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상담 현장실습생들의 집단 수퍼비전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Qualitative study on group supervision experience of trainees in counseling field

상담학연구
약어 : -
2019 vol.20, no.3, pp.243 - 264
DOI : 10.15703/kjc.20.3.201906.243
발행기관 : 한국상담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상담학회
114 회 열람

본 연구는 상담 현장실습에 참여하는 상담전공 대학원생들이 집단 수퍼비전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상담현장실습을 학위과정으로 개설하여 진행하고 있는 3개 대학원에서 12명의 현장실습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근거이론 연구방법론으로 자료수집과 분석이 진행되었다. 개방코딩 분석결과, 153개의 개념과 57개의 하위범주, 2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상담 현장실습생들은 집단 수퍼비전에서 ‘나의 한계에 부딪히며 계속 버텨감’이라는 중심현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코딩 결과, 상담 현장실습생들은 집단 수퍼비전 동안 ‘부딪힘–드러냄–좌절함–성찰함–수용함–일어섬’의 과정을 경험하며 이 과정 중에서 드러냄과 좌절함은 연구 참여자들이 상담 현장실습과 집단 수퍼비전 진행과정에서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현장실습생들이 집단 수퍼비전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탐구함으로써 상담 현장실습에 있어 집단 수퍼비전이 갖는 의미를 파악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교육과 훈련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eply understand what kind of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participating in counseling field practice experience in the group supervision. 12 field practitioner from 3 graduate school establishing counseling field practice as a compulsory degree course participated the research, an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s results of data analysis, 153 concepts, 57 subcategories, and 21 categories were derived. The central phenomenon experienced by the trainees in the group supervision was ‘To face one’s limit, but persevere it’. The participants, through their experience of the group supervision as the field practitioners, undergo the phases of ‘Collision - Revelation - Frustration - Reflection - Acceptance - Standing up’, as time passes by. Moreover, the phases of Revelation and Frustration seemed to have incurred repeatedly in the process of counseling field practice and group supervis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group supervision in counseling field practice by exploring how the field practitioners experience in the course of group supervision, and counseling education and training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상담 현장실습, 집단 수퍼비전, 상담자교육, 초심상담자, 질적연구, 근거이론
Counseling Field Practice, Group Supervision, Counselor Education, Initial Counselor,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 1. [학술지] 고홍월 / 2015 / 집단 수퍼비전의 연구 동향 분석 / 상담학연구 / 16 (2) : 97 ~ 2 kci
  • 2. [학술지] 김계현 / 1992 / 상담교육방법으로서의 개인 슈퍼비젼모델에 관한 복수사례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 4 (1) : 19 ~ 1
  • 3. [학술지] 김계현 / 2000 / 상담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분석-상담자의 경력수준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 12 (1) : 1 ~ 1
  • 4. [학술지] 김길문 / 2004 / 초보 상담자가 상담 회기 내에 경험한 어려움과 대처 과정: 질적 분석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16 (1) : 1 ~ 1 kci
  • 5. [학위논문] 김신애 / 2008 / 초심상담자의 신경증 정도에 따라 지각한 소집단 수퍼비전 경험 차이
  • 6. [학술지] 김정택 / 1993 / 상담가 교육에 대한 연구-대학원 석사과정 상담 교육의 현황과 전문상담가 양성 인턴쉽을 위한 제언 /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 5 (1) : 13 ~ 1
  • 7. [학술지] 김지연 / 2009 / 초심상담자와 상담전문가가 겪는 어려움과 극복방안에 대한 개념도 연구 / 상담학연구 / 10 (2) : 769 ~ 2 kci
  • 8. [단행본] 박승민 / 2012 / 근거이론 접근을 활용한 상담연구과정 / 학지사
  • 9. [학위논문] 손승희 / 2004 / 개인수퍼비전에서 상담수련생의 비개방 연구
  • 10. [학위논문] 신혜란 / 2017 / 자원상담원의 보호관찰 청소년 상담경험에 관한 연구
  • 11. [학술지] 심흥섭 / 1999 / 상담자 교육을 위한 수퍼비전 / 대학생활연구 / 17 (1) : 87 ~ 1
  • 12. [학위논문] 왕은자 / 2001 / 소집단 수퍼비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 13. [학술지] 유성경 / 2009 / 수퍼비전 형식, 방법 및 내용에 대한 수퍼바이지 인식 / 상담학연구 / 10 (4) : 1907 ~ 4 kci
