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왕인은 백제와 고대 일본의 문화 교류사에서 핵심 인물로 알려져 있지만 그는 사실상 조선시대 후기까지도 우리에게 잘 알려진 인물이 아니었다. 더군다나 요즘 믿고 있듯이, 왕인이 전라남도 영암군 출생이라는 얘기에 대해서는 더욱 거론된 바 없다.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왕인은 식민 교육의 필요에 따라 유달리 강조되기에 이르렀다. 이때 도선국사에 관한 전승이 왕인에 관한 전승과 뒤섞이는 현상도 발생하였다. 그만큼 왕인은 내선일체 이데올로기의 현창과 실천에 적합한 인물이었다는 뜻이다. 문제는 해방 이후, 식민 교육적 배경을 갖고 있는 왕인 전승에 대해 이에 대한 성찰과 극복 없이 자의적인 방식의 기념과 계승 작업이 지속되고 있다는 데 있다. 1970년대에 들어 왕인은 주체성 교육의 일환으로 현창의 대상이 되었다. 특히 전라남도 영암군에서는 해마다 왕인을 기리는 영암왕인축전을 치르고 있다. 왕인 담론에는 이렇게 역사적 성찰이 결여된 채 기념비의 정치학이 개입되어있다. 동화 정책과 식민 교육의 소재로 활용되었던 왕인은 한때 민족 자긍심 함양과 주체성 교육을 위한 인물로 주목받다가 이제는 특정지역의 문화적 기획 상품으로 활용되고 있는 셈이다.

키워드

왕인, 도선국사, 식민 교육, 주체성 교육, 영암왕인축제

참고문헌(46)open

  1. [기타] / 海遊錄

  2. [기타] / 聞見別錄

  3. [기타] / 海槎日記

  4. [기타] / 日東記游

  5. [기타] / 日槎集略

  6. [기타] / 海東繹史

  7. [기타] / 朝鮮寰輿勝覽

  8. [기타] / 古事記 日本書紀 續日本紀

  9. [학술지] 강봉룡 / 2000 / 榮山江流域 古代社會 性格論 / 지방사와 지방문화 3 (1) : 63 ~ 93

  10. [학술지] 강석근 / 2011 / 무영탑 전설의 전승과 변이 과정에 대한 연구 / 신라문화 (37) : 91 ~ 112

  11. [학술지] 김병인 / 2001 / 왕인의 ‘지역 영웅화’ 과정에 대한 문헌사적 검토 / 한국사연구 115 : 177 ~ 205

  12. [학술지] 김선희 / 2011 / 전근대 왕인(王仁)전승의 형성과 수용 / 일본문화연구 (39) : 41 ~ 69

  13. [학술지] 김선희 / 2012 / 근대 왕인 전승의 변용양상에 대한 고찰 / 일본문화연구 (41) : 39 ~ 59

  14. [학술지] 김원 / 2012 / ‘한국적인 것’의 전유를 둘러싼 경쟁: 민족중흥, 내재적 발전 그리고 대중문화의 흔적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93) : 185 ~ 235

  15. [학술대회] 김일권 / 2010 / 일제시기 조선사 편수와 만선사적 고구려사의 역설 / <(일제 강제병합 100년) 식민주의적 한국고대사 인식의 비판과 과제> 학술발표회 : 1 ~ 1

  16. [단행본] 김창수 / 1975 / 박사왕인: 일본에 심은 한국 / 박사왕인연구소

  17. [단행본] 류종렬 / 2010 / 1930년대 문학의 재조명과 문학의 경계넘기 / 국학자료원

  18. [학술대회] 박균섭 / 2010 / 박사 왕인인가, 학생 왕인인가 / 한국일본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 61 ~ 66

  19. [단행본] 백승충 / 2006 / 왕인 박사는 일본에서 무엇을 했나, In 한일관계 2천년 보이는 역사, 보이지 않는 역사(고중세) / 경인문화사 : 277 ~ 287

