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니코마코스 윤리학』 7권에 등장하는 아크라시아(akrasia: 자제력 없음) 문제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는 상반된 결론을 함축하는 듯 보인다. 그는 더 좋은 것을 알면서 행하지 않는 아크라시아적 행위에 대해 감정이나 욕구에 압도된 결과로 보는 일반적 견해를 인정하지만, 논의 후에는 이 행위의 원인이 무지, 곧 앎의 결핍에 있다는 결론으로 귀결하는 듯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러한 이중적 입장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아크라시아 논의 내에서 어떠한 구조로 공존하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 목표는 아크라테스가 아크라시아적 행위를 할 때 생기는 심리적 과정을 재구성하고, 어떤 단계에서 아크라시아 문제가 생기는지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 안에서 추적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우선 겉보기에 압도적 감정이 자제력 없는 행위의 원인인 듯 보이는 상황은 실상 감정에 대한 태도를 결정하는 행위자 품성상태의 이상이 있어 비롯됨을 보일 것이다. 나아가 욕망이 행위에 미치는 대한 영향을 고찰하여, 결과적으로 자제력 없는 사람들은 개별 욕망 대상의 참된 좋음과 외견 상의좋음을 구별하지 못하는 무지 때문에 아크라시아적 행위를 하게 됨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고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생각한 아크라시아적 행위의 원인은 비정상적 품성상태와 무지이며, 아크라시아를 고치는 방법은 참된 앎의 획득에 있음을 논할 것이다.

It seems that Aristotle’s discussion about akrasia(weakness of will) in Nicomachean Ethics VII admits not only Socratic intellectualism endorsing the impossibility of akrasia, but also a common belief that akrasia is caused by overwhelming passions. In this essay, I attempt to argue that Aristotle’s seemingly ambiguous standpoints regarding akrasia are held without conflict, by clarifying the underlying structural linkage between them. For this aim, I reconfigure the psychological process in the soul of a weak-willed person to point out the akratic break that Aristotle has in his mind. First, I show that akrasia’s apparent cause of passions’ overwhelming influences over agents is in fact ascribed to their abnormal dispositions and character traits. Next, I argue that akrates do akratic actions because of their ignorance in distinguishing the genuine good and the apparent good of the particular object that they desire. Consequently, I argue that people’s akrasia, derived from their abnormal dispositions and ignorance, is to be cured only with their obtaining genuine knowledge.

목차

요약문
Ⅰ. 들어가며
Ⅱ. 자제력 없는 행위의 원인들: 무지와 감정
Ⅲ. 감정과 아크라시아적 행위
Ⅳ. 비이성적 욕구와 아크라시아적 행위
Ⅴ. 이성적 소망과 앎의 결핍
Ⅵ. 아크라시아의 두 원인: 앎의 결핍과 품성상태
Ⅶ.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