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음식은 생존을 위한 생물학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 중 하나이면서 동시에 특정한 시대의 생활문화를 응축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요소이기도 하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묵재일기>에 나타난 음식 기록을 통해 16세기 사대부의 일상을 살펴본 것이다.
이문건은 유배 기간 동안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로부터 음식 선물을 받는다. 음식은 칭념으로 들어오기도 하고, 청탁의 대가로 제공되기도 했다. 이러한 음식 선물을 통해 이문건의 신분적 위계는 물론 그가 유배를 전후하여 형성한 다양한 사회적 관계의 구체적인 실상을 확인할 수 있다.
술과 소식은 사대부로서 이문건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술을 마실 때의 자리와 술을 돌리는 순서에 있어서 규범은 사대부들의 모임에서 더욱 엄격하게 지켜졌다. 소식은 사대부로서 효와 충을 지키기 위해 마땅히 지켜야 할 의례였기에 상례와 제례, 국기일에는 반드시 소식을 했다. 동시에 술과 소식을 통해 감정적 유대관계를 드러내기도 했다. 개인적인 연회에서는 남녀노소와 신분에 관계 없이 술을 마시고 즐겼으며, 가까운 친지의 죽음 앞에서는 슬퍼하며 자발적으로 소식을 했다.

Food is an element essentially needed for life and also a concrete and crucial element closely associated with mankind’s everyday life. It is also a symbol and cultural code condensing living culture in a certain time. This study is aimed to restore sadaebu’s everyday life in the 16th century based on the records about food found in Lee Mun-geon’s . In particular, this author examines intensively how social networks around Lee Mun-geon were formed through food and how sadaebu had bonds with others, were distinguished from others, and formed emotional solidarity.
In the society of sadaebu during the former period of Chosun when monetary market economy was not yet developed, presents gotten from others in diverse ways were one of the important ways to receive food. Based on the records about food presents, we can figure out social networks around Lee Mun-geon then. Grain-oriented chingnyeom (稱念) lets us know Lee Mun-geon’s political and social influence as a yangban bureaucrat. We can see the social networks Lee Mun-geon came to form newly as one of the influencers in Seongju through the food received from the villagers of Seongju and the requests made in return for it.
While he was in exile, Lee Mun-geon was invited to a number of feasts in Seongju. The fact that he was invited to the feasts and ate food with them implies Lee Mun-geon’s solid status as sadaebu. Also, with the examples of performing ancestral rites or serving food, we can tell sadaebu’s social status distinguished from other classes’. Moreover, eating food together was also an expression of emotional solidarity.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묵재일기>의 음식 기록
3. 음식 선물 : 신분적 위계와 사회적 관계의 표상
4. 술과 소식(素食) : 집단적 정체성과 감정적 유대 표현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911-001159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