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인제대학교 〈문학의 세계〉 교과목을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인제대학교 〈문학의 세계〉 교과목은 핵심 교양 과목으로서 2017년에 최초 개설되었다. 교수자는 1년 간 이 수업을 운영하며 문학 감상과 의사소통 능력을 조합하는 수업 모형으로써 수강생이 타자에 대한 공감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는 데 강의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문학사회학적 관점에서 적절한 운문/산문 텍스트를 선정해 읽기-쓰기1-토론-쓰기2-읽기-쓰기3-쓰기4 과정을 단계별로 배치했다.
첫째, 시 텍스트를 활용하는 수업에서 수강생들은 시 패러디와 조별 토론을 거쳐 시가 난해하다는 편견을 깨고 타자에게 공감하는 적극적인 독자가 되었다. 이러한 감성은 승자독식과 우승열패 신화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공존 · 공생의 의미를 새기는 순기능을 발휘한다.
둘째, 언어를 도구적으로 사용하는 소설 텍스트를 읽은 수강생들은 조별로 논제를 찾고 토론하며 대화하고 설득하는 능력을 함양하게 된다. 이 때 흔히 동서양 ‘명작’을 활용하지만 교수자는 수강생의 눈높이에 맞는 당대소설과 SF소설을 선택했다.
셋째, 읽기-토론-쓰기 과정을 종합한 쓰기4(‘깊이 읽기’보고서)는 학생들의 강력한 텍스트 향유 충동에 의해 퇴색한 측면이 있다. 텍스트를 창의적으로 감상하려는 태도는 자발적이며 ‘쾌락 원칙’을 구현하고 있지만, 상기 두 과정과의 관계 속에서는 과제의 성격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과목 목적과 목표를 공유하고 공통 교안을 마련해야 한다. (인)문학이 빠르게 위축되는 상황에서 단지 과거의 ‘문학 개론’ 수업 방식을 피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다.

“World of Literature” is one of the literature subjects in the curriculum of core liberal arts, established at Inje University in 2017. While teaching this class for around one year, the present educator has developed a teaching model that combines literature appreciation and communication abilities, with a focus on helping students enhance critical thinking and empathy for others. To this end, appropriate poetic and prose texts were selected from the viewpoint of the sociology of literature, followed by the phased arrangement of courses: reading - writing 1 - discussion - writing 2 - reading - writing 3 - writing 4.
First, in the course using poetic texts, students were involved in a parody of poems and a group discussion. In the process, they came to break the stereotype that poetry is difficult and emerged as active readers who could feel empathy for others. Such sensibility has a positive function that calls attention to the meaning of coexistence and symbiosis in a winner-take-all, weak-to-the-wall society.
Second, when reading novels that use language as a tool,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the ability to communicate to and persuade others while seeking topics for group discussion. In this case, it is usually easy to use Eastern and Western classic novels, but the educator selected contemporary and Science Fiction novels considering the students.
Third, the course ‘writing 4 (reading deeply)’, into which reading, discussion, and writing courses were incorporated, was discolored to some degree by the students’ intense impulse to enjoy texts. Although the attitude of creatively appreciating texts was voluntary and embodied the ‘pleasure principle’, it was necessary to review the nature of task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rses stated above.
Finally, it is now time to share the objectives and focus of this subject and to establish a common teaching plan. In a situation where the influence of the humanities and literature is shrinking quickly, it is insufficient to avoid the existing lesson methods of ‘introduction to literature.’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2017년 <문학의 세계> 수업 운영 사례
3. ‘깊이 읽기’ 보고서 모델과 공통 교안의 중요성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2)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710-0018444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