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자기자각에 의한 분노정서 변화과정 연구: 대화분석을 중심으로

Research on Changing Process of Emotion of Anger by Self-Awareness: On the Basis of Conversation Analysis

상담학연구
약어 : -
2017 vol.18, no.6, pp.543 - 558
DOI : 10.15703/kjc.18.6.201712.543
발행기관 : 한국상담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상담학회
125 회 열람

본 연구의 목적은 Satir 빙산모형을 사용해서 내담자의 자기자각 과정이 분노정서 변화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대화분석을 적용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8명의 내담자를 모집하여 자기자각 상담을 진행하였고 녹취와 녹화를 하여 축어록을 만들었다. 8명의 축어록을 비교하여 복합적이며 명확한 자기지각 변화과정의 중요성이 나타나는 4명의 사례에 대해 기호를 붙여 분석을 위한 전사 자료를 만들었다. 전사된 자료를 통해 내담자의 분노정서 변화과정과 자기자각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담자의 자기자각은 내담자가 경험하는 분노정서 강도를 감소시켰다. 내담자의 자기자각의 상태는 방어의 상태에 따라 개별적 차이가 있지만 분노정서의 강도는 뚜렷한 감소를 보였다. 둘째, 내담자의 자기자각 수준이 확장될수록 분노정서는 감소하였다. 내담자의 자기자각의 영역 즉, 감정, 지각, 기대, 열망으로 자기자각이 확장될수록 분노정서 강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 사실은 내담자가 자신의 분노정서 내용을 알고 이해하며 인정하고 수용, 존중을 할 때 분노정서 강도가 감소하는 변화가 일어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셋째, 내담자의 자기자각 과정은 상담자의 주도성에 의해 이루어졌다. 즉 내담자가 자기자각을 하는 과정에는 상담자의 질문법과 촉진법이 주도적 역할을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담자는 상담자의 빙산모형 질문과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질문에 의해 상담자의 저항을 존중하는 질문을 받으면서 자기자각을 했으며, 상담자의 공감과 명료화 작업, 인정과 존중 작업에 의해 자기자각의 상태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process of client's self-awareness on the change of the emotion of anger using Satir's Iceberg Model and through conversation analysis. For this purpose, self-awareness counseling carried out for 8clients, making verbatim transcripts through tape-recording and videotaping. By comparing verbatim records of 8 participants, 4 transcribed data were established for the analysis by marking symbols for the 4 clients' cases, showing comprehensive and clear process of change of importance in self-awareness. The process of changes in emotion of anger and clients' self-awareness was analyzed from transcribed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awareness of clients reduces the intensity of subjective emotion of anger; and the intensity of subjective emotion of anger was clearly decreased, although the level of self-awareness of clients showed individual differences in response to the defense state of them. Second, the subjective emotion of anger of clients was decreased as they extend their levels of self-awareness. As the self - awareness was expanded by the client's domain of self - awareness, that is, emotion, perception, expectation and aspiration, the intensity of anger emotion decreased. It reveals the fact that when the clients know, understand, accept and respect the cues of their emotion of anger, the intensity of the subjective emotion of anger is changed decreasingly. Third, the process of client's self-awareness was initiated by the counselor. It was recognized that the counselor's skillful questions and facilitating techniques were both played leading roles in the process of clients' self-awareness. Clients developed their level of self-awareness by the questions derived from the iceberg model, systematic and step-by-step questions with respect and also it was achieved by counselor's strategy of empathetic understanding, clarifying, accepting and respecting work. Based on the results, some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was suggested.

자기자각, 분노정서, Satir 빙산모형, 대화분석
Self-awareness, Emotion of Anger, Satir’s Iceberg Model, Conversation Analysis

