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여 역량모형을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 교육 요구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연구와 심층면담을 통해 역량요소를 도출하여 역량모형 초안을 개발하고, 2차의 델파이 조사를 통해 역량모형 초안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확정된 역량모형을 바탕으로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 대상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역량 교육 요구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역량모형 초안 개발 단계에서는3개 역량군, 18개 역량요소, 36개 역량지표를 도출하였다. 역량모형 타당화 단계에서는 3개역량군, 15개 역량요소, 29개 역량지표를 검증하여 최종 역량모형을 확정하였다. 역량 교육 요구 조사 결과,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업무 협약 및 모니터링, 장애학생 부모상담 이론의 이해, 진로계획의 수립, 진로정보의 제공, 진로평가 이론의 이해가 1차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최우선역량으로 확인되었다. 시사점: 개발된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 역량모형은 진로전담교사 양성 대학원 및 부전공 자격연수 교육기관과 직무연수, 컨설팅, 수퍼비전 등 계속교육의 교육과정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 장애학생의 진로교육, 역량모형 개발

참고문헌(42)open

  1.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 2009 / 제1차 진로교육 종합계획(2009~2013)

  2. [보고서] 교육부 / 2016 / 제2차 진로교육 5개년 기본계획(2016~2020)

  3. [보고서] 교육부 / 2017 /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2018~2022)

  4. [보고서] 교육부 / 2018 /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5. [보고서] 교육부 / 2019 /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활성화 방안(2020~2022)

  6. [학술지] 김경신 / 2019 /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역량 우선순위 및 요구조사 / 특수교육학연구 54 (1) : 143 ~ 163

  7. [학위논문] 김은경 / 2014 /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 척도 개발

  8. [학위논문] 김재훈 / 2020 / 미술치료사의 역량모형 개발 연구

  9. [보고서] 김정숙 / 2018 /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10. [학술지] 류영철 / 2014 /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모형 개발 / 한국교육 41 (4) : 25 ~ 51

  11. [학술지] 류영철 / 2017 / 일반고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지표 개발 / 사회과학논총 (19) : 95 ~ 124

  12. [학위논문] 박영주 / 2017 / 전환교육 전문가의 수행능력 기준 개발 및 실행능력 수준

  13. [학술지] 박용호 / 2011 /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량: 교육적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 進路敎育硏究 24 (1) : 117 ~ 136

  14. [학위논문] 박정아 / 2017 / 진로진학상담교사 수퍼비전을 위한 전문직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15. [학술지] 박정아 / 2019 / 진로진학상담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상담학연구: 사례및실제 4 (1) : 1 ~ 22

  16. [학술지] 박은솔 / 2018 / 진로진학상담교사 직무역량 요구분석 / 한국교원교육연구 35 (1) : 189 ~ 206

  17. [학술지] 박희찬 / 2005 / 정신지체특수학교 지업교육 혁신을 위한 교사참조요목 개발 / 특수교육연구 12 (1) : 283 ~ 304

  18. [학위논문] 송소현 / 2015 / 발달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담당교사의 직무수행능력 기준 개발

  19. [학위논문] 양정하 / 2019 / 도박중독 상담자 역량모형 개발

  20. [보고서] 양종국 / 2019 /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 운영 방안

  21. [학술지] 엄미리 / 2017 / 일반 교원의 진로지도 및 상담 직무영역에서의 핵심역량 도출에 관한 연구 / 직업능력개발연구 20 (2) : 125 ~ 160

  22. [학술지] 유애란 / 1999 / 전환교육에 필요한 교사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 직업재활연구 9 : 99 ~ 109

  23. [학위논문] 이무진 / 2020 / 중등 진로전담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사효능감, 교사헌신, 학교장 지원 및 교사 지원이 수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24. [학위논문] 이승진 / 2016 / 교육분야 국제개발협력 전문가 역량모형 개발

  25. [보고서] 이지연 / 2015 /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전공과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26. [학술지] 이형국 / 2018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한 중등진로전담교사들의 교육요구도 분석 / 직업교육연구 37 (5) : 55 ~ 78

  27. [단행본] 이홍민 / 2009 / 역량평가: 인적자본 역량모델 개발과 역량평가 / 리드리드출판

  28. [학위논문] 장창곡 / 2017 / 진로진학상담 수행역량 척도 개발 및 슈퍼비전 요구분석

  29. [학술지] 조남정 / 2016 / 상담전공 학부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상담학연구 17 (3) : 23 ~ 43

  30. [학술지] 조대연 / 2009 /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 교육문제연구 (35) : 165 ~ 187

  31. [학술지] 조대연 / 2008 / 미국, 캐나다, 호주의 진로교육 전문가 역량 비교 분석 / HRD연구 10 (3) : 47 ~ 64

  32. [학위논문] 조분래 / 2007 /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환교육 교사의 직무수행능력 기준 개발

  33. [학위논문] 최혜경 / 2020 /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사회복지사 역량모델 개발

  34. [기타] 행정안전부 / 2008 / 과학적인 인사관리를 위한 역량평가–역량평가 도입 매뉴얼

  35. [기타]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36. [기타]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령

  37. [기타] / 진로교육법

  38. [기타] / 진로교육법 시행령

  39. [단행본] Lucia, A. / 1999 /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rganizations / Pfeiffer

  40. [단행본] Spencer, L. M. / 1993 /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 performance / John Willey

  41. [인터넷자료] / CEC

  42. [인터넷자료] / NSTT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