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7)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한국의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 음성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하여, 한국인 일본어 교사를 대상으로 음성 교육을 실천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는 것이다.
실천 활동 준비 단계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6 종 검정 교과서의 내용을 음성 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 속에서는 음성 커뮤니케이션을 중시하며, 음성 항목으로 ‘청 · 탁음, 장 · 단음, 요음, 촉음, 박, 억양’이 제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그러나, 음성 커뮤니케이션에서 빠뜨릴 수 없는 ‘악센트’는 ‘억양’으로 통합되어 있었고, 그 의미 범위가 교과서마다 다르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위의 과제를 바탕으로, ‘일본어 악센트’라는 주제로 실천 활동을 하였다. 실천 활동에 참가한 한국인 일본어 교사와 인터뷰를 한 결과, 교사의 의식과 행동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 음성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3 가지 관점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로, 교육 현장 맞춤 내용으로 음성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음성 교육 실천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번째로, 악센트 자체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 학습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을 공유하고 필요에 따라 알아보는 등 ‘자율 학습’의 자세로서 음성 학습을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한국어와의 비교를 통해 두 언어의 음운 특징을 의식함으로써, 효과적인 음성 교육을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implication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nunciation education for Korean Japanese teachers in order to enhance pronunciation education in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field in Korea. This study is based on theoretical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a practical study with one Japanese teach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6 types of official textbooks from the viewpoint of pronunciation education in the preparatory stage of the practical activity, it was found that the curriculum emphasizes verbal communication, and presents Sei-on (voiceless sounds) / Daku-on (voiced sounds), Cho-on (long sounds) / Tan-on (short sounds), Yo-on (contracted sounds), Soku-on (geminate consonants), Haku (Japanese rhythm) and Intonation as pronunciation items. On the other hand, Accent, which is indispensable to verbal communication, is not presented as an independent item, but is included in Intonation, and the meaning range of Intonation is ambiguous in the textbooks.
Based on the above issues, I conducted a practical activity under the theme of “Japanese accent”. From an interview with a Korean Japanese teacher who participated in the practical activity, it was revealed that the teacher"s consciousness and behavior had changed after the activity.
On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ree viewpoints for the enhancement of pronunciation education in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field in Korea. Firstly, it is desirable to organize the content such that Japanese teachers can learn about pronunciation with contents tailored to the actual class. Secondly, it is desirable to grasp pronunciation learning as an autonomous learning, based on not just memorizing the accent itself, but sharing how to use learning tools and finding appropriate ones if necessary. Finally, effective pronunciation education can be expected by being aware of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languages through comparison with Korean.

목차

Abstract
1. はじめに
2. 韓国の中等教育における日本語教育の現状
3. 韓国人日本語教師のための音声教育の実践活動
4. 考察
5. おわりに
参考文献
요지

참고문헌 (2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730-001752313