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주기에 따른 한국의 자살률 유형을 도출하고 각 자살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통계청 2016년 사망원인통계와 주민등록연앙인구 자료이며, 총 250개 지자체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주된 분석 방법은 자살률 유형화를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자살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생애주기에 따른 한국의 자살률 유형은 ‘평균 자살률 지자체’, ‘청소년기 고자살률 지자체’, ‘청년기 고자살률 지자체’으로 총 3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한국의 자살률 유형은 지자체 특성에 따라 차이를 드러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의 자살예방정책이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줄 것이라 판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types of suicide rates in Korea according to life cycle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suicide rates. The data employed for this study are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16 and the Mid-Year Resident Population published by Statistics Korea, and the corresponding data for a total of 250 local governments were analyzed accordingly. As the main method of analysis,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 suicide rates into exclusive types, and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 of each type of suicide rates, the chi-square test and the one-way ANOVA were administer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uicide rates in Korea are classified into three main types: the ‘group with average suicide rates’, the ‘group with high adolescent suicide rates’, and the ‘group with high young-adult suicide rates’. The type of suicide rate in Korea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gover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believ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of suicide prevention policies in Korea.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7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