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FULL TEXT XML

외국의 상병수당제도에 관한 비교 연구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Sickness Benefit Programs

보건사회연구
약어 : -
2021 vol.41, no.1, pp.61 - 80
DOI : 10.15709/hswr.2021.41.1.61
발행기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분야 : 사회과학일반
Copyright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15 회 열람

국제기구의 권고에 따라 많은 국가들이 상병수당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여전히 도입하지 않고 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최근 상병수당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진일보한 근거기반 논의를 위해 우리나라보다 앞서 상병수당제도를 도입・시행하고 있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상병수당제도의 유형과 내용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광범위한 국제비교를 통해 우리나라에 적합한 제도유형을 탐색하고자 ISSA 및 OECD 회원국 전체의 의료보장 및 상병수당 제도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 결과, 의료보장제도의 사회보장유형에 관계없이 상병수당제도는 대부분 사회보험방식을 채택하고 있었으며, 건강보험 운영주체가 건강보험료의 일부 혹은 별도의 상병수당보험료로 상병수당을 운영하는 국가가 가장 많았다. 보험료로 상병수당을 운영한다고 하더라도 ILO 기준에 따라 상병수당지출의 50% 이상을 정부와 고용주가 부담하고 있었다. 또한 대상자는 대부분의 국가가 직장과 지역을 포함한 모든 근로자를 대상으로 운영하되, 직장근로자의 경우 법정유급휴가를 우선 적용하고 있었다. 상병수당제도의 보장기간은 국가별로 다양했으나 장애연금 수급 전 최대 180일 또는 360일 보장이 가장 많았으며, 보장수준은 소득의 50%~70% 수준의 ILO 권고기준을 준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상병수당제도 도입논의 과정에서 대상자 규모 및 보장수준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accordance with the recommendatio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ost ISSA member countries have put in placesickness benefit programs, with Korea being an exception. The need for sickness benefits has grown since the eruption of the COVID-19 pandemic. This study compared health insurance systems and sickness benefit programs in all ISSA and OECD member countries, with a view to proposing a sickness benefit model suitable for Korea.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ir health insurance, most countries have in place sickness benefits that are provided through a contributory social insurance scheme—either a health insurance scheme or a separate sickness insurance program. Even in the case of a contributory sickness benefit scheme, the government and the employer are expected to pay, in accordance with ILO standards, more than 50% of benefit expenditures. In addition, most of the sickness benefit schemes cover all workers including the self-employed, while in paid sick leave programs in most countries, the priority is given to employees. Although the period of the sickness benefit varied across countries, the maximum period was 180 days or 360 days before receiving the pension, and the level of coverage was based on the ILO recommendation (50% to 70% of income).

코로나19, 상병수당, 사회보험
COVID-19, Sickness Benefit, Social Insurance, ISSA, OECD, ILO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제공받은 원문입니다.