  20. [학술지] 안병희 / 1982 / 천자문의 계통 / 정신문화 12 : 145 ~ 161

  21. [학술지] 염중섭 / 2010 / 釋迦塔과 多寶塔의 명칭적인 타당성 검토 / 건축역사연구 19 (4) : 71 ~ 90

  22. [학술지] 윤선태 / 2007 / ‘통일신라’의 발명과 근대역사학의 성립 / 신라문화 (29) : 5 ~ 5

  23. [단행본] 이근우 / 2006 / 일본서기는 어떤 책인가, In 한일관계 2천년 보이는 역사, 보이지 않는 역사(고중세) / 경인문화사 : 331 ~ 341

  24. [단행본] 이덕일 / 2009 /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 역사의아침

  25. [인터넷자료] 이윤옥 / 왕인박사 기념비, 도쿄 우에노공원에서 내선일체 음모에 쓰였다

  26. [단행본] 이이화 / 2004 / 제1부 식민지에 불어오는 근대화 바람: 4. 활동사진 보러 단성사 간다, In 한국사 이야기 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 / 한길사

  27. [학술지] 이준곤 / 1985 / 도선국사 전설의 변이 양상 / 목포해양전문대학논문집 19 : 67 ~ 99

  28. [단행본] 이혜순 / 2010 / 전통과 수용: 한국고전문학과 해외교류 / 돌베개

  29. [단행본] 이화진 / 2005 / 조선 영화-소리의 도입에서 친일 영화까지 / 책세상

  30. [단행본] 임형택 / 2010 / 한국 근대가 세운 전통 표상: 왕인과 장보고, In 전통: 근대가 만들어낸 또 하나의 권력 / 인물과사상사

  31. [보고서] 전라남도․왕인박사현창협회 / 1975 / 왕인박사유적종합조사보고서

  32. [학술지] 정태욱 / 2011 / 근세의 왕인(王仁)전승-가모노 마부치와 모토오리 노리나가를 중심으로- / 일본연구 (30) : 361 ~ 376

  33. [학술지] 정태욱 / 2012 / 근세의 왕인(王仁)전승 - 왕인이 가져온 한적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 / 日本學硏究 0 (0) : 215 ~ 235

  34. [단행본] 조인수 / 2010 / 한국 전통미술의 재발견: 1960~70년대를 중심으로, In 전통: 근대가 만들어낸 또 하나의 권력 / 인물과사상사

  35. [단행본] 홍성화 / 2008 / 한일고대사유적답사기 / 삼인

  36. [단행본] 한일문화친선협회 / 1986 / 학성 왕인박사 / 홍익재

  37. [단행본] 兪丰 / 2009 / 經典碑帖經文譯注 / 上海書籍出版社

  38. [단행본] 王玉池 / 2010 / 古代碑帖譯注 / 文物出版社

  39. [학술지] 주인부 / 2006 / 儒對日本之影響 / 동아인문학 1 (10) : 607 ~ 636

  40. [단행본] 子安宣邦 / 2005 / 동아․대동아․동아시아: 근대 일본의 오리엔탈리즘 / 역사비평사

  41. [단행본] 佐藤秀夫 / 1987 / 敎師‘王仁’から學生‘王仁’への大逆轉, In 學校ことはじめ事典 / 小學堂

  42. [단행본] 高柳俊男 / 1996 / 東京の中の朝鮮: 步いて知る朝鮮と日本の歷史 / 明石書店

  43. [기타] 朝日新聞 / 1938 / 新指定“府民の寶”: 史蹟-王仁の墓 / 朝日新聞

  44. [기타] 每日申報 / 1929 / 博士王仁의 神社를 建設計劃: 墳墓가잇는大阪府下奧伏山에 / 每日申報

  45. [기타] 每日申報 / 1940 / 內鮮一體의記念塔博士王仁碑除幕式: 來卄八日, 上野公園서 / 每日申報

  46. [기타] 朝鮮總督府中樞院 / 1938 / 朝鮮舊慣制度調査事業槪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