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빅데이터를 활용한 테러리즘 관련 언론보도 토픽분석 : 모술탈환 작전 전후 시기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Topic Analysis of Terrorism Media Articles Using News Big Data : Focused on Battle of Mosul From 2014 to 2019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73950
  • DOIhttps://doi.org/10.15335/GLR.2019.12.2.007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가천법학 (Gachon Law Review)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Gachon University Law Research Institute)
초록

이 연구는 토픽 모델링의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기법을 적용해 언론에 보도된 테러리즘 관련 뉴스 기사의 주요 토픽(topic)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지난 2014년 6월부터 2019년 5월 중, 미디어에 보도된 뉴스 중에서 테러리즘을 소재로 다룬 36,436건을 대상으로 토픽 을 추출하고, 주요 흐름을 시기별(모술탈환 이전, 모술탈환 과정, 모술탈 환 이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모술탈환 작전을 주요 분 석 시점으로 정한 것은 국제 테러리즘의 확산과 파급력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키워드가 ISIS(이슬람국가)이고, ISIS 세력의 확장, 축소, 다변화 등과 관련된 주요 사건이 모술탈환 작전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연구 방법적으로는 테러리즘과 관련한 방대한 양의 기사 내용을 정량 적으로 분석할 수 있고, 내용적으로는 주요 토픽을 파악함으로써 테러리 즘 기사의 이슈와 정책 이슈와의 관련성을 논의할 수 있는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테러리즘에 대한 주제를 단어 중심으 로 범주화함으로써 관련 연구의 분석 기준을 마련할 수 있으며, 정책적 으로는 관련 이슈에 대한 언론 보도 토픽의 경향성을 파악함으로써 국제 테러리즘 발생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정책 수립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루지 않았던 테러리즘의 양상과 관련된 뉴스 기사의 주제적 특징을 객관적으로 도출함으로써, 시기별로 중심 주제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리 사회에서 바라보고 있는 테러리즘 실태와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를 토대로 테러리즘 관련 언론보도의 주요 토픽과 테러리즘 관련 언론보 도 기사에서 모술작전 전후 시기별로 주요 토픽은 어떠한 변화 추이를 보이고 있는지에 대한 함의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topics of news articles related to terrorism using LDA technique of topic modeling. To this end, from June 2014 to May 2019, we extracted topics from media articles on terrorism in 36,436 cases, and analyzed the major trends by period (fall of Mosul, Battle of Mosul, retake the city of Mosul). The main analysis point of the this study was before and after Battle of Mosul. Because We thought that key word in terms of the spread and impact of international terrorism is the ISIS and the major events related to the expansion, contrac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ISIS forces are the Battle of Mosul. Main research methodology is topic analysis Because we can quantitatively analyze the contents of a large volume of articles related to terrorism. In addition, we analyze topic modeling to discuss the issue of terrorism articles and policy issues by analyzing major top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central theme of the news articles related to the aspects of terrorism has been changed, And to examine trends.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derive some implications on major trends in the major topics of the media reports on terrorism and in the media reports on terroris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저자
  • 주성빈(동의대학교 소방방재행정학과) | Joo Seongbhin (Department of Fire Administration and Disaster Management in Dong-Eui University)
  • 윤해성(한국형사정책연구원) | Yoon Haesung (Corruption & Economic Research Division,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