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226.26
18.118.226.26
close menu
KCI 등재
화상회의 앱에 기반한 ‘분산형’ 언택트 연극의 가능성 -고려대학교의 공연제작워크숍 수업(2020) 사례를 중심으로-
The possibility of creating ‘dispersion type’ untact play based on video conference app -Focusing on the case of Korea University's Performance Production Workshop class(2020) -
임준서 ( Lim¸ Joon-seo )
우리어문연구 71권 299-333(35pages)
DOI 10.15711/WR.71.0.9
UCI I410-ECN-0102-2022-700-000754577

이 연구는 창작에서 공연에 이르기까지 연극의 제작 과정 일체를 대면 접촉 없이 화상회의 앱만을 이용해 온라인 네트워크 상에서 진행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언택트 공연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그 실현 조건을 점검하기 위한 차원에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언택트 연극의 개념과 조건을 살펴본 후 그 표준 모델을 ‘분산형’으로 규정하고,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사례는 2020년 1학기 고려대학교에서 이루어진 ‘공연제작워크숍’ 수업의 결과물로, 분산형 언택트 공연을 시도한 희귀한 실험이라는 점에서 표본으로 채택되었다. 수업 사례에서 활용된 화상회의 앱은 ‘블랙보드 콜라보레이트’로, 여타 화상회의 앱과 호환 가능한 범용 앱의 일종이다. 이상의 설계에 입각해 본론에서는 해당 수업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분산형 언택트 연극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창작, 연습, 공연의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논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창작 단계에서는 화상회의 앱의 콘텐츠 공유 기능과 소회의실 기능을 통해 아이디어 공모전과 집단창작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으며, 연습 단계에서는 화상회의 앱의 화면보기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으로 전체 훈련과 개인 지도를 병행할 수 있었다. 공연 단계에서는 화상회의 앱의 화면을 발표자 보기 모드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팔로우 기능을 활용하여 자연스러운 대화 장면을 연출하였으며, 만화 컷을 삽입하는 등 창의적 연출도 선보였다. 수업 사례에 비추어볼 때 결론적으로 분산형 언택트 연극은 화상회의 앱을 이용해서 기술적으로 충분히 구현할 수 있으며, 오히려 효율성과 편익의 측면에서 오프라인 공연을 능가하는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분산형 언텍트 연극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온라인 환경에 어울리는 소재 및 연기술, 연출 전략 개발이 필요하며, 관객과의 소통 창구 및 화상회의 앱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 마련이 선결되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find ways to conduct the entire production process of the play over an online network without face-to-face contact, from creation to performance. As the need for an untact performance emerged in the wake of the corona virus, it was designed to check the realization conditions.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examined the concepts and conditions of the untact play and defined its standard model as 'dispersion type' and intend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rough specific case analysis. The analysis target was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Production Workshop’ class held at Korea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which was adopted as a sample in that it was a rare experiment that attempted a decentralized untact performance. The video conference app used in class cases was 'Blackboard Collaborate', a type of general-purpose app compatible with other video conference apps. The main topic focused on the case of operating the class, and examined how distributed untact plays are possible in three stages: creation, practice, and performance. In the creative stage, the content sharing function of the video conference app and the small meeting room function were able to efficiently conduct idea contests and group writing, and in the practice stage, the entire training and personal guidance were possible by changing the screen view mode of the video conference app. During the performance stage, the screen of the video conference app was fixed in the speaker view mode, and the follow function was used to create a natural conversation scene, and creative production such as inserting cartoon cuts was also shown. In light of the above class cases, in conclusion, distributed untact plays can be technically fully implemented using videoconferencing apps, rather having the potential to outperform offline performances in terms of efficiency and benefits. However, in order for distributed untact plays to be activat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ories, acting skills, and direction strategies suitable for the online environment, and to prepare a network environment that can stably operate communication channels and video conference apps with audiences.

1. 서론
2. 분산형 언택트 연극의 단계별 제작 원리와 사례
3. 결론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