  • 1. [단행본] 권석만 / 1997 / 인간관계심리학 / 학지사
  • 2. [학술대회] 김교현 / 2008 / 중독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 / 한국알코올과학회 학술대회 / 1 : 1 ~
  • 3. [학술지] 김영근 / 2017 / 정서중심치료를 기반으로 한 청소년 정서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상담학연구 / 18 (4) : 225 ~ 4 kci
  • 4. [학술지] 김정호 / 2001 / 체계적 마음 챙김을 통한 스트레스관리 : 정서 마음 챙김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 6 (1) : 23 ~ 1
  • 5. [학술지] 남여명 / 2017 / 외상경험자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상담학연구 / 18 (3) : 23 ~ 3 kci
  • 6. [인터넷자료] / 분노 / 위키백과사전
  • 7. [학술지] 유명이 / 2006 / 가족치료 첫 회기에 대한 대화분석적 연구 / 한국가족복지학 (18) : 227 ~ 18 kci
  • 8. [학술지] 유명이 / 2007 / 가족치료 상담자의 공감반응을 위한 언어적 표현에 관한 연구 / 한국가족복지학 (20) : 399 ~ 20 kci
  • 9. [학위논문] 이근배 / 2008 / 분노기분에서의 반추사고와 반추초점의 효과
  • 10. [학술지] 이미애 / 2017 / 정서인식명확성과 수용이 성격성숙에 미치는 영향: 수용의 매개효과 / 상담학연구 / 18 (2) : 41 ~ 2 kci
  • 11. [단행본] 이장호 / 2012 / 상담연습교본 3판 / 법문사
  • 12. [학술지] 이지연 / 2008 / 내면화된 수치심과 방어유형, 정서표현의 관계 / 상담학연구 / 9 (2) : 353 ~ 2 kci
  • 13. [학위논문] 이지영 / 2008 / 정서조절방략과 정서장애의 관계 및 체험적 정서조절방략의 효과
  • 14. [학위논문] 장정주 / 2009 / 정서자각에 기초한 정서표현 훈련이 심리적 안녕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 15. [학술지] 정주리 / 2017 / 상담자의 자기자비가 공감능력, 자기효능감,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령과 상담자경력을 조절변인으로 / 상담학연구 / 18 (2) : 61 ~ 2 kci
  • 16. [학술지] 정혜정 / 2012 /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 사례에 대한 대화분석 연구 - 모자갈등 사례에 기초한 치료자 개입을 중심으로 / 가족과 가족치료 / 20 (1) : 85 ~ 1 kci
  • 17. [학술지] 조용길 / 2006 / 대화 속의 공손현상에 대한 연구 / 독어교육 / 35 (35) : 143 ~ 35 kci
  • 18. [학술지] 조용길 / 2008 / 가족치료 대화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대화분석적 연구 / 한국사회복지학 / 60 (4) : 253 ~ 4 kci
  • 19. [학술지] 천성문 / 2000 / 신경증적 비행청소년의 분노조절을 위한 인지행동적 집단치료 효과 /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 12 (1) : 53 ~ 1
  • 20. [학술지] Averill, J. R. / 1983 / Studies on anger and aggression / American Psychologist / 38 (11) : 1145 ~ 11
  • 21. [단행본] Ellis, A. E. / 1997 / How to control your anger before it controls you / Citadel Press
  • 22. [학술지] Friedlander, M. / 2000 / Responding to blame in family therapy : A constructivist/narrative perspective /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 28 (2) : 133 ~ 2
  • 23. [학술대회] Gale, J. / 2009 / Analyzing clinical discourse: Structured patterns, accountability and generative responsiveness in the construction of meaning / 한국가족치료학회 제33회 춘계워크샵 가족 치료 연구와 임상에서의 대화분석 기법 자료집
  • 24. [학술지] Gale, J. / 1992 / A conversation analysis of a solution-focused marital therapy session /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 18 (2) : 153 ~ 2
  • 25. [학술지] Greenberg, L. S. / 2002 / Integrating an emotion-focused approach to treatment into psychotherapy integration / Journal of Psychotherapy Integration / 41 (2) : 154 ~ 2
  • 26. [학술지] Greenberg, L. S. / 2008 / Emotion and cognition in psychotherapy : The transforming power of affect / Canadian Psychology / 49 (1) : 49 ~ 1
  • 27. [단행본] Kalat, J. W. / 2015 / 정서심리학 / Cengage Learning
  • 28. [학술지] Kogan, S. M. / 1998 / The politics of meaning-making : Discourse analysis of a ‘postmodern’ interview / Journal of Family Therapy / 20 (3) : 227 ~ 3
  • 29. [학술지] Kogan, S. M. / 1997 / Decentering therapy : Textual analysis of a narrative therapy session / Family Process / 36 (2) : 101 ~ 2
  • 30. [학술지] Lawless, J. / 2001 / The discourse of race and culture in family therapy supervision : A conversation analysis / Contemporary Family Therapy / 23 (2) : 181 ~ 2
  • 31. [단행본] Lazarus, R. S. / 1980 / Emotion: Theory, research, and experience: Vol. 1. Theories of emotion / Academic Press : 189 ~
  • 32. [단행본] Psathas, G. / 2005 / 대화분석: 상호작용 내 대화연구 / 군자출판사
  • 33. [학술지] Ratliff, D. / 2000 / Lack of consensus in supervision /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 26 (3) : 373 ~ 3
  • 34. [학술지] Rogers, M. F. / 1992 / They all were passing : Agnes, Garfinkel, and company / Gender & Society / 6 (2) : 169 ~ 2
  • 35. [단행본] Satir, V. / 1991 / The Satir Model: Family therapy and beyond / Science and Behavior Books
  • 36. [단행본] Satir, V. / 2004 / 사티어 모델: 가족치료의 지평을 넘어서 / 김영애 가족치료 연구소
  • 37. [학술지] Spielberger, C, D. / 1983 / Assessment of anger : The state-trait anger scale /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 2 : 159 ~
  • 38. [학술지] Strong, T. / 2003 / Engaging reflection : A training exercise using conversation and discourse analysis / Counselor Education & Supervision / 43 (1) : 65 ~ 1
  • 39. [학술지] Strong, T. / 2008 / Conversational evidence in therapeutic dialogue /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 34 (3) : 388 ~ 3
  • 40. [단행본] Yong, J. E. / 2005 / 심리도식치료 /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