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KBS한국어능력시험’을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KBS한국어능력시험의 듣기 문항이 응시생의 듣기 능력을 올바르게 평가하는지 타당도를 검증하고, 듣기 평가의 타당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KBS한국어능력시험의 평가 요소가 사실적 이해, 비판적 이해, 추론적 이해 등과 같이 사고력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을 지적하고, 듣기 능력을 문법적 능력, 사회 언어적 능력, 전략적 능력, 담화능력으로 구성하였다. 듣기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해서는 사실적 이해를 평가하는 문항이 지나치게 많다는 점과 지나치게 쉬운 문항이 많다는 점을 비판하였다. 또한 듣기 평가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영상매체를 활용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음성만 듣고 답을 선택하는 현행 평가 방법으로는 비언어적 요소 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제한된 시험 문제가 양산되고 있다. KBS한국어능력시험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평가 도구의 개발이 시급하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KBS Korean Proficiency Test, particularly concerning whether its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accurately evaluates the listening ability of examinees, and to provide an alternative to improve the validity of listening comprehension tests.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KBS Korean Proficiency Test is based upon thinking skills such as factual, critical,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and also classifies listening ability into grammatical, socio-linguistic, tactical, and conversational abilities. This paper, through analysis of the items on the test, also criticizes the fact that there are too many items related to factual comprehension, and also that the items are far too easy. It also argues that visual media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evaluation process in order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e test. The current method of evaluation which only relies on audio, makes it impossible to grasp the non-verbal aspects of speech, and thus restricts the items to a specific style. In order to improve the validity of the KBS Korean Proficiency Test, various evaluation methods must be developed.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선행 연구
3. 타당도와 듣기 평가의 구인(構因)
4. KBS한국어능력시험의 듣기 평가 문항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5-700-002789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