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노년층의 문법판단 및 오류수정능력

Grammaticality Judgment and Error Correction Abilities in Normal Elderly

언어치료연구
약어 : JSLHD
2016 vol.25, no.3, pp.1 - 14
DOI : 10.15724/jslhd.2016.25.3.001
발행기관 : 한국언어치료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언어치료학회
124 회 열람

목적: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언어능력을 구성하는 구문, 의미, 음운, 화용 능력 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 중에서 구문능력은 문장 구조를 분석하여 문장 내에서 어휘가 담당하는 역할을 파악하고, 청자에게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형식을 갖추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문법 지식은 구문능력이 바탕이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노년층을 대상으로 문법지식을 활용하여 구문을 판단하는 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노화에 따른 구문능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상 노인 40명과 청년 40명을 대상으로 제시되는 문장을 읽고 그 문장이 문법적으로 옳은지를 판단하는 문법판단과제와 오류가 있는 경우 직접 수정해보도록 하는 오류수정과제를 실시하여, 집단 간 정반응점수, 반응시간과 수정유형, 문법형태소 오류의 차이를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문법판단과제에서 노년층이 청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정반응 점수와 지연된 반응속도를 보였다. 둘째, 틀린 곳을 스스로 찾아 수정하는 과제에서도 노년층은 유의하게 낮은 정반응 점수를 보였으며, 문법적인 수정과 더불어 의미적으로 수정을 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문장에서 틀리지 않은곳을 수정하는 양상도 빈번히 관찰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노화에 따른 전두엽 기능 감퇴에 기인한 것일수 있다. 전두엽 기능은 상위언어처리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변화로 인하여 노년층이 청년층에비하여 문법판단능력과 구문의 오류수정능력이 저하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노년층이 구문적 처리를 할때 내용이나 사실적 가치 여부에 기초하여 의미적으로 판단하는 양상을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urpose: For good communication, one's linguistic abilities should be supported by syntactic, semantic, phonological and pragmatic skills. Among these, syntactic ability is essential because it both helps to understand which part each word belongs to in a sentence and because it builds the form of a message. Thu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grammaticality judgment ability using knowledge of grammar to check the syntactic ability of the elderl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young people and 40 older peopl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ir ability in a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an error correction task, the correct response score, error correction type, and error of sub-types of grammatical morphemes. Results: First, in the grammaticality judgment task, the elderly showed significantly lower correct response scores and more delayed response rates than the young. Second, in the task of finding and revising a mistake themselves, the elderly earned significantly lower correct response scores, and as for the error correction type, the elderly had significantly more errors in grammatical and semantic revision. The elderly frequently revised even correct sentences. Conclusions: Due to the change of meta-linguistic processing ability, including deterioration in the frontal lobes, the elderly showed both grammatically judgment and error correction ability lower than the young. In addition, when they process syntax, we saw that they judge semantically based on whether there is content value.

문법판단능력, 오류수정능력, 노년층, 반응시간
Grammaticality judgment ability, error correction ability, normal elderly, reaction time

