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은 보조사 ‘도’가 ‘더함’이나 ‘마찬가지’의 의미 기능을 어떻게 표상하는지 그 과정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예외적으로 보이는 현상이나 기능 등을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보조사 ‘도’는 대표적인 전제 유발자로서 전제가 화․청자의 배경 정보로서 선택․수용되거나 선행하는 문맥에 조응해야만 그 기능을 적절하게 표상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제가 선택되거나 조응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보조사 ‘도’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하관계로부터 함의된 내용, 문맥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볼 수 있는 함축 의미를 통해 ‘연결 속성’을 가질 때에도 ‘더함’이나 ‘마찬가지’의 의미 표상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화․청자가 공유하는 배경 정보로서 조건․인과관계의 명제가 선택되면 보조사 ‘도’가 실현된 문장과 선행 문맥 간에 ‘조응’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기제를 바탕으로 인과적 해석이 가능한 상황에서 보조사 ‘도’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는 ‘마찬가지’의 의미와 더불어 ‘타당’하고 ‘당연’하다는 어감도 나타낼 수 있다.
이 논문은 문법 요소가 가지는 의미 기능이 무엇인지 단순히 제시하기보다는 그러한 의미가 표상되는 과정, 즉 의미작용을 밝히고 이를 통해 해당 문법 요소가 가지는 다양한 양상을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process of how the particle “do” represents the semantic function of “addition” or “the same.”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possible to synthetically explain the exceptional phenomena and functions of this particle.
The particle “do” is a typical “presupposition trigger.” Therefore, the function of this particle can be appropriately represented only when the presupposition is selected and accommodated as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or corresponds to the preceding context. However, even in the context where the presupposition is not selected or accommodated, the particle “do” can be used.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meaning of “addition” or “the same” even when the “bridge property” is implied between the propositions through the superordinate(hypernym) or the implications. In addition, the particle “do” could be used even in context where causal interpretation is possible as background information shared by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hen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meaning of “the same” and a sense of “being valid” or “being natural.”

목차

국문초록
1. 문제 제기
2. 선행 연구 및 주요 개념 검토
3. 보조사 ‘도’의 의미작용과 ‘연결 짓기’의 기제
4. 보조사 ‘도’의 의미작용과 ‘강조’의 용법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710-000123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