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에서는 재외동포 아동들이 균형 잡힌 이중 언어 화자가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문식성 능력이 향상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즉, 균형 잡힌 이중 언어 화자가 되기 위해서는 한국어를 단순히 읽고 쓸 줄 아는 수준을 넘어서서 고급 수준의 문식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고급 수준의 문식성은 결국 학업 상황에서의 읽고 쓰는 능력과 관련이 된다. 따라서 문식성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 한국어 교육이 효과가 있으리라 판단하고 이를 위한 학습 한국어 교육 방안과 교육 내용에 대해 논하였다. 특히 본고에서는 재외동포 아동을 위한 학습 한국어 교육을 위해 모국어 화자를 위해 개발된 교과서를 활용하는 방안에 초점을 두고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 중 학습 한국어 교육 내용으로 어떤 내용을 선정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수업 구성 원리와 수업 목적을 고려하여 학습 목표, 학습 어휘, 수업 이해를 위한 표현, 읽기 텍스트, 수업 활동의 항목으로 교육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초등학교 과학 교과와 사회 교과의 한 단원을 대상으로 하여 학습 한국어 교육 내용이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재외동포 아동들의 문식성 능력 향상을 위해 그동안 거의 논의되지 않았던 학습 한국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For overseas Korean children to become balanced bilingual speakers, their Korean language literacy skills must be improved. In other words, beyond simply being able to read and write Korean, they must have a high level of literacy. This high level of literacy is ultimately related to academic literacy. Therefore, I decided that cognitive academic Korean education would be effective in improving literacy skills and discussed cognitive academic Korean education methods and content.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use textbooks developed for native speakers in cognitive academic Korean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 children and looked at what content could be selected as cognitive academic Korean content among the content presented in the textbooks. The content of the cognitive academic Korean class was selected using five categories: the aims of the lesson, learning vocabulary, expressions for understanding the class, reading texts, and class activities. Lastly, I looked at how the content of science and social studies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could be organized for cognitive academic Korean class for overseas Korean children.

목차

국문 초록
1. 서론
2. 재외동포 아동 대상 한국어교육의 특징
3. 문식성과 학습 한국어 교육
4. 문식성 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 한국어 교육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710-001481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