  • 1. [단행본] Bock, J. K / 2002 / Psycholinguistics: Critical concepts in psychology Vol. 5 / Routledge : 405 ~
  • 2. [학술지] Bowey, J. A / 1988 / Metalinguistic ability and early reading achievement / Applied Psycholinguistics / 9 (4) : 367 ~ 4
  • 3. [단행본] Burke, D. M / 2000 / Models of cognitive aging / Oxford University Press : 204 ~
  • 4. [학술지] Burke, D. M / 2004 / Aging and language production /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 13 (1) : 21 ~ 1
  • 5. [학술지] 최현주 / 2014 / 고령자의 개인 요인 및 표현언어 능력과 정보전달 능력의 상관 / 언어치료연구 / 23 (3) : 51 ~ 3 kci
  • 6. [학술지] Christensen, K. J / 1991 / A cognitive battery for dementia : Development and measurement characteristics / Psychological Assessment : A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 3 (2) : 168 ~ 2
  • 7. [단행본] Crossman, E. R. F. W / 1956 / Experimentia Supplementum, IV. Symposium on Experimental Gerontology / Birkhauser : 128 ~
  • 8. [학술지] Fowler, A. E / 1988 / Grammaticality judgments and reading skill in grade 2 / Annals of Dyslexia / 38 (1) : 73 ~ 1
  • 9. [단행본] 하길종 / 2001 / 언어습득과 발달 / 국학자료원
  • 10. [단행본] Hakes, D. T / 1980 / The development of metalinguistic abilities in children / Springer-Verlag
  • 11. [학술지] Haug, H / 1991 / Morphometry of the human cortex cerebri and corpus striatum during aging / Neurobiology of Aging / 12 (4) : 336 ~ 4
  • 12. [학위논문] 황혜진 / 2014 / 정상 노화과정에서의 작업기억 능력과 문장이해력
  • 13. [학술지] 황민아 / 2007 / 5~7세 아동과 성인의 문법성판단: 조사 오류를 중심으로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2 (2) : 139 ~ 2 kci
  • 14. [학위논문] 황미진 / 2008 /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문법성판단 및 오류수정 : 조사를 중심으로
  • 15. [단행본] 조명한 / 1982 / 한국 아동의 언어 획득 연구: 책략모형 / 서울대학교출판부
  • 16. [학술지] 정경희 / 2010 / 초등 저학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문법형태소 판단 능력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5 (4) : 619 ~ 4 kci
  • 17. [학위논문] 강안영 / 2009 / 성인 초기, 중기 및 노년기의 복문 사용 평가
  • 18. [단행본] 강범모 / 2009 / 한국어 사용 빈도 / 한국문화사
  • 19. [학술지] 강수균 / 2001 / 노인성 질환에 대한 언어 재활 프로그램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40 (1) : 1 ~ 1
  • 20. [단행본] 강연욱 / 1997 / 한국형 간이정신상태 검사 / 휴브알앤씨
  • 21. [학술지] Kemper, S / 1997 / Metalinguistic judgments in normal aging and Alzheimer's disease /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 52B (3) : 147 ~ 3
  • 22. [학술지] Kemper, S / 2003 / Age differences in sentence production / The Journals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 58 (5) : 260 ~ 5
  • 23. [학술지] Kemper, S / 2001 / Longitudinal change in language production: Effects of aging and dementia on grammatical complexity and propositional content / Psychology and Aging / 16 (4) : 600
  • 24. [학술지] Kemper, R. L / 1993 / Metalinguistic awareness in first graders: A qualitative perspective / Journal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 22 (1) : 41 ~ 1
  • 25. [학술지] 김은정 / 2011 /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 아동의 문법성 판단 및 오류수정 비교 연구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50 (2) : 131 ~ 2 kci
  • 26. [단행본] 김향희 / 2009 / 실어증-신경언 어장애 선별검사 / 학지사
  • 27. [학술지] 김미배 / 2014 / 의미, 문법 영역에서 상위언어능력에 대한 국내 문헌연구 / 언어치료연구 / 23 (3) : 61 ~ 3 kci
  • 28. [학위논문] 김명희 / 2003 / 5-7세 아동의 문법성 판단능력: 조사를 중심으로
  • 29. [학위논문] 이수정 / 2014 /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문법성 판단 능력과 격조사 산출 간의 상관관계
  • 30. [학위논문] 이수영 / 2008 /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문법오류판단
  • 31. [학술지] 임종아 / 2006 / 경계선지능 언어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문법성 판단 및 오류수정 / 음성과학 / 13 (2) : 59 ~ 2 kci
  • 32. [학위논문] 임선영 / 2010 / 초등학생들의 문법오류판단능력 발달
  • 33. [학위논문] 문혜성 / 2001 / 한국 노인의 문식성(literacy)과 인지기능
  • 34. [단행본] 남기심 / 2014 / 표준 국어 문법론 / 박이정
  • 35. [학술지] 배소영 / 2006 / 한국어 발달특성과 학령전기 문법형태소 / 한국어학 / 31 : 31 ~ kci
  • 36. [학술지] 박순혁 / 2015 / 인지노화와 언어: 심리언어학 접근 / 현대문법연구 (83) : 25 ~ 83 kci
  • 37. [학술지] 박태진 / 2004 / 노인의 인지신경기전 /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16 (3) : 317 ~ 3 kci
  • 38. [단행본] Paul, R / 2012 / Language disorders from infancy through adolescence: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communicating / Elsevier
  • 39. [단행본] Pye, C / 1993 / Island constraints: Theory, acquisition, and processing / Reidel : 351 ~
  • 40. [단행본] Tunmer, W. E / 1984 / Metalinguistic awareness in children: Theory, research, and implications / Springer Berlin Heidelberg : 144 ~
  • 41. [단행본] Van Kleeck, A / 1984 /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in school-age children / Williams and Wilkins : 128 ~
  • 42. [학술지] Willows, D. M / 1981 / Differential utilization of syntactic and semantic information by skilled and less skilled readers in the intermediate grades /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 73 (5) : 607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