틴영화, 좌절된 전복의 가능성 / 씨네포럼 (5)

  11. [학위논문] 박민정 / 2003 / 1970년대 하이틴 영화에 대한 장르적 접근과 대중성 연구

  12. [학술지] 박유희 / 2012 / 박정희 정권기 영화 검열과 감성 재현의 역학 / 역사비평 (99) : 42 ~ 90

  13. [학술지] 안미영 / 2014 / 1970년대 소녀 판타지의 한 기원- 구혜영의 『불타는 신록』(1973)을 중심으로 - / 여성문학연구 (31) : 149 ~ 185

  14. [학위논문] 엄준석 / 2013 / 1970년대 한국 하이틴 영화 연구 : '진짜 진짜' 시리즈를 중심으로

  15. [학위논문] 유인호 / 2016 / 1970년대 하이틴영화에서의 청소년 주체구성에 관한 연구

  16. [학술지] 홍양희 / 2016 / ‘현모양처’의 상징, 신사임당: 식민지시기 신사임당의 재현과 젠더 정치학 / 사학연구 (122) : 155 ~ 190

  17. [기타] 중앙대학교 여학생회 / 1971 / 녹지 5호

  18. [단행본] / 1965 / 여학생 / 여학생사

  19. [단행본] / 1961 / 학원 / 학원사

  20. [기타] / 1975 / 여고졸업반

  21. [기타] / 1976 / 고고얄개

  22. [기타] / 1976 / 진짜진짜 잊지마

  23. [기타] / 1976 / 진짜진짜 미안해

  24. [기타] / 1977 / 진짜진짜 좋아해

  25. [기타] 국사편찬위원회 / 2015 / 1950년대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육 경험과 문화 / 2015년 구술자료수집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