  • 14. [학술지] 유영권 / 2007 / 집단수퍼비전의 이해와 활용에 관하여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14 : 143 ~ kci
  • 15. [학술지] 유영권 / 2014 / 과정중심 집단 수퍼비전 모델 /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25 (2) : 141 ~ 2 kci
  • 16. [학위논문] 유재명 / 2003 / 상담훈련생의 목회상담수퍼비전에 대한 기대와 요구: 상담자 발달모델을 중심으로
  • 17. [학술지] 이미선 / 2009 / 집단상담자 경력에 따른 집단상담 수퍼비전 교육내용 요구분석 / 상담학연구 / 10 (2) : 911 ~ 2 kci
  • 18. [학술지] 이숙영 / 2002 / 상담 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표준화 연구 / 교육학연구 / 40 (2) : 11 ~ 2 kci
  • 19. [학위논문] 이승은 / 2003 / 초심상담자의 소집단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연구
  • 20. [학위논문] 이유정 / 2014 / 초보상담자의 현장실습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상담자 되어가기
  • 21. [단행본] 이장호 / 2005 / 상담심리학의 기초 / 학지사
  • 22. [학술지] 이재창 / 1996 / 전문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 8 (1) : 1 ~ 1
  • 23. [학위논문] 임영선 / 2006 / 한국형 집단 수퍼비전 평가 도구 개발
  • 24. [학술지] 조윤진 / 2010 / 상담 석사과정에 대한 석사생들의 교육 경험 및 만족도 분석 / 인간이해 / 31 (2) : 103 ~ 2 kci
  • 25. [학술지] 조윤진 / 2014 / 상담심리치료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부정적인 경험의 변화 과정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26 (4) : 841 ~ 4 kci
  • 26. [학술지] 최해림 / 2006 /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 상담심리 석박사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18 (4) : 713 ~ 4 kci
  • 27. [학위논문] 하정 / 2007 / 학업우수 여자고등학생의 직업결정과정 : 근거이론 접근
  • 28. [인터넷자료] / 한국상담심리학회
  • 29. [인터넷자료] / 한국상담학회
  • 30. [학술지] 홍수현 / 2001 / 상담초기단계에서 상담자의 자기효능감 및 상태불안이 상담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 13 (1) : 31 ~ 1
  • 31. [학술지] 홍지영 / 2009 / 집단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로서의 경험 / 상담학연구 / 10 (3) : 1427 ~ 3 kci
  • 32. [학술지] 황채운 / 2009 / 상담전공 대학원 석사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상담학연구 / 10 (3) : 1359 ~ 3 kci
  • 33. [학술지] Enyedy, K. C. / 2003 / Hindering phenomena in group supervision : Implications for practice / Professional Psychology : Research and Practice / 34 (3) : 312 ~ 3
  • 34. [단행본] Falender, C. A. / 2004 / Clinical supervision: A competency-based approach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35. [단행본] Glaser, B. G. / 1967 /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 Aldine Publishing
  • 36. [단행본] Guba, E. G. / 1994 /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 Sage : 105 ~
  • 37. [학술지] Linton, J. M. / 2006 / An exploratory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group processes in group supervision : Perceptions of masters-level practicum students / The Journal for Specialists in Group Work / 31 (1) : 51 ~ 1
  • 38. [학술지] Loganbill, C. / 1982 / Supervision: A conceptual model / The Counseling Psychologist / 10 : 3 ~
  • 39. [학술지] Luborsky, L. / 1997 / The Psychotherapist Matters : Comparison of Outcomes Across Twenty-Two Therapists and Seven Patient Samples / Clinical Psychology : Science and Practice / 4 (1) : 53 ~ 1
  • 40. [학술지] Nelson, M. L. / 2001 / A close look at conflictual supervisory relationships : The trainee's perspective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 48 (4) : 384
  • 41. [학술지] Ramos-Sánchez, L. / 2002 / Negative supervisory events : Effects on supervision and supervisory alliance / Professional Psychology : Research and Practice / 33 (2) : 197 ~ 2
  • 42. [학술지] Riva, M. T. / 1995 / Group supervision practices at psychology predoctoral internship programs: A national survey /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 26 (5) : 523 ~ 5
  • 43. [학술지] Samara, A. / 2006 / Group supervision in graduate education : a process of supervision skill development and text improvement /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 25 (2) : 115 ~ 2
  • 44. [단행본] Strauss, A. / 1998 /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 Sage Publicati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