  • 1. [보고서] 강희정 / 2019 / 보편적건강보장을 위한 의료 격차의 진단과 과제
  • 2. [기타] 국가인권위원회 / 2006 /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권고안 / 국가인권위원회
  • 3. [인터넷자료] 국민연금공단 / 장애등급의 결정
  • 4. [학술지] 김기태 / 2018 / 한국 공적 상병수당 도입을 위한 제도 비교연구 및 정책제언 / 사회복지정책 / 45 (1) : 148 ~ 1 kci
  • 5. [학술지] 김대환 / 2015 / 중증질환으로 인한 소득상실리스크와 정책적 시사점 / 보험학회지 (102) : 39 ~ 102 kci
  • 6. [보고서] 김수진 / 2018 / 질병으로 인한가구의 경제활동 및 경제상태 변화와 정책과제
  • 7. [학술지] 김수진 / 2019 / 외국의 아픈 노동자는 회사로부터 어떤 지원을 받는가?: 상병수당이 없는 미국, 스위스, 이스라엘의 공적 규제 연구 / 한국사회정책 / 26 (1) : 3 ~ 1 kci
  • 8. [보고서] 김용익 / 2000 / 건강보험재정설계연구
  • 9. [학술지] 김종수 / 2016 / 상병급여제도에 관한 소고 / 사회보장법연구 / 5 (1) : 1 ~ 1
  • 10. [단행본] 김창엽 / 2009 / 건강보장의 이론 / 한울아카데미
  • 11. [단행본] Gilbert, N. / 2007 / 사회복지정책론: 분석 틀과 선택의 차원 / 도서출판 나눔의 집
  • 12. [보고서] 문성웅 / 2015 / 주요국의 상병수당제도 현황고찰 및 시사점 연구
  • 13. [인터넷자료] 서울시 / 서울형 유급병가지원 제도 안내
  • 14. [학술지] 손민성 / 2019 / 국민건강보험 맞춤형 코호트 DB를 이용한 한국의 상병수당 및 유급병가를 위한 소요재정추계 /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25 (2) : 1 ~ 2 kci
  • 15. [학술지] 신기철 / 2011 / 상병소득보장제도 충실화 방안 연구 (급여소득자를 중심으로) / 사회보장연구 / 27 (1) : 133 ~ 1 kci
  • 16. [학술지] 신기철 / 2020 / 상병수당제도 운영방식 비교연구 / 사회보장연구 / 36 (3) : 79 ~ 3 kci
  • 17. [학술지] 이승윤 / 2017 / 아픈 노동자는 왜 가난해지는가? - 아픈 노동자의 빈곤화과정과 소득보장제의 경험 / 한국사회정책 / 24 (4) : 113 ~ 4 kci
  • 18. [학술대회] 이용갑 / 2011 / 상병수당 도입을 위한 사회적 논의 / 2011년 대한보건협회 보건종합학술대회 자료집 : 48
  • 19. [보고서] 임승지 / 2019 / 상병수당제도 도입연구Ⅰ: 기초연구
  • 20. [학술대회] 임준 / 2017 / 우리나라 건강보험 상병수당제도 도입에 관한 검토 / 제6회 ‘환자포럼’ 발표자료
  • 21. [학술지] 정현우 / 2019 / 한국 상병수당제도 및 전달체계 설계연구: 주요 선진국과의 제도 비교를 중심으로 / 보건행정학회지 / 29 (2) : 112 ~ 2 kci
  • 22. [학술지] 정형준 / 2017 / 상병수당 도입의 필요성 / 복지동향 / 222 : 10 ~
  • 23. [보고서] 정혜주 / 2018 / 시립병원 비급여분석 및 보장성 강화 전략수립: 서울형 유급병가와 혁신적 의료보장정책을 중심으로
  • 24. [보고서] 최인덕 / 2005 / 주요국의 상병수당 제도 운영 현황 및 제도 도입의 타당성 검토
  • 25. [학술지] 최인덕 / 2007 / 상병수당제도 도입방안 연구: 제도설계와 재정소요를 중심으로 / 사회보장연구 / 23 (2) : 221 ~ 2 kci
  • 26. [보고서] Appelbaum, E. / 2016 / No big deal: The impact of New York city’s paid sick days law on employers
  • 27. [학술지] Asfaw, A. / 2017 / Association between parental access to paid sick leave and children’s access to and use of healthcare services /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 60 (3) : 276 ~ 3
  • 28. [학술지] DeRigne, L. / 2017 / Paid sick leave and preventive health care service use among US working adults / Preventive medicine / 99 : 58 ~
  • 29.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Austria / European Union
  • 30.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Belgium / European Union
  • 31.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Denmark / European Union
  • 32.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Finland / European Union
  • 33.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France / European Union
  • 34.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Germany / European Union
  • 35.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Greece / European Union
  • 36.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Hungary / European Union
  • 37.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Iceland / European Union
  • 38.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Ireland / European Union
  • 39.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Italy / European Union
  • 40.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Latvia / European Union
  • 41.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Lithuania / European Union
  • 42.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Luxembourg / European Union
  • 43.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Netherlands / European Union
  • 44.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Norway / European Union
  • 45.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Poland / European Union
  • 46.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Portugal / European Union
  • 47.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Slovakia / European Union
  • 48.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Slovenia / European Union
  • 49.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Spain / European Union
  • 50.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Sweden / European Union
  • 51.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Switzerland / European Union
  • 52. [기타] European Commission / 2019 / Your social security rights in UK / European Union
  • 53. [인터넷자료] ILO / C102 – Social Security (Minimum Standards) Convention, 1952 (No. 102)
  • 54. [인터넷자료] ILO / C130 – Medical Care and Sickness Benefits Convention. 1969 (No. 130)
  • 55. [인터넷자료] ILO / R134 – Medical Care and Sickness Benefits Recommendation. 1969 (No. 134)
  • 56. [보고서] ILO / 2016 / Non-standard employment around the world:understanding challenges, Shaping prospects
  • 57. [보고서] ILO / 2017 / World social protection report: universal social protection to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58. [기타] SSA / 2018 / Social security programs throughout the world: Europe / SSA Publication No.13-11801
  • 59. [기타] SSA / 2018 / Social security programs throughout the world: Asia and the Pacific / SSA Publication No.13-11802
  • 60. [기타] SSA / 2019 / Social security programs throughout the world: The Americas / SSA Publication No.13-11804
  • 61. [기타] SSA / 2019 / Social security programs throughout the world: Africa / SSA Publication No.13-11803
  • 62. [보고서] Mili, J. / 2016 / Paid sick days benefit employer, workers, and the economy
  • 63. [학술지] Scheil-Adlung X. / 2010 / Evidence on paid sick leave: observation in time of crisis / Intereconomics / 45 (5) : 313 ~ 5
  • 64. [학술지] Wel, K. A. / 2015 / Risk and resilience: Health inequalities, working conditions and sickness benefit arrangements. An analysis of the 2010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 Sociology of health & illness / 37 (8) : 1157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